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in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중소건설기업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을 매개로

  • Choi, Young-cheol (Department of Convergence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 Hwang, Chan-gyu (Department of Convergence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 Kim, Ji-hyung (Department of Convergence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최영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김지형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Received : 2022.07.31
  • Accepted : 2022.09.02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f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was applied as the sampling method,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16, and the input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in suitability and sacrifice as sub-factors of Job Embedded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y membe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linkage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uitability, links and sacrifice as sub-factors of job embedded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y members.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embeddedness of the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e more influential the turnover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y improving the suitability of values pursued by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 passion, and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 소재 중소건설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집방법은 유의 표집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이용된 표본 수는 316명으로 입력된 자료 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의 하위요인 적합성, 희생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 배태성의 하위요인 적합성, 희생, 연계 순서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은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직 구성원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의 적합성, 업무열정, 조직에 대한 애착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성미(2017), 보육교사의 직무배태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수현(2008),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대학원.
  3. 김종완(2019), 직업상담사의 직무 배태성이 직원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 정체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4. 박인규(2010), "호텔 종사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금만족을 조절변수로," 관광연구, 25(3), 61-79.
  5. 서효민(2018), "요가지도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7(4), 207-221.
  6. 성행남, 조동환(2013),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의 관계: 중소건설업 IT종사자의 직무만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정보학회지, 32(2), 339-357.
  7. 신승인, 김찬중(2020), "조직 및 직무 배태성의 영향 요인과 이직의도," 인적자원관리연구, 27(5), 87-121.
  8. 윤수정(2014),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 석사학위논문, 차의과대학교 간호학과대학원.
  9. 윤승재(2007), 스포츠조직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업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체육학과대학원.
  10. 이광룡(2021), 근로자의 직무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문헌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전문대학원.
  11. 전창욱, 이대용, 김선근(2018), "경력정체,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이직의도 및 조직지원 간의 구조적관계: 다국적기업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5), 53-62.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5.006
  12. 정경로, 구동회(2009), "무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고용상태에 따른 조직몰입과직업몰입의 갈등이 이직의도 및 직업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회지, 20(1), 90-102.
  13. 정미정(2020),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14. 조현정, 김우철(2019), "조직지원인식, 업무몰입, 지식공유의도,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 중소제조기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1(2), 165-194.
  15. 조현청(2010), 건설종사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16. 최연준, 이주락(2017), "카지노 안전관리 종사원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과학회지 인재연구, 6(3), 72-89.
  17. 최은지(2017), 외상센터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대학원.
  18. 한기성(2006), 공공체육시설 구성원의 조직동일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대학원.
  19. 황이푸(2021),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호북성 중형도시 은행원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 Afsar, B. and Badir, Y. F.(2016), "Person-organization fi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ole of job embeddedness," Journal of Human Resources in Hospitality & Tourism, 15(3), 252-278. https://doi.org/10.1080/15332845.2016.1147936
  21. Allen, D. G., Weeks, K. P. and Moffitt, K. R.(2005), "Turnover intentions and voluntary turnover: the moderating roles of self-monitoring, locus of control, proactive personality, and risk aver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5), 980. https://doi.org/10.1037/0021-9010.90.5.980
  22. Allen, N. J. and Meyer, H. P.(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61-89.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23. Allen, N. J. and Meyer, J. P.(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4. Cohen, A. and Golan, R.(2007), "Predicting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s by past absenteeism and work attitud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emale employees in long termnursing care facilitie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2(5), 416-432. https://doi.org/10.1108/13620430710773745
  25. Eisenberger, R.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500-532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26. Ha, D. H, and Kim, J. S.(2010),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role stressors of hotel employees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4(6), 173-192.
  27. Halbesleben, J. R. B. and Wheeler, A. R.(2008), "The relative roles of engagement and embeddedness in predicting job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leave," Work & Stress, 22(3), 242-256. https://doi.org/10.1080/02678370802383962
  28. Holtom, B. C. and O Neill, B. S.(2004), "Job Embeddednes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Nurse Retention Pla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5), 216-227. https://doi.org/10.1097/00005110-200405000-00005
  29. Karatepe, O. M. and Ngeche, R. N.(2012), "Does job embeddedness mediate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job outcomes? Astudy of hotel employees in Cameroon,"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21(4), 440-461. https://doi.org/10.1080/19368623.2012.626730
  30. Lee, T. W. and Mitchell, T. R.(1994), "An alternative approach: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1), 51-89. https://doi.org/10.2307/258835
  31. Lee, T. W., Mitchell, T. R., Sablynski, C. J., Burton, J. P. and Holtom,B. C.(2004),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job performance, volitional absences, and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7(5), 711-722.
  32. Lee, T. W., Mitchell, T. R., Wise, L. and Fireman, S.(1996), "An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1), 5-36.
  33. Mitchell, T. R., Holtom, B., Lee, T. W. and Erez, M.(2001),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102-1121. https://doi.org/10.2307/3069391
  34. Mobley, W. H.(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