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ag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Materialism Value

물질주의 가치에 따른 가방 구매행동 연구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2.07.22
  • Accepted : 2022.08.20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bag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materialism value. The subjects were 443 male and female adult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materialism value, bag purchase behavi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χ2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ialism value was derived from three factors (happiness pursuit, possession-oriented, and success judgment). Second, subject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happiness pursuit group, success judgment pursuit group, and immaterialism group) based on the materialism value variable. Third, the derived groups showed many differences in bag purchase behaviors. The happiness pursuit group considered all bag evaluation criteria factors (practicality, aesthetics, economy, symbolism) and bag purchasing information sources factors (mass media and personal sources) more than other groups, and showed a tendency to prefer select shops and complex shopping malls as bag purchasing places. In addition, the average annual cost and frequency of purchasing bags of thi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success judgment pursuit group considered symbolism as a bag evaluation criteria more than other groups, and considered personal sources as bag purchasing information sources more than mass media sources, and preferred luxury stores and department stores as bag purchasing places. On the other hand, the immaterialism group considered practicality and aesthetics as bag evaluation criteria and placed less importance on all information sources than other groups, and preferred Internet shopping malls as purchasing places. This group had the lowest average annual purchase cost and frequency among the three consumer groups. This study suggested that materialism value is a useful variable to segment male and female adult consumer markets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the bag purchase behaviors of consumer groups divided by materialism value.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희, 나영주. (2008). 통학용 학생 가방 개선을 위한 구매기준과 착용 불만족 경험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32(8), 1179-1189.
  2. 구인숙. (2008). 직업여성의 핸드백 착용실태와 디자인 선호도 분석. 패션비즈니스, 12(4), 1-14.
  3. 김리라. (2017). 한국 여성의 일상 상황별 선호 패션이미지와 핸드백 디자인 유형화 및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민희. (1998).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인기. (2013). 한국 전통자수를 응용한 가방 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연. (2004). 럭셔리 제품의 디자인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여성용 핸드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우, 진선영. (2011). 20~30대 남성의 의복태도와 가방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5(3), 267-280.
  8. 김정현. (2021. 7. 14). 명품 찾는 남성들 겨냥... 루이비통 FW 남성 컬렉션 공개. 뉴시스. 자료검색일 2022. 8. 12, 자료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13_0001511665&cID=13001&pID=13000
  9. 김칠순, 이진. (2011). 20-30대 명품 핸드백 소유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6), 827-837. https://doi.org/10.5805/KSCI.2011.13.6.827
  10. 김현주. (2019. 12. 13). 밀레니얼 세대, "플렉스 해버렸지 뭐야~" 세계일보. 자료검색일 2022. 8. 12, 자료출처 https://www.segye.com/newsView/20191212516888?OutUrl=daum
  11. 김희숙. (2007). 여대생의 물질주의 성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마동명. (2009). 새로운 노트북 가방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소비자 감성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구자, 유태순. (2009). 통학가방구매 시 패션제품속성요인과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와의 관계대구, 경주 지역의 중고생을 중심으로-. 복식, 59(6), 16-28.
  14. 백경미. (1993). 물질주의 성향과 준거집단 영향이 과시소비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3-4.
  15.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트랜드리서치. (2021. 7. 22.) 08.가방.Korea Fashion Market Trend 2021 상반기 온라인 세미나_복종별 세분시장(발표자료). 패션넷. 자료검색일 2022. 7. 15, 자료출처 http://www.fashionnet.or.kr/research-report/13260
  16. 서정희, 허은정. (2004). 대학생 소비자의 물질주의와 쾌락적.효용적 쇼핑가치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765-774.
  17. 송인숙. (1993). 소비자의 구매중독성향 및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지희. (2012). 한국 여성 소비자들의 명품가방 구매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양아랑, 김주연.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패션가방의 조형성. 한국가정과학회지, 10(2), 53-62.
  20. 유지혜. (2017). 한국판 물질주의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가나, 신수연. (2012).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554-566. https://doi.org/10.5805/KSCI.2012.14.4.554
  22. 이래광. (1999).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중.고생의 가방제품 구매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미숙. (2021). 중국 여성의 물질주의 가치가 의복쇼핑성향과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3(2), 1-15 https://doi.org/10.30751/KFCDA.2021.23.2.1
  24. 이미숙, 정경희. (2016). 여행용 가방 패턴 디자인 유형 분석 및 디자인 개발. 복식, 66(1), 135-154.
  25. 이보영. (2019). 물질주의-탈물질주의 가치 차원에서의 한국인 세대 간 차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아영. (2014). 명품 브랜드 핸드백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연구-20-40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영주. (2011). 남성의 연령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가방 선호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10, 82-90. https://doi.org/10.5805/KSCI.2011.13.1.082
  28. 이정민. (2021. 7. 29). '갓성비' 꽂힌 MZ세대...하고, 디자이너가방 매출 150% 증가. 이코노믹리뷰. 자료검색일 2022. 8. 12, 자료출처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2781
  29. 이지선. (1998). 의류부속품에 대한 제품관여와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지연. (2015). 전통요소를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수석장신구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진. (2010). 20-30대 여성의 명품 핸드백 구매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진석, 조현영, 전승우. (2019). 다양한 얼굴의 물질주의: 물질주의, 변화 기대, 과시적 소비. 마케팅연구, 34(2), 45-66.
  33. 임주형. (2022. 2. 8). 코로나 2년째 외출준비 설나...가방.옷 구매 38%.15%씩 급증. 서울신문. 자료검색일 2022. 7. 15, 자료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208008011&wlog_tag3=naver
  34. 임찬영. (2021. 9. 26). 오늘은 셀린느...내일은 루이비통...청담동 명품거리 '도장깨기' 나선 2030. 머니투데이. 자료검색일 2022. 8. 12, 자료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2609055148716&outlink=1&ref=https%3A%2F%2Fsearch.daum.net
  35. 정영원, 강은미, 박은주. (2018). 5060세대의 명품패션잡화 구매시 소비가치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4), 382-395.
  36. 조총. (2013). 물질주의 성향과 충동성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국산업연합회. (2022. 7. 21). Korea Fashion Market Trend 2022 상반기 통계보고서(국내패션시장규모조사). 패션넷. 자료검색일 2022. 8. 12, 자료출처 http://www.fashionnet.or.kr/research-report/86421
  38. 황세희. (2012). 국내 패션 명품 브랜드의 온라인 연계 쇼핑몰의 관계 효과성에 관한 질적 연구: 가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Banerjee, B., & McKeage, K. (1994). How green is my valu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ism and materialis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 147-152.
  40. Bar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March), 644-654. https://doi.org/10.1086/209376
  41. Chang, L., & Arkin, R. M. (2002). Materialism as an attempt to cope with uncertionty, Psychology & Marketing, 19(5), 389-406. https://doi.org/10.1002/mar.10016
  42. Cho, H. J., Jin, B., & Watchravesringkan, K. T. (2016).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materialism in emerging and newly developed Asian market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Humanities and Technology, 6(1), 1-10.
  43. Goldsmith, R. E., Flynn, L. R., & Clark, R. A. (2011). Materialism and brand engagement as shopping motivation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8(4), 278-284.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1.02.001
  44. Richins, M. L., & Dawson, S. (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3), 303-316. https://doi.org/10.1086/209304
  45. Shrum, L. J., Wong, N., Arif, F., Chugani, S. K., Gunz, A., Lowery, T. M., Nairn, A., Pandelaere, M., Ross, S. M., Ruvio, A., Scott, K., & Sundie, J. (2013). Reconceptualizing materialism as identity goal pursuits, functions, process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8), 1179-1185. https://doi.org/10.1016/j.jbusres.2012.08.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