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 Based on AR/VR : Focusing on the Area of Astronomy

AR/VR을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7.31
  • Accepted : 2022.08.22
  • Published : 2022.08.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creative education programs using AR/VR affect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9 students in 7 classes of the first grade of J High school located in the chungbuk region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wo-dependent samples (t-tes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and the value of class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interpret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cept for 'execution', 'problem discovery and analysis', 'idea generation', 'execution plan', 'conviction and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tenden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in terms of class satisfaction of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it was an average of 3.75 and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derive creative ideas, outputs, and results through groups within a given time in regular class, but generall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AR/VR increase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in the process of generation or expanding ideas to solve problems like educational effect of STEAM.

이 연구의 목적은 VR/AR을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지역 소재 J 고등학교 1학년 7개 학급, 총 179명을 이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지의 사전·사후 설문 검사 값을 두 대응표본 t검정(two-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업만족도의 값은 기술통계량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을 제외한 문제발견 및 분석, 아이디어 생성, 실행계획, 설득과 소통 및 혁신 성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수업만족도에서는 평균 3.75로, 정규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이 주어진 시간 내에 창의적 아이디어와 산출물 및 모둠을 통한 결과물을 이끌어내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는 융합인재교육(STEAM)과 같이, AR/VR 활용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흥미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KOFAC) funded by Korea government(MOE).

References

  1. 교육부 보도자료(2016. 12. 23). 지능정보사회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試案). 세종: 교육부.
  2. 김혜화, 서정욱, 김형범(2021).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9(2), 287-298. https://doi.org/10.15717/BIOEDU.2021.49.2.287
  3. 명전옥(2001). 예비 교사들이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4.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5. 배성희, 김형범(2016).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3), 607-616.
  6. 손준호, 김종희, 김영곤(2014).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35(7), 572-584.
  7. 유구종, 김소리(2019). VR.AR을 활용한 STEAM(융합인재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525-560.
  8. 유상미, 김형범, 김용기, 김흥태(2021).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33-47.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1.33
  9. 이현지(2020). 몰입도 향상을 위한 하드웨어 측면의 VR.AR 교육 콘텍스트 구성: 국내 중학교 공교육 환경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1. 한국과학창의재단(2009). 국내외 수학.과학 및 창의교육 정책 동향 및 교육사례 조사 분석.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2.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3. 한도윤, 김형범, 김흥태(2022). 가상현실(VR) 지질자료 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47-6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1.47
  14.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2020).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5-28.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15
  15. Brett, R., & Dr. Wylmarie, S. (2015). Learning in 3D: Making STEM real. This Issue: Spring 2015. Retrieved from http://www.advanc-ed.org/source/learning-3d-making-stem-real
  16. Csikszentmihalyi, M., & Wolfe, R. (2000).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81-93). Oxford: Pergamon.
  17.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6). A draft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elsinki: National Board of Education.
  18. Gentner, D., & Stevens, A. L. (1983).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Lau, K. W., & Lee, P. Y. (2015). The use of virtual reality for creating unusual environmental stimulation to motivate students to explore creative idea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3(1), 3-18. https://doi.org/10.1080/10494820.2012.745426
  20. Lubart, T. I. (2001). Models of the creative process: Past, present and futu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4), 295-308.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334_07
  21. Miller, A., & Dumford, A. (2014).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in higher education. J. Creat. Behav., 50(4), 282-293. https://doi.org/10.1002/jocb.77
  22. Ready, D. (2014). Student mathematics performance in the first two years of teach to one: Math.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3. Scott, W. (1995). Reliability of content analysis: The case of nominal scale coding. Public Opinion Quarterly, 19, 315-325.
  24. Tan, L. T., Goh, B., Subramaniam, S., & Ramanathan, O. (2017). Engag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uthent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environmental science theme.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25. Vihma, L., & Aksela, M. (2014). Inspiration, joy, and support of STEM for children, youth and teachers through the innovative LUMA collaboration. In Finnish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 schools: A guide towards new ecosystems of learning. Rotterdam, Sense Publishers.
  26. Zhang, W., & Wang, Z. (2021). Theory and practice of VR/AR in K-12 science education-A systematic review. Sustainability, 13(22), 12646. https://doi.org/10.3390/su132212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