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on the Difficulties and the Revitalization Methods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육전문가들의 인식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소윤 (대전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2.06.27
  • Accepted : 2022.07.27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the direction to be supplemented i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by identifying difficulties and revitaliza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scholarships,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daycare center support staffs at childcare support center.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f total 33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from August to October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fficulties i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were found to b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evaluation meeting)', 'Quality of teachers', 'Number of teachers to children', and 'Lack of definition and direction of creativity'. Second, as revitalization methods to active crea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y answered with 'Establishment of infant-centered, play-centered curriculum considering on-the-ground characteristics', 'Securing the quality of teachers through their own efforts and supporting various policies', 'Autonomous and diverse program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broadly understand difficulties and revitalization metho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and support in the field of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장학사, 유아교육기관장, 육아종합 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담당자와 같은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아 창의성 교육 어려움, 활성화 방안 등을 파악하여 향후 유아 창의성 교육 에서 보완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의 총 33명의 유아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은 '평가인증(평가제)', '교사의 질', '교사 대 아동수', '창의성의 정의 및 방향성 부재'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창의성 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현장성을 고려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정착', '교사 스스로의 노력을 통한 교사의 질 확보 및 다각적 정책적 지원', '유아교육기관의 자율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부모와의 협력'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전문가들이 가진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 및 활성화 방안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 창의성 교육 현장에서 개선 및 지원해야 할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Ⅰ. 서론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유아 개개인이 사회 속에서 겪게 될 새로운 상황과 문제에 대해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가 되었다[1].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지식 그 자체보다 수집된 지식을 활용하여 좀 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개인과 사회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때문에 유아시기 부터창의성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2]. 이러한 교육적 이슈를 반영하여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 교육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생활을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이 강조되었으며[3],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기본방향으로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을 강조하고 있다[4]. 2012년부터 시행된 만 5세 누리과정에서는 전인발달을 기초로 하여 전 발달 영역에 걸쳐유아가 독창적이고 독특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람으로 자라도록 해야 함을 구성방향으로 제시하고 있으며[5],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도 '유아중심' 놀이중심' 에 초점을 두고 주변세계에 열려있고 호기심이 많으며 자기만의 방식으로 상상하고 느끼고 표현하고 탐구하는 가운데 새롭고 독창적인 생각을 하는 창의적인 사람을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누리과정의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추구'는 초등학교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중 창의적인 사람' 과 연계되어 있다[6]. Torrance(1988)에 의하면 창의성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이며[7), 성인에 비해 사고양식이 유연한 유아기는 창의성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시기이다[8]. 따라서 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시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최대로 지원해야 줄 필요가 있다.

특히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 변화가 크다. 기존의 방식으로 교사들이 사전에 계획한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유아의 흥미에 따라 주변의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탐색하고 놀이하는 과정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도록 지원하고 있다[9].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시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창의성 발달이 최대로 일어날 수 있도록지원해 주어야 한다. 유아교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교육 현장의 맥락에 알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10]. 창의성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다른 영역의 교사 역할과 비교해서 특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창의성 교육의 구체화 및 체계화가 확실하게 실천되고 있지 않은 현실에서 교사의 사고와 행동은 유아의 창의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2].

유아 창의성 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아의 창의성에 관련된 교사의 다양한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선행 연구 결과 교사의 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의 창의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11],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과 창의적사고 능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수 있다고 하였다[12].

하지만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직도 교실 안에서 유아들의 상상력과 창의성 발현이 충분히 존중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고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의미와 유아의 창의적 특성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13]. 따라서 교실 내에서 창의인 유아보다는 순종적인 유아를 더 선호하고, 미완성된 독창적 결과물 보다는 완성된 보기 좋은 결과물을 선호하며, 유아중심 자율적 프로그램 운영보다 취학 전 학습 준비를 우선 시하고 있었다[14].

또한 유아교사들은 업무과다 및 시간 부족, 학급의 과다한 인원 수, 이론과 실제가 다른 창의성 연수, 창의성 프로그램 미비, 교사의 전문성 부족, 창의성 관련 교사양성 교육 및 현직 교육의 미흡함 등 다양한 어려움으로 제대로 된 창의성 수업을 실시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131[15[[16]. 특히 창의성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 중에는 창의성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재직자 연수에서 다양한 창의성 이론 및 실제에 대한 교육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17].

이외에도 유아교육기관의 교재교구및 시설, 환경의 미비함, 예산 부족 등으로 창의성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18]. 유아의 창의성 발현이 존중되지 못하는 이유로 하루에 수행되어야 하는 학습 분량 달성, 보여주기 위주의 발표회, 전시회, 참여수업, 부모님들의 지나친 과욕에 의한 잘못된 교육열이 지목되고 있다[14].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상 기관장의 인식에 자유로울 수 없는 부분도 창의성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하나의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기관장이 조용하고 안전한 교실분위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유롭고 활발한 수업이 가능한 교실 환경을 만들어 가는데 제약이 될수 있기 때문이다[19]. 이러한 교육 현장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해 유아교사, 기관장, 학부모, 유아교육 전문가, 지역사회가 연계되어 협력하는 통합적 노력이 필요하다. 유아교육은 유아중심 교육을 표방하고 있으며, 수업 시간과 수업 내용, 방법 등이 명시적이거나 구조화된 교육과정 운영보다는 유아들의 흥미와 경험, 지역사회 특징, 기관 철학이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편이다 [12]. 특히 유아교육 기관장은 기관의 철학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실제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유아교사들과 함께 교육과정을 만들어 가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유아교육장학사는 현장에서 창의성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와 유아교육기관장을 지원하는 행정가로서 중요한 인적요인으로 유아 창의성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도출을 상이한 관점에서 제시해 줄수 있다.

육아종합 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담당자 역시 어린이집 운영에 관한 상담 등 어린이집 지원 서비스 제공영유아 보호자와의 연계 등 가정양육 지원서비스 제공어린이집 보육컨설팅, 표준보육과정 교육 및 교재·교구의 제공 또는 대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문 인력으로서 유아교육 발전에 조력하고 있다.

그동안 유아 창의성 교육 인식 및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련된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13], 유아교육 현장에서 창의성과 반창의성[14],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15], 유아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 및 유아교육 현장의 창의성 발달저해 요인 분석[16],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및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17][18],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어려움 분석[19] 등으로 모두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반면 창의성 교육을 함께 지원하고 실행해 갈 수 있는 유아교육 전문가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현주와최연철[20]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개념 탐색 연구를 실행하여 유아교사 집단과 다른 관점에서의 합의점을 도출한 바 있다. 전문가 집단의유아 창의성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는 것은 현재는 물론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창의성교육에 대한 개선점 및 지향점을 찾아보는 데많은 시사점을 줄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학사, 유아교육기관장, 육아종합 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담당자와 같은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아 창의성교육의 어려움, 활성화 방안 등을 파악하여 향후 유아 창의성 교육 에서 보완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의 유아교사들의 의견과 유아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유아 창의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전문가(장학사, 어린이집 지원담당자, 유아교육기관장)가 인식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유아교육전문가(장학사, 어린이집 지원담당자, 유아교육기관장)가 인식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P시에 근무하고 있는 장학사 5 명,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담당자 10명,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18명으로 목적에 부합되는 연구참여자 선정을 위해 현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 종사 경력이 최종 10년 이상인 사람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안내하고 연구 참여 동의를 받았으며,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는 형태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배경(N=33)

2. 연구도구

유아 창의성 교육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을 개발하였다. 먼저 유아창의성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31I8][20], 선행연구에서 밝힌 창의성의 구성요인[8[[21], 국내외 창의성 교육의 인식 및 실태[13-19][22] 등을 정리하였다. 이를 질문지의 서두에 참고자료로 제시하고 응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수집된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3가지의 주요 질문을 마련하였다. 첫째, 현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창의성 교육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둘째, 유아교육 현장에서 창의성 교육을 실행해 나갈때 느껴지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셋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창의성 교육이 지금보다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등의 문항이 질문지에 제시되었다.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개방형 질문지는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장학사 1 명,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담당자 1명,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각 1명에게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문항 응답 시 소요시간 및 난이도를 점검하였고, 유아교육과 교수 2인으로부터 전문가 적절성 검토를 받았다. 그 과정에서 특별한 응답의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위한 개방형 질문지를 확정하였다.

2) 본조사

유아교육전문가가 인식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40명의 장학사, 어린이집 본 지원담당자, 유아교육기관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P시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근무 기관유형과 연구 참여 관심을 고려한 편의 표집이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는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2달간 인편 및 e-메일을 통해 연구 참여자 40명에게 개별적으로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매주 문자, e-메일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안내를 진행하였고, 총 33부가 회수되어 82.5%의 회수율을 보였다.

3.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회수된 질문지 총 33부는 A4용지 92장 분량이었다. 연구자들은 연구참여자의 응답을 읽고 자료를 요약하여 양을 줄이는 개방형 코딩 (open coding)을 실시하였고 개방형 코드를 나누고 통합하는 축코딩(axial coding)을 거쳐 중요한 주제를 찾는 형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23]. 개방형 코딩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각각 전사한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구체적인 주제 찾기 과정을 거쳤다. 개방형 코딩은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진행하였고 이후에 코딩결과를 비교, 확인하면서 내용 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축코딩 단계에서는 개방형 코딩을 통해 정리한 코드 및 주제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내용에 대해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구자간에 교차 확인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의 각 범주 요인들에 대한 연구자 분석 내용과 해석의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수행 경험이 많은 유아교육전문가와 협의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절차를 통해 도출된 범주별 핵심어와 빈도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학부모의 요구에 맞춰 특기중심 활동을 보여주기 식으로 운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창의성 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교사 스스로 적극성을 보이는 교사의 질 확보와 재정지원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과 같은 정책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유아교육전문가가 인식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

1.1. 평가인증,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

현재의 유아 창의성 교육이 잘 되고 있지 않다고 여기는 유아교육전문가들의 생각의 기저에는 평가제가있다고 밝히고 있었다. 누리과정에 창의성 관련 내용이 명시되어 있고 유아들을 위해서 창의성교육을 실시하고 싶은 반면, 평가제 준비로 인해 부담이 가중되고 오히려 새로운 활동보다 획일화된 활동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창의성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국가수준의 누리과정에 준거한 교육을 실행하고 창의성 교육을 해보려고 노력하는 곳도 있으나 여전히 학습지 형태의 교재를 이용한 교육을 실행하는 곳도 있어 똑같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있다. <유치원원장M, 2019. 9 28>

평가인증이라는 테두리에서 기관의 독창성 있는 프로그램을 인정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며 제약이 많은 것도 현장의 상황입니다. <어린이집원장D. 2019. 9 1>

틀에 박힌 표준보육과정 수행, 평가인증 등으로 교사들이 다양한 교수방법을 연구할 여유가 없음 <어린이집원장B, 2019, 8. 8>

평가인증제도로 인해 정해진 매뉴얼에 맞추어 교육 평가하고 있어 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어린이집원장), 2019, 10. 7>

1.2 교사의 질에 가로막히다

현재의 유아 창의성 교육이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유아교육 전문가도, 잘 되고 있지 않다고 여기는 유아교육전문가 모두 유아 창의성 교육의 관건이 교사임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교사들이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와 경험, 교육의 부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교사가 체험하고 교육받는 기회가 많지 않으며, 교사 또한 노력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유치원원장(, 2019. 9. 5>

교사가 창의성의 개념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못하고 창의성 요소 및 창의성 증진 방법에 대해서도 어떻게 해줘야 할지 모르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어린이집원장G, 2019. 9. 28>

유아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 부족, 논리·분석적사고를 힘들어 함 <장학사B, 2019. 8. 20>

교사 또한 창의성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 같다. <유치원원장K, 2019. 8. 30>

창의성 교육을 해야 한다고 알고 있으나 전문적인 지식과 교수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창의성 교육 교재에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따라하는 수준이다. <어린이집원장C, 2019. 8. 9>

1.3. 교사는 한 명, 창의적인 유아는 너무 많다.

현재 유아 창의성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이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기에 녹록치 않음을 모두 지적하고 있었다. 특히 유아의 일상적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돕기에는 업무 과다 및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높아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았다.

유아들과의 생활 속에서 너무 분주하기 때문에 교사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유아들의 창의성을 억누르게 되는 일이 많다. 업무 피로가 높기 때문에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취약하다. <어린이집원장A, 2019. 8. 4>

개개인의 특성을 인정하고 지지해주기에는 현장에서 한명의 교사가 해결하기 어렵다고 여겨집니다. <어린이집지원담당자J, 2019, 9 15>

교사 대 아동비율로 보았을 때 교사가 아동과 개별상호작용 하는 것 보다는 대집단 수업을 진행하는 편이낫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교실 내에서 많은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창의성 교육을 충분히 실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유치원원장I, 2019, 9 14>

1.4 창의성이 먼저냐, 창의성 교육이 먼저냐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이 부재한 이유로 기초적인 작업, 즉 유아의 창의성이 무엇인지, 창의성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적었다는 점을 들었다. 이는 교육정책의 뿌리가 튼튼해야 창의성 교육을 이루어내는 과정이 튼튼해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유아의 창의성 함양이라는 열매를 잘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에 있어 출발점에서부터 많은 제한점을 지닌 것으로 인식하였다.

현장의 창의성 교육이 창의성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루어진 다양한 사고 교육으로서의 창의성 교육이었는지 단지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창의성 교육이 먼저였는지를 고민해보아야 한다고 생각함 <장학사E, 2019. 9. 24>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뚜렷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이 제시되고 있지 않고, 유아 창의성 교육의 개념이나 나용에 대한 정확한 구분이나 정의가 모호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유치원원장N, 2019. 9 20>

우리는 흔히 유아들이 정확히 무엇'을 배웠는지에만 초점을 맞추기 쉽습니다. <어린이집원장F, 2019. 9 21>

기존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한 기능이나 기술위주의 방법을 익히는 교육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함 <장학사E, 2019, 9 24>

1.5. 유아교육현장은 보편성과 다양성이 공존하는곳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영유아의 교육을 담당하는 곳이라는 보편성을 띄긴 하지만 운영주체가 매우 다양하고 교육대상의 개인차가 존재하며, 무엇보다 학부모의 요구를 어느 학교급보다 중요하게 수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어려움이 존재함을 설명하였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현장이 장애 영유아를 통합하고 있는 시설이라 창의성 교육에 중점을 두기 힘든 점이 있음 <어린이집원장E, 2019, 8. 23>

사회의 요구도 즉, 학부모님들의 눈에 보이는 결과물만을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고, 유아교육기관도 학부모님들의 만족도를 생각하기 때문에 창의성 교육이 우선시 되기 힘들다. <유치원원장K. 2019. 8. 30>

단 시간 내 지식을 암기하여 부모에게 보여줄 수 있고 테스트를 통해 지식을 재생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함. 깊이 있고 유아의 사고를 개발하는 활동보다는 보여 주기식 활동으로 특강이라는 명목하에 유아들이 수행하는 가짓수만 많다. <어린이집지원담당자D, 2019. 8. 17>

2. 유아교육전문가가 인식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

2.1. 현장성을 고려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정착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창의적 인재육성이라는 정책차원의 교육목표를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을 유아중심, 놀이중심으로 개편한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교육현장에 정착함으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랑인 소통, 창의성, 융합적 사고, 배려를 통해 통합적 재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으며 재정적, 행정적 지원, 선진국 사례연구를 통해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하였다.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 연구 및 교육과정 정착, 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놀이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 전국민 대상으로 필요하다. <장학사A, 2019. 8. 8>

창의성 교육을 위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 선진국의 창의성 교육 사례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하여 산학연계를 통한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장학사B. 2019. 8. 20>

실제 교육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배포 필요 <유치원원장N, 2019, 9. 20>

2.2. 스스로의 노력을 통한 교사 질 확보와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

대다수의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교사 스스로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러 방면의 교사 스스로의 발전 노력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교사 재교육등의 정책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교사 자신이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시도에 대한 적극성을 가져야 한다. <어린이집지원담당자1, 2019. 9. 28>

다양한 교육과 경험(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전시회, 인문학 강연, 다른 전공 분야 사람들과의 교류 등)을 통한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 기르기 <어린이집원장D, 2019, 9. 1>

교사 자신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연수, 전문서적, 세미나, 동료장학을 통한 협의 등)이 필요합니다. <어린이집원장F, 2019, 9 21>

교사들 간 서로 수업에 관해 의견을 나누고 그 의견에 대한 생각들을 모아 보완하며 유아들의 창의성을 더 발전시킬 수 있고 교사 자신도 발전하려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치원원장D, 2019, 9 1>

이러한 교사들의 노력과 더불어 여러 방면의 교사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지식 습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태도와 결과를 인지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이 아주 중요하므로 창의성 교육에 관한 다양한 재교육기회 및 영유아창의성교육에 필요한 재원을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어린이집지원담당자,, 2019, 8. 11>

교사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의 지원이 필요함 <어린이집지원담당자C, 2019, 8. 31>

정책적으로 교사의 창의적 능력 함양을 위한 다양한 연수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잘 보급하여 교사들의 노력을 서포트 하는 것이 중요함 <장학사D, 2019. 9. 19>

2.3. 유아교육기관, 자율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운 영하는 곳으로 나아가기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이 활성화 되기위해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확고한 교육철학, 교육과정 재구성 노력, 그리고 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에 동의하고 있었다. 특히 교사들의 수업 연구 및 연수 지원 등의 노력을 적극지원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내실을 다져갈 때 유아창의성 교육도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창의성 교육이 중요하다는 기관장의 철학과 기관을 운영하는 방식의 변화, 독자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과정의 자율 편성으로 미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둔 특색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노력 <어린이집지원담당자F, 2019. 9. 5>

기관의 특성과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창의성 프로그램 선택, 창의성이 발현 될 수 있는 물리적 환경과 제도 마련 <어린이집원장D, 2019. 8 25>

원내에서 할 수 있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 교사들의 수업 개발을 위한 복지제공, 관련연수 등 사전 교육적극 참여 지원, 창의적 환경 마련을 위한 투자 필요 <어린이집원장H, 2019. 9. 22>

2.4. 부모, 유아 창의성 교육의 협력자로써 함께 노 력하기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모도 함께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자녀를 맡기는 위치로 인해 유아교육의 수혜자로써 부모보다는 교육과 보육을 함께 이끌어나가는 협력자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 관련정책, 기관 차원에서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교사의 교실운영 및 자녀의 생활을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조력할 때 지금보다 유아 창의성 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부모님들의 창의성 개념에 대한 이해 증진과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 <장학사A, 2019. 8. 8>

인지교육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버리기, 부모 자신의 교육관 확립하기 <유치원원장P, 2019, 10. 5>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성장 할수 있도록 여유를 갖는 교육관이 필요 <유치원원장L, 2019, 9. 14>

특별활동, 결과중심의 활동에 만족하기보다 과정중심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기관을 믿고 지지해주는 너그러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집원장H, 2019. 9. 22>

IV. 논의 및 결론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아 창의성교육의 어려움, 활성화 방안 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평가 인증(평가제)'이 유아 창의성 교육에 있어 어려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 원장님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9에서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중심·유아중심 교육과정 운영과 함께 평가인증의 지표를 충족하기위해 지침에 따라 문서를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을 토로한 연구와 일부 맥을 같이한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지만 평가를 위해서는 문서화 중심의 획일화된 교육과정 중심으로 진행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평가부담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역기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핵심 평가지표 중심으로 항목을 재조정하고 각종 문서작업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획일화된 평가지표 보다 보육계획 수립 및 실행 영역에서 기관별 철학을 반영한 특성화 교육 활동에 대한평가를 강조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놀이 및 활동지원 영역에서 개별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증진하는 교사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컨설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호작용 영역은 개선 및 보완이 가장 어렵고 평가 인증 후에도 사후관리가 어려운 영역으로 [24] 교사들의 요구에 맞춰 지속적인 재교육까지 진행된다면 유아 창의성 교육의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창의성 교육 실시의 어려움으로 '교사의 질' 과 '학급 당 유아 수'가 많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3][16[[17][22]와 일치한다. 유아 교사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나 지식이 부족하고 창의성 교육의 목적, 의미, 방법 등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당 아동비율축소는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사항이나 국가차원에서 보조 인력과 반별 운영비  등의 지원 없이는[9] 당장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많은 수의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주어진 여건 속에서 현직교사교육을 통해 창의성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및 일과 중에 개별 또는 집단으로 실천할 수 있는 창의성 증진 교육 방법 등의 연수 제공, 시도교육청 주관 대면 및 비대면 연수, 실제 창의적 수업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참여 워크숍, 관련 서적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창의성 지원 어플리케이션 제공 등 교사가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창의성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 창의성교육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수행정도와 참여를 격려하고지원하는 체크리스트 등을 제공하여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꾸준하게 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창의성 개념 및 교육방향부재'가 유아 창의성 교육을 가로막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를 살펴보면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창의적인 사람'이 명시되어 있으며 창의적인 사람은 주변세계에 열려있고, 호기심이 많으며, 자기만의 방식으로 상상하고 느끼고 표현하고 탐구하는 가운데 새롭고 독창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로 기술되어 있다. 창의성의 개념은 학자마다 다양하며 개념을 추상적으로 설명하기에 명확히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21]. 유아교사들의 창의성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무언인가에 관심을 갖고 몰입하는 태도와 독창적인 사고를 하는 능력으로 자신감이 바탕이 되어 나오는 힘'25]으로 독창성, 도전, 몰입에 중점을 두고 해석하거나, 다양한 범주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융통성, 남들과 다른 독특한 아이디어를 낼수 있는 독창성, 주변의 사물이나 현상에 끊임없이 의문과 관심을 가지는 호기심, 풍부한 상상력[26]으로 주로 인지적인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창의성 개념은 유아지도 방법 및 평가까지 연계되어 질 수 있다. 교사가 창의성을 단일 측면으로 이해할 경우 창의성 속성의 일부를 전체 속성으로 이해하게 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17] 유아교사들이 창의성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창의성의 속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교육 자료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현장성을 고려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 정착'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창의성 교육은 놀면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누리과정의 기틀 안에서 신장되므로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부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공표 된 후로 안정적 현장 적용을 위해 누리과정 해설서, 놀이 이해자료, 놀이 실행자료를 개발하여 배부하였고 관련 교사연수 진행 및 놀이가 최고의 배움이라는 홍보를 실시한 바 있다.

하지만 557건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관련기사와 홍보물 10건의 댓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한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27] 국민들은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준비 과정 및 학습적인 측면에서 많은 우려의 의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의 실천은 우리 사회 전체의 의식 문제와도 연계되므로[28] 사회적, 문화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 및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누리과정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보조인력 지원 및 반별 운영비 지원, 교육과정 운영자로서 교사의자율성 확보를 위한 교사 대 아동 비율 축소, 현장적용활동 중심의 교사연수 지원[9]과 같은 재정적 행정적 지원, 선진국 사례 연구를 통한 실제적 지원이 요구된다. 창의성 교육 정책 사례로 영국의 Early Years Foundation Stage(EYFS)는 출생에서 5세까지의 유아의 발달, 보호, 학습에 대한 기준을 담고 있으며 17개의 학습 목표와 놀이와 탐색, 적극적으로 학습하기,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의 3가지 학습 영역[29]을 정책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교원 평가와 연계하고 있다[28].

이러한 사례조사 등을 통해 국내에서도 창의성 교육실천을 위한 국가적 교육과정 기준 마련과 함께 국내교육환경에 적합한 교사의 창의적 교수전략, 가족 지원 영역, 교실 공간 및 자원 활용, 디지털 자원 활용, 교사자신의 교수전략 평가 체계 등을 고려한 세부적 매뉴얼개발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교사 스스로의 노력을 통한 교사의 질 확보 및 교사들의 노력을 뒷받침 해줄수 있는 교사 지원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교사의 전문성향상이[16][17]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들의 보다 적극적 자세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유아교사들이 스스로 창의성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시도를 해보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전시회, 인문학 강연, 다른 전공 분야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형성하고 연수, 전문서적, 세미나, 동료장학을 통한 협의 등을 주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개별적 노력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교사 교육 연수 등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의성 교육이 일시적인 관심에 머물지 않고 유아교사의 교수활동으로 꾸준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수 행위를 조명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30] 나아가 다양하고 풍부한 창의성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이 심도있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확고한 교육철학, 교육과정 재구성 노력, 그리고 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는 선행연구[14][22] 에서 유아교사들이 지적한 문제와 유사한 맥락이다. 유아교사들은 유아중심의 자율적 교육과정을 진행하기 보다는 취학 전 준비를 위한 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가정으로 보내기 위한 결과물 수행, 보여주기 위주의 발표회와 전시회, 참여수행 진행 등의 문제로 유아 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못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들도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탄력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상 기관장의 운영 방침 및 인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부분이 창의성 교육 실시의 어려움으로 꼽혀왔던 만큼[19]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이러한 인식은 의미 있는 결과로 보여 진다. 그러나 유아교육전문가들의 인식과 실천은 다를 수 있으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노력, 그리고 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노력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원내에서 할수 있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 교사들의 수업 개발을 위한 복지제공, 관련연수 등사 전 교육적극 참여 지원, 창의적 환경 마련을 위한 투자등 유아교육기관장 및 전문가가 지원할 수 있는 노력들이 실행되어 진다면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의 하나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모도 함께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인지교육 중심,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학력 위주 교육을 선호하는 학부모의 인식이 창의성 교육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141[19는 응답과 맥을 같이한다.

부모는 자녀 교육을 함께 이끌어나가는 협력자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 관련 정책을 이해하고, 기관 차원에서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며, 교사의 교실 운영 및 자녀의 생활을 들여다보고 교사와 함께 상호협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협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소통 방안들을 강구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정통신문이나 일회성 특강 보다는 부모들의 창의성 교육의 이해를 돕기 위한 소집단 토론모임, 부모교육을 통한 부모와 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창의 프로그램 제공, 교사와 학부모 간의 지속적 교류와 상담 등의 협력적 방안들을 제공한다면 실질적인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P시의 지역교육청 유아교육장학사 5명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지원 담당자 10명, 그리고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1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다. 따라서 33인에 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자료의 객관적 수집 및 연구 결과의 도출, 해석에 있어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좀 더 폭넓은 연구대상을 표집 하여 좀 더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면담, 심층조사 등의 질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실행을 앞두고 있는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에 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구기간이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 유아교육현장에서 개정누리과정이 실행되어지고 있기에 개정누리과정과 실행 후 유아 창의성 교육이 어떤 모습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그 변화하는 과정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유아교사에게만 집중되었던 유아 창의성 교육 연구에서 벗어나 전문가 집단의 인식은 어떠한지, 창의성 교육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향후 유아교육 현장 에서 보완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ferences

  1. 전경원, 오한나, "2007년~2019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22, 2020.
  2. 이종연, 손영빈, 윤기영, "보육교사의 창의성교육 교사 역할에 대한 적절성 인식과 수행정도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8권, 제2호, pp.265-284, 2014.
  3. 전경원, 김경숙,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 창의성 교육, 경기: 정민사, 2015.
  4.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12.
  6. 교육부,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고시 제2019-189호, 2019.
  7. E. P. Torranc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 and technical manual, Scholastic Testing Services, Bensenville, IL., 1999.
  8.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창의성은 언제, 어디서 무엇에 의해, 어떻게 발현되는가, 서울: 쌤앤파커스, 2011.
  9. 이양숙, 하양승, 전홍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23권, pp.49-78, 2020.
  10. 한신영,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성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 김호, 노영희,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255-278, 2007.
  12. 이강훈, 제희선,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 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121-144, 2018.
  13. 임민택, 성소연, 성은현,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영재와 영재교육, 제14권, 제1호, pp.245-266, 2015.
  14. 한기순, 이인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성과 반창의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29-249, 2015.
  15. 오현옥,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6. 박은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 및 유아교육 현장의 창의성 발달 저해 요인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7. 구광현, 김보현, "창의성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343-370, 2012.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1.015
  18. 송미정, 김호, "유아창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 어린이미디어연구, 제9권, 제2호, pp.161-185, 2010.
  19. 황희숙, 김빛내,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어려움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656-666, 2014.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3.656
  20. 최연주, 최연철,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개념 탐색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361-387. 2017.
  21. 전경원, 창의성 본질과 교육, 경기: 정민사, 2015.
  22. 서희전, 김혜정 "유아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345-374, 2016.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3.345
  23. K. Yin. Robert,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2th ed.), Guilford Publications, 2015.
  24. 정재은, 정은정,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0권, 제1호, pp.67-94, 2012.
  25. 박인영, 송승민, 김미옥, 이순희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접근에 대한 탐색," 창의력교육 연구, 제17권, 제1호, pp.85-110, 2017.
  26. 전지현,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및 누리과정 운영 시 창의성 교육의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7. 서영숙, 한기순 "유아.놀이 중심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8권, 제4호, pp.205-226, 2021.
  28. 오한나, "유아 창의성 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 교사의 역할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43-58, 2017
  29. 도남희, 박창현, 김지현, 조혜주,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양육환경과 뇌발달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6.
  30. 이춘복,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9권, 제4호, pp.173-19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