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fessor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through Network Analysis of Keyword: Focusing on Reflective Journal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 이지안 (동명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 장선영 (목포해양대학교 교양과정부)
  • Received : 2022.04.06
  • Accepted : 2022.06.27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fessor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56 university professors was analyzed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for the blended learning, the keyword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1) 'instructional design', 'student', 'instructional method', 'learning objective' in the area of learning, (2) 'importance', 'instruction', 'feeling', 'student' in the area of feeling, and (3) 'semester', 'plan', 'weekly', and 'instruction' in the area of action plan.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gree,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network connection are as follows. (1) The keywords 'instruction',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design', and 'learning objective' in the area of learning, (2) the keywords 'instruction',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area of feeling, and (3) 'instruction', 'plan', and 'semester' in the area of action plan showed high values in degree,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blended learning and professors' perception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승지, 정혜영, 이연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놀이터와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38권 제2호, 2018, 281-304.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2.011
  2. 김남희,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실행: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제24권, 제4호, 2014, 537-554.
  3. 김동심, 이명화,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A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13호, 2019, 845-867.
  4. 김미숙, 박미경, 고광숙, 김성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학교폭력예방 관련 연구동향 분석", 미래교육연구, 제11권 2호, 2021, 21-64.
  5. 박한우, Leydesdorff, L.,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6권, 제5호, 2004, 1377-1387.
  6. 송연석, "온라인수업에 대한 통번역대학원 학습자 인식-교수자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제25권, 제1호, 2021, 119-140. https://doi.org/10.22844/ITS.2021.25.1.119
  7. 양지선,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운영과 교사의 성찰-수업 성찰일지 작성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언어문화학, 제16권, 제3호, 2019, 143-169
  8. 연준흠, "초보 한국어 교사의 교사일지에 나타난 자신감과 불안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10. 이은영, 주경희, 이두희,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최근 소비자학 연구 트렌드 분석", 상품학연구, 제37권, 제1호, 2019, 1-7. https://doi.org/10.36345/KACST.2019.37.1.001
  11. 임진숙,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021, 219-231.
  12.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3. 임현정, "'성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수업보기",초등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0, 105-128.
  14. 장선영, 이지안,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2호, 2021, 405-419.
  15. 장지선,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도덕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2018, 91-108.
  16. 최경혜, 한유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부모교육 관련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놀이치료연구, 제24권, 제1호, 2020, 87-101.
  17. 홍효정, 이재경,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2호, 2016, 391-425.
  18. Bolliger, D. U., and Wasilik, O. "Factors influencing faculty satisfaction with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Vol.30, No.1, 2009, 103-116. https://doi.org/10.1080/01587910902845949
  19. Bringle, R. G. and J. A. Hatcher, "Reflection in Service Learn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Educational Horizons, summer, 1999, 179-185.
  20. Danowski, J. A.,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1993, 198-221.
  21. Driscoll, M.,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Vol. 1, No. 4, 2002, 1-4.
  22. Lucas, P., "Reflection, new practices, and the need for flexibility in supervising student teachers",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Vol. 15. No. 2, 1991, 84-93. https://doi.org/10.1080/0309877910150209
  23. Mezirow, J., "How critical reflection triggers transformative learning",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Vol. 1, No. 20, 1990, 1-6.
  24. Perry, E. H. and M. L. Pilati, "Online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Vol. 128, 2011, 95-104. https://doi.org/10.1002/tl.472
  25. Rachmadtullah, R., R. Marianus Subandowo, M. A. Humaira, R. R. Aliyyah, A. Samsudin, and M. Nurtanto, "Use of blended learning with moodle: Study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7, 2020, 3272-3277.
  26. Schon, D. A.,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Jossey-Bass, 1987.
  27. Sethy, S. S., "Distance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 Overwhelming Desire towards Blended Learning",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9, No.3, 2008, 29-44.
  28. Siripongdee, K., P. Pimdee, and S. Tuntiwongwanich, "A blended learning model with IoT-based technology: effectively used when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Gifted Young Scientists, Vol.8, No.2, 2020, 905-917. https://doi.org/10.17478/jegys.698869
  29. Wang, M. J., "Online collaboration and offlin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using asynchronous tools in blended learning",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6, 2010, 830-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