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승지, 정혜영, 이연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놀이터와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38권 제2호, 2018, 281-304.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2.011
- 김남희,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실행: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제24권, 제4호, 2014, 537-554.
- 김동심, 이명화,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A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13호, 2019, 845-867.
- 김미숙, 박미경, 고광숙, 김성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학교폭력예방 관련 연구동향 분석", 미래교육연구, 제11권 2호, 2021, 21-64.
- 박한우, Leydesdorff, L.,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6권, 제5호, 2004, 1377-1387.
- 송연석, "온라인수업에 대한 통번역대학원 학습자 인식-교수자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제25권, 제1호, 2021, 119-140. https://doi.org/10.22844/ITS.2021.25.1.119
- 양지선,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운영과 교사의 성찰-수업 성찰일지 작성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언어문화학, 제16권, 제3호, 2019, 143-169
- 연준흠, "초보 한국어 교사의 교사일지에 나타난 자신감과 불안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 이은영, 주경희, 이두희,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최근 소비자학 연구 트렌드 분석", 상품학연구, 제37권, 제1호, 2019, 1-7. https://doi.org/10.36345/KACST.2019.37.1.001
- 임진숙,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021, 219-231.
-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 임현정, "'성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수업보기",초등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2010, 105-128.
- 장선영, 이지안,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2호, 2021, 405-419.
- 장지선,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도덕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2018, 91-108.
- 최경혜, 한유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부모교육 관련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놀이치료연구, 제24권, 제1호, 2020, 87-101.
- 홍효정, 이재경,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2호, 2016, 391-425.
- Bolliger, D. U., and Wasilik, O. "Factors influencing faculty satisfaction with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Vol.30, No.1, 2009, 103-116. https://doi.org/10.1080/01587910902845949
- Bringle, R. G. and J. A. Hatcher, "Reflection in Service Learn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Educational Horizons, summer, 1999, 179-185.
- Danowski, J. A.,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1993, 198-221.
- Driscoll, M.,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Vol. 1, No. 4, 2002, 1-4.
- Lucas, P., "Reflection, new practices, and the need for flexibility in supervising student teachers",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Vol. 15. No. 2, 1991, 84-93. https://doi.org/10.1080/0309877910150209
- Mezirow, J., "How critical reflection triggers transformative learning",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Vol. 1, No. 20, 1990, 1-6.
- Perry, E. H. and M. L. Pilati, "Online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Vol. 128, 2011, 95-104. https://doi.org/10.1002/tl.472
- Rachmadtullah, R., R. Marianus Subandowo, M. A. Humaira, R. R. Aliyyah, A. Samsudin, and M. Nurtanto, "Use of blended learning with moodle: Study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7, 2020, 3272-3277.
- Schon, D. A.,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Jossey-Bass, 1987.
- Sethy, S. S., "Distance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 Overwhelming Desire towards Blended Learning",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9, No.3, 2008, 29-44.
- Siripongdee, K., P. Pimdee, and S. Tuntiwongwanich, "A blended learning model with IoT-based technology: effectively used when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Gifted Young Scientists, Vol.8, No.2, 2020, 905-917. https://doi.org/10.17478/jegys.698869
- Wang, M. J., "Online collaboration and offlin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using asynchronous tools in blended learning",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6, 2010, 830-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