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ussion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s For Technology Leakage Crimes: Based on Acquittal Case

기술유출 형사사건의 처리 실태와 개선 고려사항 논의: 무죄사건을 중심으로

  • 황경준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권헌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Received : 2022.08.20
  • Accepted : 2022.09.27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is emphasized day by day, various protection measures are being carried out to protect technology. But attempts to leak technology are continuing. As an alternative to this, stronger punishment is socially required for technology leakage crimes. In response to these social demands, the standard for punishment has been steadily raised. Legislative bills containing additional reinforcement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in order to substantially enhance the deterrence against crime, it is not enough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standards. The effect can only be fully exercised when the certainty of punishment increas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seeking ways to increas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under the current system rather than the reinforcement of the punishment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reason why the innocence rate in technology leakage criminal cases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riminal cases by analyzing cases and causes of innocent cases in technology leakage criminal cases. Based on this, I discussed improvement considerations to reduce unfair acquittal cases.

기술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됨에 따라 기술보호를 위한 다양한 보호조치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기술유출을 위한 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술유출 범죄에 대해 보다 강력한 처벌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춰 그간 꾸준히 처벌 기준이 상향되어 왔으며 현재도 추가적인 강화 내용을 담은 입법안들이 국회에 계류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범죄에 대한 억제력을 실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처벌 기준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처벌의 확실성이 높아졌을 때야 비로소 그 효과를 온전히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처벌 자체의 강화적인 부분보다는 현 제도 하에서 처벌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췄으며 이를 위해 기술유출 형사사건 중 무죄 사건을 중심으로 사례 및 원인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기술유출 형사사건에서의 무죄율이 일반 형사사건 대비 높은 이유를 도출해보고 이를 토대로 부당한 무죄사건을 줄이기 위한 개선 고려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 기본계획(안) [2022~2026]', 2021.
  2. 산업통상자원부, '제4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 2021.
  3. 조선비즈, "국정원 5년간 산업기술 유출 시도 99건... 22조원 규모" 2022. 4. 2.
  4. 허정현, 이채율, "산업기밀 유출범죄 처벌의 실태와 실효성 제고에 관한 논의" 한국산업보안연구, 제12권, 제1호, pp. 263-292, 2022.
  5. 국회입법조사처, '산업.안보기술 관련 해외 입법 동향과 시사점', 2020.
  6. 이승주. "기술과 국제정치: 기술 패권경쟁시대의 한국의 전략" 한국과국제정치, 38권, 1호, pp. 227-256, 2022. https://doi.org/10.17331/KWP.2022.38.1.007
  7. Zak Dychtwald, "China's New Innovation Advantage" Harvard Business Review, Vo l. 99, No. 3, pp. 55-60, 2021.
  8. Allison Graham, Kevin Klyman, Karina Barbesino, & Hugo Yen, 'The Great Tech Rivalry: China vs the U.S.',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2021.
  9. Peter Navarro, 'Why Economic Security is National Security?', Real Clear Politics, December 9, 2018.
  10. Roberts Anthea, Choer Moraes Henrique, & Ferguson Victor, 'Geoeconomics: the US Strategy of Technological Protection and Economic Security', Lawfare, December 11, 2018.
  11. Haiyang Sun, "U.S.-China Tech War: Impacts and Prospects" China Quarterly of International Strategic Studies, Vol. 5, No. 2, pp. 197-212, 2019. https://doi.org/10.1142/S237774001950012X
  12. 정주호, "산업기술의 보호와 유출방지를 위한 처벌법규의 비교법적 고찰 :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제4호, pp. 8-31
  13. 이장욱,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형사적 규제 실태 연구 - 처벌의 확실성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 제20권, 제1호, pp. 273-300, 2021.
  14. 박강우, "산업스파이범죄의 실태와 법적 규제의 문제점" 형사정책연구, 제23권, 제3호, pp. 129-160, 2012.
  15. 조용순, "2019년 개정 영업비밀보호법 및 산업기술보호법에 대한 검토 : 민.형사적 구제를 중심으로" 시큐리티 연구, 제61호, pp. 333-352, 2019.
  16. 박미랑, "영업비밀침해행위 및 부정경쟁행위 사건 양형요인" 형사법의 신동향, 제62호, pp. 105-132, 2019. https://doi.org/10.23026/CRCLPS.2019..62.004
  17. 이순옥, "산업기밀 유출사건의 처리현황 및 판례에 대한 연구 - 양형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2권, 제2호, pp. 319-363, 2020.
  18. 한지영, "IP 5 국가에서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최신 입법동향 및 영업비밀 소송전략에 관한 비교법 고찰 - 미국, 유럽연합, 일본, 중국 및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 한국지식재산학회 산업재산권, 제63호, pp. 189-253, 2020.
  19. 특허청, '2017-2019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판결문 분석 연구', 146면, 2020.
  20. 국민권익위원회, '디지털시대의 영업비밀보호와 청렴윤리경영', 15-16면, 2022.
  21. 서울경제, "수원지법, 지식재산권 전담부 설치...기술유출 사건 전문성 제고" 2022. 4. 7.
  22. Saleem, Mubeen Begum, & Venkata Sravya, "Issues with perimeter based network security and a better model to resolve them" European Journal of Molecular & Clinical Medicine, Vol. 7, No. 9, pp. 2437-2444, 2020.
  23. R. Rapuzzi & M. Repetto, "Building situational awareness for network threats in fog/edge computing: Emerging paradigms beyond the security perimeter mode"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Vol. 85, pp. 235-249, 2018. https://doi.org/10.1016/j.future.2018.04.007
  24. Ferretti L, Magnanini F, Andreolini M, & Colajanni M., "Survivable zero trust for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Computers & Security, Vol. 110, 2021.
  25. Rhee K, Won D, Jang S-W, Chae S, & Park S, "Threat modeling of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secure smart work"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3, No. 3, pp. 243-256, 2013. https://doi.org/10.1007/s10660-013-9121-4
  26. 한성화, 이후기, "제로 트러스트 환경을 위한 보안 정책 배포 방법에 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22권, 제1호, pp. 93-98, 2022.
  27. Doug Barth & Evan Gilman, 'Zero trust networks', O'Reilly Media, Inc, 2017.
  28. Collier ZA & Sarkis J, "The zero trust supply chain: Managing supply chain risk in the absence of trus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 59, No. 11, pp. 3430-3445, 2020. https://doi.org/10.1080/00207543.2021.1884311
  29. Alper Kerman, Oliver Borchert, Scott Rose, Eileen Division, & Allen Tan, 'Implementing a Zero Trust Architecture', The MITRE Corporation, 2020.
  30. ITWORLD, "재택근무와 IoT보안의 기대주' 제로 트러스트의 현황" 2020. 7. 3.
  31. 김재수, 김자원, 김정욱, 최유림, 장항배 "기술유출행위 군집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제2호, pp. 3-9,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