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 Kim, Ji-w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Organization Counseling) ;
  • Jung, Sung-cheol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지원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 정승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2.05.23
  • Accepted : 2022.06.15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For this study, 300 office workers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trait anxiety, the burnout,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CESS Macroin an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it anxiety and burno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Also trait anxiet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burnou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rait anxiety and burnou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re was a dual mediation effect on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elevate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deal with trait anxiety and burnout which are proved to make them happy than to deal with perfectionism itself.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 주관적 안녕감, 특성 불안, 소진을 측정하였고,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특성 불안,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났고, 특성 불안은 소진과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소진은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에 특성 불안과 소진이 각각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벽주의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 과정 변인으로서 특성 불안과 소진을 다루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요한, 송원영(2020), "수용전념치료(ACT)에 기반한 학업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및 특성불안 성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6), 1059-1075.
  2. 김성환, 송봉규(2014), "주취자에 의한 경찰공무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4, 10-31.
  3. 김수정(2021), 원가정외보호 아동의 우울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미, 백진아(201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321-331. https://doi.org/10.14400/JDC.2018.16.3.321
  5. 김정민(2018),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의 관계,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영, 이재혁(2016), "한의대생의 심리특성 연구 - 한국판 다면적 인성검사 -2, 상태특성 불안 척도를 중심으로," Journal of Orienta.
  7. 김현정, 손정락(2006),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45-361.
  8. 문경(1998), "완벽주의 차원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17, 82-102.
  9. 박민지(2020),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10. 송현화(2015),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불안의 관계: 상태 통제소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희경(2012), 업무환경이 아동복지 종사자의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윤아랑, 정남운(2011), "상담자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13. 유상미, 이승연(2008),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19-136.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19
  14. 이경민, 박주연(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02
  15. 이상택(2017), 플랜트산업 직장인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 고용형태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선주(1995), 특성 불안 및 통제 소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 : 고교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수경(2005), 음악감상 중재와 리듬연주 중재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영주(2005), 완벽 주의와 특성 불안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현진, 주인석, 김명찬(2019), "완벽주의 연구동향 및 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3), 343-368. https://doi.org/10.15703/KJC.20.3.201906.343
  20. 이형권(2015),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1. 이형주, 최해림(2010), "상담자의 공감, 상태-특성불안, 완벽주의 부정적 결과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人間理解, 31(1), 29-45.
  22. 임해원(2020), 초등학교 교사의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담 어려움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명임, 이희경(2011),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 67-83.
  24. 조문주(2007), 불안과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조정아, 정소희, 소천, 남기남(1999), "직장인의 스트레스 양과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2), 167-173.
  26. 조진주(2008), 청소년의 애착과 완벽주의성향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광일(2017), 직무소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하정희, 장유진(2011),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및 사회적지지제공의 관계: 사회적 지지수혜의 매개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23, 427-449.
  29. 한기연(1993), 다차원적 완벽성 :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허현정(2004).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Arricale,F.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 s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32. Bartsch, D. (2007), "Prevalence of body dysmorphic disorder symptoms and asocial clinical features among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Clinical Psychologist, 11(1),16-23. https://doi.org/10.1080/13284200601178532
  33.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34-51.
  34. Campbell, J. D. and Di Paula, A. (2002), Perfectionistic self-beliefs: Their relation to personality and goal pursuit.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Washington, DC : Amer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1-198.
  35. Carver, C. S., Scheier, M. F. and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67-283. https://doi.org/10.1037/0022-3514.56.2.267
  36. Chang, E. C. (2006), "Perfectionism and 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llege student sam- ple: A test of a stress-mediation model,"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5(9), 1001-1022. https://doi.org/10.1521/jscp.2006.25.9.1001
  37. Chang, E. C., Watkins, A. F. and Banks, K. H. (2004), "How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relate to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Testing a stress mediation model in black and whit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geling Psychology, 51, 93-102. https://doi.org/10.1037/0022-0167.51.1.93
  38. Childs, J. H. and Stoeber, J. (2012), "Do you want me to be perfect? Two longitudinal studie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tress and burnout in the workplace," Work & Stress, 26(4), 347-364. https://doi.org/10.1080/02678373.2012.737547
  39. Dean, P. J., Range, L. M. and Goggin, W. C. (1996), "The escape theory of suicide in college students: Testing a model that includes perfectionism."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6(2), 181-186.
  40. Diener, E. and Emmons, R. A.(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https://doi.org/10.1037/0022-3514.47.5.1105
  41. Fairlie, P. (2011), Perfectionism in the context of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rder No. NR79856), Available from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 (885427352). Retrieved from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885427352?accountid=13942.
  42. Flett, G. L., Besser, A. and Hewitt, P. L. (2005), "Perfectionism, Ego Defense Styles, and Depression: A Comparison of Self-Reports Versus Informant Ratings," Journal of Personality, 73(5), 1355-1396.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5.00352.x
  43. Hewitt, P. L. and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456-470. https://doi.org/10.1037/0022-3514.60.3.456
  44. Hewitt, P. L. and Flett, G. L. (2002), Perfectionism and stress processes in psychopathology.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5-284.
  45. Hill, A. P. and Appleton, P. R. (2011), "The predictive ability of the frequency of perfectionistic cognitio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relation to symptoms of burnout in youth rugby play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29(7), 695-703. https://doi.org/10.1080/02640414.2010.551216
  46. Jolley, M. T. and Speilberger, C, D. (1973),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and anxiety on verbal con- di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41(3), 443-456. https://doi.org/10.1111/j.1467-6494.1973.tb00105.x
  47. Kawamura, K. Y., Hunt, S. L., Frost, R. O. and DiBartolo, P. M. (2001), "Perfectionism, anxiety, and de- pression: Are the relationships independen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3), 291-301. https://doi.org/10.1023/a:1010736529013
  48. Maslach,C. and Jackson, S. E.(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y Press.
  49. Pine,A., Aronson, E. and Kafry, D.(1980),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Press.
  50. Saboonchi, F. and Lundh, L. G. (2003), "Perfectionism, anger, somatic health, and positive affe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7), 1585-1599.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382-3
  51. Spielberger, C. D., Gorsuch, R. L. and Lushene R. E. (1970), Manual fo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2.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emotional state, In C. D. Spielberger(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Y: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