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EO Will and Employee Resistance to Innovation of SMEs on Smart Factory Adoption

중소기업 CEO 의지 및 종업원 혁신 저항성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05.06
  • Accepted : 2022.05.25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With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smart factories is increasing.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a smart factory support project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influenc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tention of smart factory acceptance were analyzed. In particular, it focused on how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support affects intention of smart factory accepta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Es and the technical factors of the smart factory center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Based on the model set in this wa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SMEs. In this study, a total of 231 samples of vali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analyze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y, CEO will, and employee resistance to innovation, all introduced as research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intention of smart factory acceptan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mployees' resistance to innov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ir use intention. Meanwhile,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it was divided into a group with high expectations for government support and a group with low expecta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EO's will, employees' resistance to innovation, and social influence on the u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y on the use intention.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4차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CEO 의지, 종업원의 혁신 저항성, 정부지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기술수용이론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이라는 특성과 스마트 팩토리의 기술적인 요인을 반영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위해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23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변인으로 도입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기술활용역량, CEO 의지, 종업원의 혁신 저항성 모두 스마트 팩토리 도입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종업원의 혁신 저항성은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정부지원에 대한 기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CEO의 의지, 종업원의 혁신 저항성, 사회적 영향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과기대, 기술활용역량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희, 김하균(2016),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와 이용에 관한 연구 : 혁신저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5(2), 167-183.
  2. 강정석(2019), 자동화 및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정부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 고제욱, 김종윤, 김해웅, 한경석(2019), "금융부문에서 블록체인의 수용의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혁신저항 효과의 실증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4), 783-795.
  4. 길형철(2019). 스마트 공장 수용요인과 성과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 TOE 및 IS 성공모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5. 김기웅(2017), "중소기업의 IoT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입법과 정책, 9(3), 341-362. https://doi.org/10.22809/NARS.2017.9.3.014
  6. 김기웅(2016), 중소기업의 사물인터넷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7. 김성태(2021),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8. 김승택(2016), "스마트 팩토리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Deloitte Anjin Review, 7, 36-45.
  9. 김정래(2020),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기대와 과업기술적합도를 포함하여," 벤처혁신연구, 3(2), 41-76. https://doi.org/10.22788/3.2.3
  10. 김정래, 이상직(2020), "스마트팩토리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7(1), 75-95. https://doi.org/10.21219/jitam.2020.27.1.075
  11. 김현규(2019),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와 전환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4(2), 65-80. https://doi.org/10.9723/JKSIIS.2019.24.2.065
  12. 박소현, 구본재, 이국희(2016), "빅데이터 성공에 최고경영층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8(2),39-57.
  13. 박제선(2019), 스마트 팩토리 구축 의지와 실행에 관한 관계 분석 : 정부 지원금과 기업 부담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4. 박찬권,서영복 (2020),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과 혁신저항 및 기술 수용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35(4), 167-197.
  15. 박현정, 최재원, 신경식(2015), "가상현실 모션센싱 입력장치에 대한 혁신 저항과 수용," 지식경영연구, 16(4), 191-217. https://doi.org/10.15813/kmr.2015.16.4.011
  16. 배재권(2018), "국내 인터넷 전문은행 이용자의 혁신저항과 혁신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 혁신확산과 혁신저항이론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9(2), 91-104.
  17. 신우찬, 안현철(2019),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혁신특성, 테크노스트레스가 혁신저항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공부문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지식경영학회, 20(2), 59-86.
  18. 신재권, 이상우(2016),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123-134.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123
  19. 왕림림, 장석주(2019),"연구개발.투자와 정부지원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지역개발연구, 51(1), 35-53
  20. 오주환, 서진희, 김지대(2019), "종업원 기술수용태도와 기술 사용용이성이 스마트 공장 기술 도입수준과 제조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6(2), 13-26.
  21. 우지환,김영준(2018), "한국 중소기업의 혁신 저해 요인이 기업의 혁신 활동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8), 115-126.
  22. 유준수(2021), "ERP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따른 기술 수용의 유의성에 대한 실증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1(1), 49-60.
  23. 윤승욱(2013),"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20대 페이스북 비이용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3), 331-360.
  24. 이예림(2019),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준비도가 기술수용성과 기업경쟁력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업가적 지향성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중심으로," 무역연구, 15(4), 465-481.
  25. 이용규(202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의 수용 의도 및 수용 행동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4), 1-18.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4.001
  26. 이용규, 박찬권(2020),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수용 및 활성화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42(4), 251-283.
  27. 이용규, 박찬권, 서영복(2020),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수용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 통합기술수용모형 (UTAUT)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7(5), 157-182.
  28. 이윤호, 박찬권(2021), "혁신저항 극복을 통한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의 수용의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 연구, 29(6), 49-67.
  29. 이은지, 조철호(2021),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연구 동향 분석," 품질경영학회지, 49(4), 551-567. https://doi.org/10.7469/JKSQM.2021.49.4.551
  30. 이종각(2021), 국내 중소기업의 내.외부 특성이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금속가공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차의과학대학교대학원.
  31. 이종근, 길종구(2021),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최고경영자 태도의 조절효과," 경영컨설팅연구, 21(3), 61-84.
  32. 이종원(2022), 중소기업 스마트 팩토리 기술 도입 영향요인 연구 : 경북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33. 정병규(2021), "Metaverse 시대의 신기술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2C 맥락과 B2B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 로," 벤처혁신연구, 4(3), 125-139. https://doi.org/10.22788/4.3.8
  34. 정상일, 박현숙(2021),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6), 199-211. https://doi.org/10.14400/JDC.2021.19.6.199
  35. 정선양, 전중양, 황정재(2016), "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표준화 전략," 기술혁신학회지, 19(3), 545-571.
  36. 조철호(2017),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서울 : 도서출판청람.
  37. 주나영, 김은정, 김종원(2018), "중소제조기업의 혁신 수용에 관한 연구 :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집, 564-569.
  38. 주영석, 이동희(2019), "중소 금속가공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공장 도입 요인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5(1), 70-80.
  39. 중소벤처기업부. 8개관계부처 합동(2018),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40. 최영환, 최상현(2017), "스마트공장 시스템 구축이 중소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19(2), 95-113. https://doi.org/10.14329/isr.2017.19.2.095
  41. 추진영, 이동헌(2018), "스마트팩토리의 에너지관리시스템 수용확산요인이 구성원의 혁신저항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103-116. https://doi.org/10.14400/JDC.2018.16.1.103
  42. Callari, J.(2017), "Smart Manufacturing Needs Smart People," Plastics Technology, 17(1), 4-5.
  43. Chumnumporn, K., C. Jeenanunta, S. Simpan, K. Srivat and V. Sanprasert(2022), "The Role of a Leader and the Effect of a Customer's Smart Factory Investment on a Firm's Industry 4.0 Technology Adoption in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13(1), 26-37. https://doi.org/10.14716/ijtech.v13i1.4814
  44. Dwivedi, Y. K., N. P. Rana, K. Tamilmani and R. Raman(2020), "A Meta-analysis based Modifi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eta-UTAUT): A Review of Emerging Literature,"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36, 13-18. https://doi.org/10.1016/j.copsyc.2020.03.008
  45. Hayes, A. H.(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A Regression-Based Approach, NY : The Guilford Press.
  46. Jerman, A., M. P. Bach and A. Aeksic(2020), "Transformation towards Smart Factory System: Examining New Job Profiles and Competencies,"Systems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37, 388-402. https://doi.org/10.1002/sres.2657
  47. Lin, D., C. K. M. Lee, H. Lau and Y. Yang(2018), "Strategic Response to Industry 4.0: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Chinese Automotive Industry,"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8(3), 589-605. https://doi.org/10.1108/IMDS-09-2017-0403
  48. Mason, C. M., M. Ayre and S. M. Burns(2022), "Implementing Industry 4.0 in Australia: Insights from Advanced Australian Manufacturers,"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https://doi.org/10.3390/joitmc8010053
  49. Puviyarasu,S.A. and C. da Cunha(2021), "Smart Factory: From Concepts to Operational Sustainable Outcomes Using Test-Beds," Scientific Journal of Logistics, 17(1), 7-23.
  50. Rahamaddulla, S.R.B., Z. Leman, B.T.H, Baharudin and S. A. Ahmad(2021), "Conceptualizing Smart Manufacturing Readiness-Maturity Model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in Malaysia," Sustainability, 13, https:// doi.org/10.3390/su13179793
  51. Rashida, A., T. Masood, J. A. Erkoyuncu, B. Tjahjono, N. Khan and M. Shami(2017), "Enterprise Systems' Life Cycle in Pursuit of Resilient Smart Factory for Emerging Aircraft Industry: A Synthe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CSFs), Theory, Knowledge Gaps, and Implications,",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12(2), 96-136. https://doi.org/10.1080/17517575.2016.1258087
  52. Venkatesh, V.,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53. Venkatesh, V., J. Y .L. Thong, and X. Xu(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36(1), 157-178. https://doi.org/10.2307/414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