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 강대구. (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59-98.
- 귀농귀촌종합센터. (2022a). 귀농귀촌맞춤형공모교육. Retrieved May 2, 2022. https://www.returnfarm.com:444/cmn/returnFarm/module/eduAkademy/publicEducation.do
- 귀농귀촌종합센터. (2022b).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Retrieved June 15, 2022. https://www.returnfarm.com:444/cmn/sym/mnu/mpm/1030101/htmlMenuView.do
- 김백수. (2013).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전남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김사현, & 홍경준. (2010).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복지태도 연구. 사회복지정책, 37(2), 95-121. doi:10.15709/hswr.2017.37.2.251
- 김수영, 김명일, 장수지, & 문경주. (2017).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한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251-286. doi:10.15709/hswr.2017.37.2.251
- 김은경. (2016).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은석, & 하지영. (2016).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귀촌 선택 동기와 준비경험: 대졸 남성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6(2), 419-442.
-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doi:10.12653/jecd.2017.24.1.0033
- 김철규, 이해진, 김기홍, & 박민수. (2011).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방안연구. 서울: 농림축산식품부 연구보고서.
- 남인현. (2012). 도시근로자의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농림축산식품부. (2021). 2020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동 기관.
- 농림축산식품부. (2022). 청년농업인 육성정책. Retrieved April 26, 2022. https://www.mafra.go.kr/mafra/1080/subview.do
- 마상진, & 김강호. (2014). 농촌주민의 평생학습 참여결정 요인 분석. 농촌경제, 37(3), 101-124. doi:10.36464/jrd.2014.37.3.005
- 마상진, & 남기천. (2015). 귀농.귀촌인의 경제활동유형별 관련 요인 탐색. 농촌사회, 25(1), 89-124.
- 마상진, & 박대식. (2019). 귀농.귀촌의 역사적 고찰과 시사점. 농촌사회, 29(2), 7-32. doi:10.31894/JRS.2019.10.29.2.7
- 마상진. (2016). 귀농.귀촌, 무엇을 어려워하는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pp. 247-271.
- 마상진. (2018). 귀농.귀촌 동기 유형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 53-72. doi:10.23840/agehrd.2018.50.1.53
- 맹대환. (2022). 베이비붐세대 10명 중 6명 귀농.귀촌의향. 뉴시스. Retrieved April 24, 2022.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413_0001831364
- 문옥표. (2000). 그린 투어리즘의 생산과 소비: 일본 군마현 편품촌의 '총합교류터미널'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10, 205-232.
- 박공주.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이주 준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박시현, & 최용욱. (2014). 귀농 귀촌 요인과 농촌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나주: 농촌경제연구원.
- 박유순, & 최은수. (2017).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4(1), 21-31. doi:10.12653/jecd.2017.24.1.0021
-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 송인하. (2013). 생태가치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오영교, & 차성현. (2018). 대학생의 진로도구준비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방법 (Latent Class Analysis) 을 활용하여. 통계연구, 23(3), 39-64. doi:10.22886/jkos.2018.23.3.39
- 우성호, & 이성근. (2015).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2(2), 101-116. doi:10.12653/jecd.2015.22.2.0101
- 유학열. (2011). 충남지역 귀농.귀촌의 실태 및 유형별 특징. 열린충남, 54. 18-25.
- 윤순덕, 최정신, 마상진, & 남기천. (2017). 귀농.귀촌패널로 본 역귀농.귀촌실태. 농촌사회, 27(1), 59-93. doi:10.31894/JRS.2017.06.27.1.59
- 이민수, & 박덕병. (2012).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9(4), 1137-1170. doi:10.12653/jecd.2012.19.4.1137
- 이정관. (1998). 귀농자의 영농정착과 관련된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흠. (2017).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호서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이해진, & 김철규. (2013). 대안가치지향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특성과 역할. 농촌사회, 23(2), 49-90.
- 이호길. (2015). 도시민의 농촌관광 체험이 귀농귀촌 기대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0(3), 103-123.
- 이희찬, & 김현. (2006). 도시민의 농촌지역 이주의향에 관한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13(2), 127-149. doi:10.23840/agehrd.2011.43.2.75
- 정성지, & 마상진. (2021). 귀농.귀촌인의 농촌사회 적응, 무엇이 결정하는가?-귀농.귀촌 동기와 직업만족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3(1), 1-27. doi:10.23840/agehrd.2021.53.1.1
- 정성지, & 최수정. (2022). 귀농준비자의 귀농의지 검사도구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4(1), 1-26. doi:10.23840/agehrd.2022.54.1.1
- 정성지. (2021). 중장년 귀농교육 참여자의 귀농학습경험과 귀농준비 특성이 귀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돈우, 김동춘, 이항아, & 임청룡. (2019). 도시민 귀농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농촌계획, 25(3), 29-36. doi:10.7851/Ksrp.2019.25.3.029
- 최윤지, 황정임, & 신효연. (2014). 귀농정착자의 정주만족도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3), 321-338. doi:10.7856/kjcls.2014.25.3.321
-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9(6), 716-723. doi:10.1109/TAC.1974.1100705
- Bosworth, G., & Bat Finke, H. (2020). Commercial counterurbanisation: A driving force in rural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52(3), 654-674. doi:10.1177/0308518X19881173
- Bures, R. M. (1997). Migration and the life course: Is there a retirement tran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3(2), 109-119. doi: 10.1002/(SICI)1099-1220(199706)3:2<109::AID-IJPG65>3.0.CO;2-I
- Collins, L. M., & Lanza, S. T. (2010).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New York: Wiley. doi:10.1002/9780470567333
- Dobryagina, N. (2017). Decision theory application in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promotion. Working paper. Rome: Sapienza Universita di Roma.
- Dobryagina, N. (2019).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motivation policies: European Union experience and decision theory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ural Management, 15(1), 97-115. doi: 10.1177/0973005219834739
- EU. (2022.). 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Retrieved from https://ec.europa.eu/eip/agriculture/en/european-innovation-partnership-agricultural
- Farrell, C. (2014). Unretirement: How baby boomers are changing the way we think about work, community, and the good life. New York: Bloomsbury Press.
- Hoffmann, E. M., Konerding, V., Nautiyal, S., & Buerkert, A. (2019). Is the push-pull paradigm useful to explain rural-urban migration? A case study in Uttarakhand, India. PloS One, 14(4), e0214511. doi:10.1371/journal.pone.0214511
- Jedidi, K., Ramaswamy, V., & DeSarbo, W. S. (1993). A maximum likelihood method for latent class regression involving a censored dependent variable. Psychometrika, 58(3), 375-394. doi:10.1007/BF02294647
-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 https://doi.org/10.1177/105960117700200220
- Ranyard, R. (2005). Decision making strategies. B. S. Everitt and D. C. Encyclopedia of statistics in behavioral science (pp. 466-471). Chichester: John Wiley & Sons. doi:10.1002/0470013192.bsa652
- Sclove, S.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3), 333-343. doi:10.1007/BF02294360
- Stockdale, A., & MacLeod, M. (2013). Pre-retirement age migration to remote rural areas. Journal of Rural Studies, 32, 80-92. doi:10.1016/j.jrurstud.2013.04.009
- Stockdale, A., MacLeod, M., & Philip, L. (2013). Connected life courses: Influences on and experiences of 'midlife' in-migration to rural areas. Population, Space and Place, 19(3), 239-257. doi: 10.1002/psp.1709
- Sutherland, L. (2015). EIP-AGRI focus group new entrants into farming: Lessons to foster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Discussion Paper. Bruxelles: EIP-AGRI Service Point.
- Thelin, A., & S. Holmberg. (2010). 'Farmers and Retirement: A Longitudinal Cohort Study'. Agromedicine, 15(1), 38-46. doi:10.1080/10599240903389623
- Weller, B. E., Bowen, N. K., & Faubert, S. J. (2020). Latent class analysis: A guide to best practice. Journal of Black Psychology, 46(4), 287-311. doi:10.1177/009579842093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