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현재 정부에서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 확대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현장 초등학교 교사 역시 정보교육의 확대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77.3%가 될 정도로 정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정보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한 D초등학교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주당 1시간 이상의 정보교육을 꾸준히 실시했다. 학생들에게 정보교육의 사교육 절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교육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16.2%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에 실시된 타 설문조사의 사교육 참여 비율로 응답된 66.5%보다 50.3% 적은 수치를 보여주며 사교육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사례연구 분석 결과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한 강사에 따른 학습 내용이 달라짐을, 학부모는 중요성은 인지하나 학습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지적을 하며 정보교과 및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정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독립교과로서 보편적인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discusses ways to expand computer science education to solve the digital divide.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lso aware of the need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with 77.3% of those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xpansion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has conduc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more than an hour per a week since the 1980s. As a result of a survey, the proportion of students taking private education was 16.2%. It shows 50.3% lower than 66.5% of other surveys conducted in 2021, which means the effectiveness in reducing private education when continuous computer scienc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school system. In the case study analysis,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instructional content varies by instructors due to the abse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but did not know the learning content and mentioned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t means that computer science education should provide a universal educational opportunity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for nurturing future tal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