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016년 9월에 출시된 틱톡(TikTok) 동영상 플랫폼은 더 짧고 더 풍부한 동영상 콘텐츠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소셜미디어 시대를 열었다[1]. 짧은 동영상을 중심으로 하는 SNS인 틱톡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뮤직비디오를 편집하고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작되었다[2]. 현재 틱톡은 단순히 뮤직비디오의 차원을 벗어나 일상생활, 뉴스, 여행, 요리, 외국어, 패션, 운동, 사진과 영상 편집, 정치, 역사, 심리학, 직장생활, 음악 등 다양한 유형의 인스턴트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하고 게시하는 등 범위가 확장되어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이끌었다. 그 중에서 연애 테크닉, 연애 이야기, 연애 일상 기록 등을 소재로 하는 콘텐츠가 이용자의 눈길을 끌고 있다[3]. 2020년에틱톡 빅테이터플랫폼이 발표한 보고서는 연애, 문화, 영화 드라마를 소재로 하는 콘텐츠가 틱톡 플랫폼 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4].
이용과 충족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어떻게 미디어를 이용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5]. 틱톡 연애 동영상의 열풍은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만족감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 틱톡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와 만족감을 높이는 요소는 탐구해 볼 만한 문제다. 미디어 이용 동기는 사용자의 주관적 선호에 의해 성립되며 많은 선행 연구들은 이용자의 유형과 개인 성향을 이용자의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성격, 가치관 같은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사용자들이 가지는 이용 동기도 매우 다르다 [6]. 따라서 사용자의 연애 유형이 틱톡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와 만족감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에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연애 유형화에 대해 심리학에서 여러 가지 분류가 제시되었다. 그 중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분류 체계는 Lee(1973)의 사랑유형이론(LoveStyles Theory)이다[7].그는 사랑의 유형을 여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사랑유형 이론은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연구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랑 유형 이론에 따라 틱톡 이용자를 유형화하고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초하여 어떤 연애 유형이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틱톡 연애 동영상
연구에 앞서 틱톡 인기 장르의 트렌드를 알아보기 위해 2021년 틱독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출간한 보고서를 활용하여 월간 ‘좋아요’를 많이 받은 상위 30개의 영상 장르의 워드 클라우드를 만들었다. Fig.1과같이 가장 인기 있는 다섯 가지 영상 장르는 일상생활 류, 개그류, 연애류, 아이디어류, 반려동물류 순으로 나타났다. 틱톡의 연애 동영상은 새로운 콘텐츠와 형식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용자들은 짧은 동영상을 통해 자신의 연애 경험을 콘텐츠로 만들어 유통하고 있으며 다른 이용자에게 젊은 남녀의 연애에 대한 간접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연애 콘텐츠에 UGC콘텐츠의 대중적 특성이 더해지면서 연애 동영상은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연애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일상적인 연애 상황을 재현하는 연애 동영상은 대중들에게 더 쉽게, 친숙하게 다가간다[8]. 왕건남(2021)등의 연구에 의하면 틱톡에서 성행하는 연애 동영상의 소재는 주로 일상 기록, 상황극, 연애 코칭이다. ①일상 기록: 연애 일상 기록은 부부나 커플의 짧은 동영상에 자주 등장하는 유형이다. 일상을 촬영하여 공유하는 것은 가장 직접적으로 대중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며, 콘텐츠 촬영 및 제작도 기획이 필요한 다른 콘콘텐츠에 비해 쉽고 시간이 덜 걸린다. 부부/커플과 그들의 삶을 비춘 콘텐츠는 언제나 낭만적인 묘사로 가득 차있으며, 교과서적인 연애 방법을 담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과 대입은 시청자들에게 일종의 대리만족을 제공한다. ②상황극: 자신이 스스로 연애 이야기를 창작하여 시나리오를 쓰고 배우를 섭외해 함께 연출해 만든 짧은 동영상 드라마 형식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시청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드라마와 같은 연극류 연애 동영상의 자극적인 줄거리는 시청자의 이목을 끌고 후속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켜 팔로우를 유도한다.③연애 코칭:자신의 연애 이야기와 경험을 결합하여 연애 스승으로써 이성의 심리를 분석하고, 심리학을 기초하여 연애 기교를 가르치는 새로운 형식의 연애 동영상이다[9]. 연애에 대한 조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콘텐츠는 젊은 사람들에서 성행하면서 연애 '공식화'라는 개념으로 알려지고 있다.
Fig. 1. 틱톡 인기 동영상 장르 Top30.
이처럼 지금 틱톡에서 연애 블로거는 자신의 연애 이야기와 경험을 나누는 이외에도 연애 스승으로 써 연애 기교를 가르치고, 이성의 심리를 분석하고, 구독자의 연애 문제에 대해 상담을 하는 여러 연애 동영상 형식으로 이용자의 눈길을 끌고 있다[8].
2.2 사랑유형 이론
사랑은 로맨틱한 관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표현되는 감정이다. 사랑은 만족스러운 상호작용과 관계를 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들 중하나이며 관계의 질적 범위 내에서 주관적인 행복감, 삶의 만족도, 사회적 존재감, 부정적인 감정에 반대되는 더 긍정적인 과거의 경험의 존재 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한편 사랑은 타인에 대해 의존적이고 강박적인 행동과 연관될 때 스트레스, 불편함, 투쟁, 고통 등 부정적인 감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수년동안 많은 심리학 연구에서 사랑에 대한 분류가 제시 되었고, 사랑에 대한 분류는 심리학 외 다른 연구 분야에서 다수 활용되고 있다[10].
JohnAlanLee(1973)는 인간의 사랑을 ‘낭만적 사랑’, ‘오락추구적 사랑’, ‘동료적 사랑’, ‘논리적 사랑’, ‘소유적 사랑’, ‘이타적 사랑’6가지로 구분하고 사랑 유형 이론을 제시하였다[7]. 이 6가지 연애 유형은 가장 체계적이고 완전하며 연애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0, 11].Table 1은 Lee의 6가지 연애 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Table 1. The concept of human's six love styles.
Lee의 사랑유형이론은 사랑의 상태를 3개의 일차적인 유형과 이들 일차적인 유형을 다시 조합한 3개의 이차적 유형으로 분류했다. 일차적 유형은 열정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에로스(Eros), 밀고 당기는 식의 게임 같은 사랑을 의미하는 루두스(Ludus)그리고동반자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스트로게(Stroge)이다. 이차적 유형은 강박적, 몰입적 성격의 마니아(Ma- nia), 상대를 우선시하는 아가페(Agape)와 실용적 인적합성을 고려하는 프래그마(Pragma)가 있다[12]. 이를 바탕으로 Hendrick부부(1986)는 LAS(Love AttitudeScales)계량표를 개발하여 인간의 연애 유형을 고찰하였다.LAS 계량표는 여러 나라의 연구자들에게 사용되면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13, 14].
2.3 이용자 유형과 이용 동기
SNS 이용자의 유형화에 관한 개념은 연구목적에 따라 종종 달라진다.SNS이용 동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동기가 성격, 심리, 이용 특성, 개인의 내외적성향 등 이용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한다[15].Shen&Khalifa(2008)는 개인의 소속 욕구에 따라 SNS 이용 유형을 인식(awareness), 인지적(cognitive), 사회적 존재감으로 세분하였다.SNS 이용 유형에 따라 이용 동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 결과, 사회적 존재감 이용 유형은 SNS의 외재적, 내재적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Bibby(2008)는 이용자 성격적 특성에 따른 SNS이용 동기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신경증이높은 이용자는 무료함에 시간을 보내기 위해 SNS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았고, 성실한 성격을 가진 이용자는 음악, 사진을 업로드하고 여가 활동을 즐기기 위해 SNS를 이용하는 경향이 낮게 보였으며, 외향성이 높은 이용자는 여가 활동을 위해 SNS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유사한 맥락에서안정민(2011)은 SNS이용자 성격과 이용 동기가 정서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이용자의 외향적 성향이 강할수록 정보 획득 이용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7]. 김봉섭, 신명희, 임도경, 이인희(2013)의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를 열성형, 특화형, 실험형, 제한형으로 세분화하고 이용자 유형에 따른 이용 동기를 알아보았다[18]. 그결과 이용자 유형에 따라 SNS 사회성 동기, 보상 동기, 정보 동기의 강도가 달라진다고 말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ee의 사랑유형 이론에 의해 틱톡 이용자를 연애 유형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하고 개인의 연애 유형에 따른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2.4 이용과 충족이론
동기는 이용자가 특정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심리적 상태다. 수용자들은 자신의 욕구를 의식하는 상태에서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하여 이용하다. 자신의 콘텐츠를 더 광범위하게 유통하기 위해서 미디어 사업자들은 수용자들의 이용 동기를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19]. 소셜미디어 이용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사람들이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만족도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지속적인 이용과 같은 미래의 잠재적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변인으로 알려져 왔다.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정의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용과 충족 이론에서 미디어 이용행태를 설명한 연구들이 많다. 이용과 충족 이론은 사람이 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지에 관심을 두는 이용자의 관점을 가지고 있는 이론이다. 즉, 수용자는 단순히 메시지를 미디어로부터 전달받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이용 동기와 욕구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를 소비함으로서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하려고 하는 존재이다 [20].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서 개인의 심리적 욕구와 필요가 미디어를 선택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동기임이 밝혀졌다[21].틱톡 이용자들은 각자의 욕구와 목적 및 필요성에 동기를 두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특정 콘텐츠를 채택하고 이용한다. 이러한 이용자 욕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으로 접근할 수 있다[22].
2.5 틱톡 이용 동기와 만족도
이용과 충족이론의 시각에서 틱톡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조승호, 조상훈 (2021)[23]은 카카오톡 선물에 대해 편의적 오락적 이용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혜택적 동기, 즉흥적 구매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발견하였다. 우정, 윤홍권, 권혁인(2020)[24] 의연구에 따르면 TikTok의 이용 동기 중 오락 추구, 상호작용, 도피성 동기가 이용자의 지각된 기능적, 사회적, 정서적 가치를 통해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반면에 정보 추구 동기는 지각된 가치를 가져오지 못한다. 샤오 진화․이상기(2021)는 한국과 중국의 청소년의 틱톡 이용 동기를 비교한 결과, 한국 청소년의 경우 틱톡을 통한 시간 보내기가 가장 주요한 이용 동기였으며, 중국 청소년은 오락/정보 추구가 가장 주요한 이용 동기이고, 한․중 청소년의 다양한 이용 동기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 사용의도를 높이는 요인이며 영향력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9].이처럼 틱톡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가 활약하고 있다.
2.6 기존 연구의 평가와 연구독창성
틱톡과 관련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기존연구자들은 짧은 동영상의 특성[26], 이용특성[25], 이용 동기[23, 24]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틱톡 짧은 동영상이 어떻게 이용되고 확산되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에 주안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콘텐츠/장르의 특성을 다루는 연구들은 아직 활발하게 발표되지 않고 있다.2021년 12월에 틱톡 빅데이터 플랫폼은 하루 평균 동영상 검색량이 4억 번을 돌파했다고 보고하였다[27]. 앞으로 틱톡 동영상 콘텐츠를 장르별로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연구 토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많은 학자들은 사랑유형 이론에 기초하여 사람들의 사랑 유형이 의사소통 방식[28], 관계 만족도[29], 심리치료[30]등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규명했지만 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집중하여 다른 분야와 결합하는 연구는 아직 드물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랑유형이론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에 융합하여 틱톡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연애 콘텐츠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사랑유형을 지닌 사람들이 틱톡 연애 동영상 사용에 대한 동기와 만족도 차이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다. 틱톡 연애 동영상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가 향후 짧은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기능 최적화, 동영상 내용 규범화, 수용성 높임 등 콘텐츠 제작 분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3. 연구설계
3.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지금까지 살펴본 이론적 논의를 정리해보면 먼저 Lee의 사랑유형이론을 통해 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을 알아보고 나서 연애 유형에 따른 이용 동기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많은 선행 연구자들이 여러 가지 차원에서 SNS 이용 동기를 규명했는데 본연구에서는 학습적 동기, 오락추구적 동기, 문제해결 동기,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 자기 확인 동기를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용과 충족의 틀에서 이용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틱톡 이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지 등 일련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AS계량표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틱톡 이용자들의 연애 유형,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및 이용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및 모형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H1.이용자의 연애 유형은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이용자의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1.낭만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2.놀이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3.동반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4.실용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5.강박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6.이타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이용자의 연애 유형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1.낭만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2.놀이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3.동반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4.실용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5.강박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6.이타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이용자의 동반형 연애 유형은 연애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1.낭만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2.놀이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3.동반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4.실용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5.강박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6.이타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이용자의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1.낭만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2.놀이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3.동반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4.실용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5.강박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6.이타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이용자의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1.낭만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Fig. 2. Research model.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2.놀이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3.동반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4.실용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5.강박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6.이타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이용자의 연애 유형과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낭만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놀이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3.실용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4.동반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5.강박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6.이타형 연애 유형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7.오락추구적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8.사회관계 추구적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9.연애기교 학습적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0.자기 확인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1.문제해결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Fig. 2. Research model.
3.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활용되는 사랑 유형 이론에 따라 이용자를 분류하고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틱톡 연애 동영상 활용 동기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서울, 전라북도 지역에 대학교, 거주 중인 개인 및 직장인 중 틱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설문 조사는 2021년 12월 20일~27일로, 총 7일간 이루어졌다. 최종 설문지는 총 428부를 회수하여 이 중에서 실증 분석에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설문지 4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위해 SPSS25.0를 활용했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분석기법을 적용했다.
표본의 인구통계학 특징은 Table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남자 218명(52.7%)이고 여자는 196(47.3%) 명이다.각 연령층의 비율은 10대 23.7%, 20대 33.3%, 30대 23.4%, 40대 16.4%, 50대 3.2%로 분포하였다. 틱톡 하루 이용시간은 1시간 이내 189명(45.7%)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1~2시간 이내 126명(30.4%), 2~3시간 이내 50명(12.1%), 3시간 이상 49명(11.8%)이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samples.
3.3 주요변수의 측정
Table3와 같이 연애 유형에 대한 측정은 Hendrick 제시한 Love Attitude Scales를 번역하여 연구를 응용했다. 여기서 사용된 계량표에 따라 모두 낭만형, 놀이형, 동반형, 실용형, 강박형, 이타형 6가지 연애유형 분량표로 나누어 각각 7개로 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 1, 7, 13, 19, 25, 31, 37은 낭만형에 관한 문제이며, 문항 2, 8, 14, 20, 26, 32, 38은 놀이형, 3, 9, 15, 21, 27, 33, 39는 동반형, 4, 10, 16, 22, 28, 34, 40은 현실성, 5, 11, 17, 23, 29, 35, 41은 강박형, 6, 12, 18, 24, 30, 36, 42는 이타형에 관한 문항이다. 각유형에 대한 결과는 리커트 점수로 계산하였으며, 각 분량표 7개 문항의 총점은 피험자의 특정 연애 유형의 정도를 반영한다.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문항은 학습/정보, 오락/흥분, 사회적 상호작용, 긴장해소/현실 도피, 실용적 동기, 습관/시간 보내기, 자기 확인 등 데이트/연애 미디어 이용 동기 요인(김선웅, 2017;두설응, 2017) [24, 25]과 측정 문항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여 오락추구적 동기, 연애 기교 학습 동기, 사회관계 동기, 자기 확인 동기, 문제해결 동기 등을 측정하고자 한다. 틱톡 연애 동영상의 이용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 틱톡 이용 만족도에 쓰였던 측정 문항을 수정, 변형하여 활용하였다[26]. 설문 문항 대답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Table 3. Variable measurement items.
4. 연구결과
4.1 신뢰도 검증결과
신뢰도 분석이란 동일한 조건의 측정 대상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의 반복 측정치들 사이의 일관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증 방법인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방식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0.6이상의 알파 값이면 충분히 신뢰할 만한 문항이라 할 수 있다(LeeCron- bach, 1951). 자기확인, 문제해결 등 동기의 신뢰도 계수는 0.6이하로 나타났다. 설문의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4과 같이 연애 유형, 이용 만족도에 관한 척도의 신뢰도는 모두 0.6보다 신뢰도 계수가 높았다. 자기확인 동기 중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인 ‘Q17.틱톡 연애 동영상을 통해 저는 다시 사랑하는 용기를 찾아왔다’, 문제해결 동기 중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인 ‘Q15.블로거의 연애코칭은 나를 깨우치게 한다', 'Q22.연애 동영상은 나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를 삭제하고 나머지 19개 문항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정된 이용 동기측정 문항의 신뢰도 계수는 0.65이상으로 수용할 만한 수준을 이루어졌다.
Table 4. Reliability analysis.
4.2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검증 결과
틱톡 이용자의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19개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동기에 대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아이겐 값(eigenvalue)1.0 이상 기준에 따라 총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오락추구적 동기',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 '연애기교 학습적 동기', '자기 확인 동기', '문제해결 동기'로 나타났다. 요인들은 전체 변량의 68.571%를 설명하고 있다.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는 총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요인 1]은 오락추구적 동기로 '심심해서', '복잡한 일을 벗어나기', '재미있어서', '연애의 즐거움을 체험하기 위해', '시간 때우기 위해'의 5가지 세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오락추구적 동기는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변량의 19.599%(아이겐 값=3.344)를 차지하고 있다. [요인 2]는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로 '친구간의 화제를 제조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감정생활을 알아보기 위해’, '주변 지인의 추천', '새로운 친구를 더 사귀기 위해',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다‘의 다섯 가지 세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사회관계 추구적 동기는 전체 이용 동기 변량의 16.195%(아이겐 값=2.697)를 구성하고 있다. [요인 3]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틱톡 블로거의 이야기에 대한 반응은 나한테 도움이 된다', '틱톡 연애 동영상 가운데 대화나 행위를 배우고 운용하기 위해', '나와 나의 주변 친구들은 틱톡 연애 동영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새로운 연애나 혼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연애 경험을 쌓기 위해'의 세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애기교 학습적 동기는 총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변량의 15.883%(아이겐 값=2.638)를 차지하고 있다. [요인 4]는 자기 확인 동기다.자기확인 동기의 세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틱톡 연애 동영상을 통해 자신의 매력이 확인되기 위해', '틱톡 연애 동영상 내용이 나의 공감을 일으킬 수 있다' '틱톡 연애 동영상을 통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의 세가지이다. 자기확인 동기는 전체 이용 동기 변량의 9.346%(아이겐 값=1.396)를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요인 5]은 문제해결 동기로, '좋아하는 이성의 생각을 알기 위해''자신의 감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두 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문제해결 동기는 전체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동기 변량의 7.548%(아이 겐 값=1.054)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5. Factor analysis on the motivation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use TikTok dating videos.
4.3 가설의 검증결과
4.3.1 상관 분석 결과
먼저 틱톡 이용자의 6가지 연애 유형과 5개의 이용 동기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6참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6. Correlation matrix.
*p<.05, **p<.01, ***p<.001.
첫째, 틱톡 이용자가 지닌 6가지 연애 유형 중 놀이 형(r=.780, p<0.01), 강박형(r=.139, p<0.01)과 이용 동기 요인 1(오락추구적 동기)간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따라서 가설1의 H1-1-5(강박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이용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H1- 1-1, H1-1-2, H1-1-3, H1-1-4, H1-1-6은 기각되었다.
둘째, 놀이형(r=.286, p<0.01)연애 유형과 틱톡 이용 동기 요인2(사회관계 추구적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설1의 H1-2-2(놀이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 H1-2-1, H1-2-3, H1-2-4, H1-2-5, H1-2-6은 기각되었다.
셋째, 놀이형(r=.708, p<0.01), 강박형(r=.131, p< Table 6. Correlation matrix.
0.01)연애 유형은 이용 동기 요인3(연애기교 학습적 동기)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따라서 가설1의 H1-3-2(놀이형 연애 유형은 연애기교 학습적 이용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5(강박형 연애 유형은 연애 기교 학습적 이용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지지되었다. H1-3-1, H1-3-3, H1-3-4, H1-3-6은 기각되었다.
넷째, 놀이형(r=.592, p<0.01), 강박형(r=.268, p< 0.01), 이타형(r=.502, p<0.01)연애 유형과 이용 동기 요인 4(연애기교 학습적 동기)사이의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설1의 H1-4-2 (놀이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5(강박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6 (이타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H1-4-1, H1-4-3, H1-4-4는 기각되었다.
다섯째, 실용형(r=.476, p<0.001), 강박형(r=.333, p<0.01), 이타형(r=.134, p<0.01)연애 유형과 이용 동기 요인5(문제해결 동기)간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설1의 H1-5-4(놀이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5(강박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6(이타형 연애유형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H1-5-1, H1-5-3, H1-5-4는 기각되었다.
4.3.2 H1의 검증
본 연구의 가설은 연애 유형이 틱톡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과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에 앞서 독립 변수들 간의 높은 상관관계로 발생하는 다 중공선 성을 검토하였다.Table7~11, Table13에서 도출된 회귀 분석 결과에서, 독립 변수 간에 다중 공선성이 존재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산 팽창 인수(VIF, VarianceInflationFactor)확인을 통한 다중공선성검정을 실시했다. 본 연구는 0<VIF<10일 때 변수들은 공선성이 존재하지 않다고 간주하였다.10< VIF<100일 때 변수들 간의 공선성이 강하고 VIF> 100일 때는 변수 간의 공선성이 매우 강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검정에 대한 결과는 Table7~11, Table 13에 정리되어 있으며 VIF값이 모두 10 미만으로 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1)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이 오락추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이 오락추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7와 같다. 우선 단계1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오락추구적 동기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R²=.042, F=7.088).다만 연령이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04, p<.01).다음으로 단계2에서 모든 독립변인이 오락추구적 동기변량의 60.3%를 설명하였고(R²=.603, F=124.106), ‘놀이형(β=.776, p<.001)’, ‘강박형(β=.324, p<.05)’의 순서로 오락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Effect of love styles on entertainment motivation (β).
*p<.05, **p<.01, ***p<.001.
(2)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이 사회관계 추구 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이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8과 같다.우선 단계 1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 변량의 46.6%를 설명하였다(R²=.466, F=280.875).연령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420, p<.01).반면 이용자의 결혼/연애 상태 가는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95, p<.01).다음으로 단계2에서 모든 독립변인이 오락추구적 동기 변량의 59.3%를 설명하였고(R²=.593, F=228.362). '연령(β= .379, p<.01)', ‘놀이형(β=.141, p<.001)’의 순서로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이용자의 결혼/연애상태가는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여전히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98, p<.01).
Table 8. Effect of love styles on social relationship motivation (β).
*p<.05, **p<.01, ***p<.001.
(3)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이 연애기교 학습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이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Table9와 같다. 우선 단계1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연애기교 학습적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R²=.108,F=2.838). 다음으로 단계2에서 모든 독립변인이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 변량의 57.1%를 설명하였고(R2= .57.1, F=8.951), 놀이형(β=.158, p<.01), 강박형(β= .149, p<.01)의 순서로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 Effect of love attitudes on love skills-learning motivation (β).
*p<.05, **p<.01, ***p<.001.
(4)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이 자기확인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이 자기 확인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Table10과 같다.우선 단계 1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은 자기 확인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R²=.105, F=4.836, p> .05).단계2에서 투입된 변인들은 자기확인적 동기 변량의 51.2%를 설명하고 있다(R²=.512, F=13.889). 연애 유형 중 이타형(β=.334, p<.01), 놀이형(β=.327, p<.01), 강박형(β=.224, p<.01)의 순서로 자기확인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0. Effect of love attitudes on self-verification motivation (β).
*p<.05, **p<.01, ***p<.001.
(5)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이 문제해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애 유형이 문제해결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11과 같다. 우선 단계1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은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 변량의 9.7% 를 설명하고 있다(R²=.097, F=9.726).연령은 문제해결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β= .181, p<.05).단계2에서 투입된 변인들은 오락 추구 적 동기 변량의 62.9%를 설명하고 있다(R²=.629, F= 21.876).연애 유형 중 실용형(β=.235, p<.001), 강박형(β=. 170, p<.01), 이타형(β=.129, p<.01)의 순서로 문제해결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able 11. Effect of love attitudes on problem-solving motivation (β). Adjusted R squared
*p<.05, **p<.01, ***p<.001.
이상의 가설1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Table 12과 같다.
Table 12. Summary of hypothesis 1 test results.
4.3.3 H2의 검증
본 연구에서는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틱톡 이용자의 연애 유형, 이용 동기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12와 같다.
Table13에 따르면 1단계에 투입된 인구통계학 변수는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4.538, R²=.025, p>.05). 이어서 2단계에서 여섯 가지 연애 유형을 투입한 분석결과를 보면 모든 독립변인은 이용 만족도 변량의 52.0%를 설명하고 있다(F= 50.688, R²=.520). 여섯 가지 연애 유형 중 놀이형(β= .558, p<.001), 강박형(β=.162, p<.01), 실용형(β=.093, p<.05), 이타형(β=.032, p<.01)연애 유형이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 3단계에서 이용 동기를 투입한 회귀모형을 보면 모든 독립변인은 이용 만족도 변량의 81.5% 를 설명하였다(F=131.099, R²=.815). 여섯 가지 연애유형 중 놀이형(β=.173, p<.01)이 이용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 가지 이용 동기 중 오락추구적 동기(β=.598, p<.001),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β=.598, p<.01), 자기확인적 동기(β= .067, p<.001)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3. Regression analyses for H2 (β).
*p<.05, **p<.01, ***p<.001.
이상의 가설2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Table 14과 같다.
Table 14. Summary of hypothesis 2 test results.
5.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Lee(1973)와 Hendrick (1996)의 사랑유형이론을 기초하여 틱톡(TikTok) 이용자의 연애 유형을 알아보고, 이용과 총족이론을통해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틱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SPSS25.0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틱톡 연애 동영상의 가장 대표적인 이용 동기는 오락추구 동기로 다음으로 연애 기교 학습, 사회관계 추구, 자기 확인, 문제해결 순으로 드러냈다. 둘째, 틱톡 이용자들의 인구 통계학 변인이 이용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이용자의 연애/혼인상태는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에 영향을 준다. 즉, 연인과의 관계가 깊을수록 사회관계 추구 적 동기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틱톡 이용자는 연애를 오락적 수단으로 여길수록, 강박적이고 몰입적인 사랑을 추구할 수록 오락추구적 동기,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가 높아졌다. 놀이형, 강박형 연애 유형은 오락추구적,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다.넷째, 틱톡 이용자는 연애를 게임으로 여길수록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가 높아졌다.놀이형 연애 유형은 사회관계 추구적 동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틱톡 이용자는 연애를 게임으로 여길수록, 강박적이고 몰입하는 사랑을 추구 할수록, 연애할 때 상대를 우선시 할수록 자신에 인정받으려는 자기확인 동기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놀이형, 강박형, 이타형 연애 유형은 자기 확인 동기를 증진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섯째, 틱톡 이용자는 상대를 우선시 할 수록, 강박적이고 몰입하는 사랑을 추구할 수록, 연애에 실용적 인적합성을 고려할 수록 자신의 연애문제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문제해결 동기가 높아졌다. 즉, 이타형, 강박형, 실용형 연애 유형은 문제해결 동기를 강화시키는 요인이라고 하겠다.마지막으로, 이용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연애 유형 중인 놀이형, 이용 동기 중인 오락추구적 동기, 연애 기교 학습적 동기, 자기확인 동기는 이용 만족도을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오락추구적 동기는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반면 사회관계추구적 동기, 문제해결 동기는 틱톡 연애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틱톡 연애 동영상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애 유형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추가하여 이용자의 연애 유형을 확인한다. 이용자 연애 유형에 따라 연애 동영상 장르를 정확하게 게시하고 좋은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연애 문제해결에 관련 동영상의 수량과 질을 높여야 하고 실용형, 강박형, 이타형 이용자들의 연애문제해결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킨다. 셋째, 게임형 이용자는 사회관계 맺기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영상 공유와 리뷰 기능을 최적화하여 더 흥미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6. 연구의의 및 한계점
실증적으로 검증된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Lee(1973)의 사랑 유형 이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연애 유형에 따른 SNS 이용 동기의 변화, 이용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밝혔다. 이는 사랑유형이론, 이용과 충족이론에 보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기존의 많은 이용자 특성과 SNS이용에 관한 연구들은 이용자 인구통계학 특징과 개인 성격에 기반해서 이용 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연구했지만, 본 연구는 이용자 특성 중의 연애 성향을 주목하여 이용 동기와 만족도의 영향요소를 탐색하였다.즉, SNS이용 동기의 영향요소를 세분화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SNS 이용 동기 연구는 기존 연구의 일반화된 방식에서 탈피하고 여러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산업적 의의도 가지고 있다.본 연구의결과는 틱톡의 후속 발전에게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다.이제 짧은 동영상은 SNS 콘텐츠의 새로운 형식이고 현황 및 향후 몇 년간의 발전 전망을 보자면 틱톡 짧은 동영상 이용자 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틱톡 연애 동영상도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그 중 20, 30대의 청년층이 주요 이용자 단체로서 연애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이용자들이 틱톡 연애 동영상에 대한 이용 동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충족시키는지를 파악한다면 잠재적 이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지역의 문제이다.연구 조건의 제한으로 인해 필자가 거주했던 있는 지역(서울, 전라북도)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표본을 한국 전체 지역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의 지역적 /인구통계적 범위를 확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심리학과 사회과학 중 연애 유형 변인을 사용하여 틱톡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하지만 이용 동기를 유발하거나 강화하는 다른 심리학적, 사회학적 요소가 많고 그런 요소들이 종종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다른 심리학적 변인들을 종단적으로 발굴하면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설명력이 높아질 것이다.
References
- Y. Liu,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Short Video Apps - Focusing on TIK TOK (DOUYIN) Apps in China," Proceeding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61-62, 2019.
- X.L. Zhao and J. Ma, "Analysis on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Contents of Instant Video Based on the TikTok Appli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Chinese Men in Their Twenties,"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6, No. 2, pp. 527-537, 2020. https://doi.org/10.18208/ksdc.2020.26.2.527
- K.N. Zhang and H.O. Cho, "A Comparative Analysis of SNS Usage Motivation, SNS Ad Acceptance, and eWOM According to Valu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NS User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2, No. 1, pp. 137-149, 2021. https://doi.org/10.9728/dcs.2021.22.1.137
- 2020 Tik Tok Big Data Report(2021), http://zatime.com/9071.html (accessed March 4, 2022).
- E.Y. Cho and S.H. Lim, "Social Viewing Motivation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3, No. 10, pp. 1331-1338, 2020. https://doi.org/10.9717/KMMS.2020.23.10.1331
- J.M. Le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and Use Motivations of YouTube Users on Compulsive YouTube Usa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9, No. 9, pp. 512-520,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512
- J.A. Lee, "A Typology of Styles of Lov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3, No. 2, pp. 173-182, 1977. https://doi.org/10.1177/014616727700300204
- X.M. Liu and T.D. Zeng, "Review on the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Outlook on Love," Education Review, Vol 1, No. 9, pp. 6-7, 2015.
- J.N. Wang, Self-Presentation of Tik Tok Couples' Short Video, Dorctor's Thesis of Inner Mongolia University, 2021.
- C.M.K. Dush and P.R. Amato, "Consequences of Relationship Status and Quality for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2, pp. 607-627, 2005. https://doi.org/10.1177/0265407505056438
- D.X. Wei, Colleg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Conflict_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Efficacy and Coping Style, Master's Thesis of Nanning Normal University, 2016.
- H.D. Joo and S.N. Park, "Does Love Depend on Blood Types?: Blood Types, Love Styles, and Love Attitude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0, No. 3, pp. 67-80, 2006.
- C. Hendrick and S. Hendrick, "A Theory and Method of Lo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0, No. 2, pp. 392-40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0.2.392
- C. Hendrick and S. Hendrick, "The Love Attitudes Scale: Short Form,"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 12, No. 2, pp. 147-159, 1998. https://doi.org/10.1177/0265407598152001
- K.N. Shen and M. Khalifa, "Exploring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social pres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unities,"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 24, No. 7, pp. 722-748, 2008. https://doi.org/10.1080/10447310802335789
- P.A. Bibby, "Dispositional Factors in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Computing Resear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ce and Security Informatics, pp. 392-400, 2008.
- Z.M. An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User Behavior and Personality on Building Emotional Connectedness, Master's Thesis of Asia University, 2011.
- B.S. Kim, M.H. Shin, D.K. Lim, and I.H. Lee, "A Study of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Activity Types according to Social Media User Types," Institute of Social Science, Vol. 29, No. 2, pp. 105-134, 2013.
- J.H. Shao and S.K.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Motivation to Use Tiktok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ou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21, No. 1, pp. 234-268. 2021. https://doi.org/10.14696/jcs.2021.03.21.1.234
- T.S. Kang. Association between Motivations to Consume Snack Cultur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2015.
- Y.Y. Kim, "Social Media Use and the Us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4, pp. 407-41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407
- N. Zhang and C.Y Kim,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deo Advertisements Generated by Social Media Users: Centered on Video Content Type and Information Frame-work,"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5, No. 1, pp. 103-113, 2022. https://doi.org/10.9717/KMMS.2022.25.1.103
- S.H. Cho and S.H. Cho, "Effect of Motivations and Satisfaction using Kakaotalk's Gift on the Frequency of Purchasing Kakaotalk's Gif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9, pp. 454-464, 1997.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454
- Y. Ting, H.G. Yoon, and H.I. Kw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hort Clip Platform Motivati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l. 35, No. 4, pp. 471-502, 2020
- L.M. Zhang, Effects of the Usage Motivations and Usage Pattern of Short Videos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Digital Music Platform : Focusing on Netease Cloud Music in China, Master's Thesis of Chungang University, 2019.
- Y. Chung and X. Wei,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of TikTok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Role of Commercial Vi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20, No. 6, pp. 77-89,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077
- Annual report on short video and live broadcast marketing in 2021(2022), https://mp.weixin.qq.com/s/kw8GN2btbM6T_0pROEaNKg (accessed March 30, 2022).
- R.B. Keum and Y.H. Lee, "The Influences of Sexual Communication Style o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mong Married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7, No. 4, pp. 623-652, 2012.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5
- S.Y. Han and H.Y. Hong, "A Study on the Love Type, Self-Respec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Single Men and Women," Integrated Therapy Study, Vol. 2, No. 1, pp. 25-48, 2010.
- Y.S. Yang, "Psychology and Therapeutic Methods of Love for Happiness in Marital Lif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p. 39-59, 2008.
- S.W. Kim, A Study on the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Viewing Experience of Reality Program : A Comparative Analysis of Viewing Motivation, Attitude and Gratification with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Doctor's Thesis of Sejong University, 2017.
- X.N. Du, A Study on the Effects of Chinese TV Date Reality P 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Romantic Attitudes, Master's Thesis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