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교육부.
-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부.
- 교육부(2017). 2017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교육부(2018). 2018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 교육부(2019). 2019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교육부(2020).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0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교육부(2021a).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교육부(2021b). 현장성과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초 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 교육부.
-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 https://kess.kedi.re.kr/stats/school?menuCd=0101&cd=4115&survSeq=2019&itemCode=01&menuId=m_010104&uppCd1=010104&uppCd2=010104&flag=B (검색일: 2022. 1. 30)
- 구하라.차윤경.모경환(2018).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요인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2), 105-127.
- 김병찬(2010). 교육행정학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 교육연구, 18(2), 131-184.
- 김혜진.박효원.박희진.이동엽.이승호.최인희.길혜지.김정현.이호준(2020).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연구: TALIS 2018 결과를 중심으로(II). 연구보고 RR 2020-04.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 남부현.장숙경(2016). 초등학교 다문화 특별학급 담임교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2(1), 145-172. https://doi.org/10.24159/JOEC.2016.22.1.145
- 류방란.김경애(2014).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다문화교육연구, 7(3), 87-111.
- 모경환.부향숙.구하라.황혜원(2018).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다문화교육연구, 11(3), 287-308.
- 모경환.이혜진.임정수(2010). 다문화 교사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 다문화교육연구, 1(1), 21-35.
- 박철희.박주형.김왕준(2016).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현실과 과제: 서울 서남부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9(2), 173-201.
- 박희진(2020). 교육격차 원인과 대응방안: 이주배경 자녀의 교육경험 개선을 중심으로, 김태완 (책임) 한국사회 격차문제와 포용성장전략(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제7장 pp. 165-192).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세계일보(2017.11.1.). "다문화 아이 많아 싫어요" … 자녀학교 옮기는 부모들. https://m.segye.com/view/20171101005397 (검색일: 2022.2.23.)
- 송효준.양경은(2018). 이주민 밀집지역 내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연계 효과. 학교 사회복지, 9(4), 81-99.
- 신혜숙.박주형(2020).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5), 255-274.
- 양경은(2019). 이주민 밀집지역 학교의 면학 분위기는 정말 나쁜가? 비이주배경 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저해 분위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3), 565-580.
- 양계민.김성식.김재우(2017). 다문화교육 종합발전방안연구. 교육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오성배.강충서(2014). 다문화교육 교원연수 참여에 따른 교사의 교육지원 행위 차이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7(2), 1-25.
- 오성배.박휘훈(2018).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사례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6(1), 71-92.
- 우룡(2007). 도시와 농어촌지역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분석. 청소년보호지도연구, 11, 25-54.
- 이은지.함승환(2018). 이주배경 학생 밀집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 학교장의 문화감응적 교수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27-152. https://doi.org/10.24211/TJKTE.2018.35.3.127
- 이은희(2016).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으로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5(1), 120-133. https://doi.org/10.15812/TER.55.1.201603.120
- 이재창.김현수(2020).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지원방안 논의. 교과교육학연구, 24(4), 387-398. https://doi.org/10.24231/RICI.2020.24.4.387
- 이재창.김현수(2021).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효과 연구: 관심기반 실행모형을 기반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27-58.
- 이창식.박지영.임인택(2012).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19(4), 881-904.
- 이현주(2014). 초, 중등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2), 75-95.
- 장원순(2009).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8(1), 57-79.
- 장유연.정광순(2012).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능력 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9)1), 91-110.
- 장인실.이은혜(2019).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에 관한 연구: 학교 혁신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연구, 12(4), 79-101.
- 장인실.박영진(2018).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다문화밀집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1(4), 1-24.
- 장인실.전경자(2013).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6(1), 73-103.
- 조영달.박선운.박윤경.김재근(2010).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4(2), 163-197. https://doi.org/10.35557/TRCE.44.2.201206.006
- 조인제.김다영.홍명기(2020).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과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외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165-184.
- 조현희(2018).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탐구. 다문화교육연구, 11(1), 29-59.
- 조현희.장인실(2020).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 중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IB 교육과정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8(1), 59-85.
- 조현희.최진영.이정열(2015).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 유형 탐색. 교원교육, 31(3), 121-141.
- 현길자, 염미경(2014).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사교육연구, 53(1), 304-320. https://doi.org/10.15812/TER.53.2.201406.304
- Park, H. J. (2011). Foreign mothers' cultural and social capital and maternal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Case study of a community in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