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과제 번호 : NRF-2019S1A5A2A03055700)
References
- 고명신(2017). 문학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 방안. 리터러시연구, 21, 245-285.
- 고영화(1999). '다시쓰기 ( rewriting )' 활동에 비평적 성격에 대하여 - 전래 동화 다시 쓰기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3, 223-240.
- 곽동우(2011). 독서 혁명, 은행나무.
- 김시천 기획 대담, 박석준 외 지음(2016). 미래 인문학 트렌드, 아날로그.
- 김영희(2012). 구전이야기 다시쓰기(re-writing)을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구비문학연구, 185-242.
- 김호연(2012). 역사 리텔링과 상흔의 치유- 구술사 활용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1, 31-54.
- 나쓰카와 소스케(2018).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이선희 옮김, arte.
- 레진 드탕벨(2017). 우리의 고통을 이해하는 책들, 문혜영 옮김, 펄북스.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셸 루트번스타인(2007). 생각의 탄생, 박종성 옮김, 에코의 서재.
- 미셸 투르니에(2002). 기쁨이 내게 머물게 하소서-성탄절 이야기. 꼬마 푸세의 가출, 이규현 역, 현대문학.
- 박순원(2012).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방법 연구. 우리어문연구, 43, 153-175.
- 박영기(2015). 소통과 배려를 위한 독서와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글로벌 시대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 대학작문, 11, 127-160.
- 박태진(2012). 문학독서와 문학창작을 통해 형성되는 자가치유제의 교육적 의의 탐색. 한어문교육, 27, 75-106
- 사고와표현교재편찬위원회(2019). 사고와표현, 서원대학교출판부.
- 서기자(2015).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융복합적 연구 방법. 문화와융합, 37, 286-308.
- 손동현(2007).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교양교육연구, 1(1), 111.
- 송기정(2013). 여성주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 쓰기 - 앗시아 제바르의 <메디나에서 멀리>를 중심으로. 프랑스학연구, 66, 115-139.
- 알베르토 망구엘(2000). 독서의 역사, 정명진 옮김, 세종서적.
- 엄찬호(2010). 인문학의 치유적 의미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 25.
- 에밀 파게(2014). 단단한 독서, 최성웅 옮김, 유유.
- 유강하(2010). 틈새를 메우는 문학적 상상력 '리텔링'. 중국어문학논총, 63, 445-469.
- 유강하(2010). 스토리텔링과 리텔링 : 《妻妾成群》과 <大紅燈籠高高掛>의 비교연구를 통한 인문치료 방법론 모색. 중국소설논총, 31, 469-492.
- 유강하(2017). 고전 다시 쓰기와 문화 리텔링, 단비.
- 유예진(2010). 프루스트와 화가들, 현암사.
- 이명미(2020). 메타픽션을 활용한 글쓰기 치료 기법 연구. 문학치료연구, 55, 71-104.
- 이명현(2015). 고전소설 리텔링(Re-telling)을 통한 창의적 사고와 자기표현 글쓰기. 우리문학연구. 48. 137-161.
- 이명희(2013). 고전 리텔링(re-telling)을 통한 창조적 글쓰기와 인문학적 성찰. 문학치료, 26, 305-332.
- 이선화(2010). 프랑스현대극에 나타난 다시쓰기의 미학 : 메테를링크의 <조아젤>과 세제르의 <어떤 태풍>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33, 292.
- 이은숙(2021). 문학 리텔링 독서의 치유성 : <이방인>의 세 가지 죽음에 대한 글쓰기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3(9), 429-448.
- 임화순, 김구, 남윤섭(2012). 문학공간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연구 - 소설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40, 139-170. https://doi.org/10.35221/tamla.2012..40.005
- 정성미(2016). 과정중심 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치유의 글쓰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0(1), 379-402. https://doi.org/10.23109/FSIKLE.2016.10.1.014
- 조성미, 유강하, 고혜진, 이소정, 김학찬(2022). 설화 리텔링을 통한 자기 탐색과 자기 이해.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1), 413-437.
- 플루타르코스(2020). 마음의 평온을 얻는 법, 임희근 옮김, 유유.
- 한래희(2013). 대학 교양 고전 교육과 상호텍스트성의 활성화 - 읽기, 토론, 쓰기의 연계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50, 383-423.
- 황혜영(2022). 다시 사고와 표현을 생각하다. 충청일보, 2022.04.13.
- 히라노 게이치로(2006). 책을 읽는 방법, 김효순 옮김, 문학동네.
- Lefevere, A.(1987). "Beyond Interpretation" or the Business of (Re)Writing,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24(1), 17-39
- Taylor, D.(1996). The Healing Power of Stories, Doubleday.
- Gunther, M. A.(2004).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e English Journal, 89(4), 85-88. https://doi.org/10.2307/821990
- Calle-Gruber, M.(2004). L'essai comme forme de reecriture : Cixous a Montaigne, Etudes francaises, 40(1), 29-42. https://doi.org/10.7202/008474ar
- N. L. Anderson and Briggs, C.(2011). Reciprocit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Strategic Processing as Common Ground, The Reading Teacher, 64(7), 546-549. https://doi.org/10.1598/RT.64.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