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for Authorize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ratum and Fossils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2.04.22
  • Accepted : 2022.05.17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inquiry activity for seven national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recently authorized and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reviewed seven of the abovementioned textbooks, which were introduced to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for 2022 in elementary schools.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inquiry activities, which were frequently emphasized since the third curriculum. A chapter entitled "Stratum and Fossils" was selected to analyze the detailed types of inquiry activity using the framework. First,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types of inquiry activity. The result indicated that two out of seven inquiry activities different among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In other words, the two slightly differed from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national textbooks. It was not reasonable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authorized textbook exerted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autonomy and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of national textbooks. Second, science process skills, material, and inquiry process were established as standards for the detailed types of inquiry activity. The study demonstrated a slight difference among textbooks in terms of material and inquiry process, whereas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seven authorized textbooks were the same or similar. This finding indicated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seven types of inquiry activities. Moreover, the study examine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essential learning contents in detail and found that there were more diverse than types of inquiry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2022학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과학 교과서가 검정교과서 체제로 변경되어 운영됨에 따라, 새로 개발된 초등과학 검정교과서 7종과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3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하게 강조해 온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검정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지구과학 영역의 '지층과 화석' 단원을 선정하였고, 탐구활동 유형과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을 마련한 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첫째,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분석을 위하여 6가지 탐구활동 유형(실험 관찰, 모의 활동, 조사 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글쓰기 읽기, 표현하기) 분석 틀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에 제시된 7가지 탐구활동 중 2가지 탐구활동(여러 가지 지층 관찰하기, 과거 생물과 환경 추리하기)에서만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대체로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로써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측면에서는 국정교과서를 활용할 때와 비교했을 때, 검정교과서의 도입을 통하여 교수 학습활동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향상되었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둘째,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탐구 기능, 소재, 탐구과정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중요 학습 요소와 관련한 탐구활동(지층의 형성 과정과 특성 알아보기, 퇴적암 생성 알아보기, 화석의 생성 알아보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탐구활동 유형 측면에 비해 더욱 다양성이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7종의 검정교과서의 도입으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탐구활동 유형이지만, 소재, 탐구과정 범주에서 작은 변화들이 생겼고, 현장에서는 7개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체제가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검정교과서로의 체제 변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국정교과서의 커다란 틀을 벗어나는 것이 쉬는 일이 아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검정교과서 체제 변화로 인하여 기대되는 자율성과 다양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 자체를 너무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않는 등의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김창환(2012). 교과서 검정 심사의 분류일치도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1), 25-50.
  3. 박진용, 신성균, 함승연, 이영아, 남창우, 손예희,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연구보고 RRO 2011-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박창언, 강현숙, 남윤제, 백선희, 이종원(2017).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교육부.한국교과서연구재단.
  5. 송신철, 심규철(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1), 24-3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1.24
  6.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2016).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7. 신명경, 이수정(2013).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교과교육학연구, 17(4), 1483-1499. https://doi.org/10.24231/RICI.2013.17.4.1483
  8. 심규철, 박종석, 박상우, 신명경(2007).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24-31.
  9. 이림, 장소영, 민부자, 홍후조(2019). 초등학교 국정 교과용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4), 73-95.
  10. 이종국(2001).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서울: 일진사.
  11. 임성만(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12.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3. Millar, R. (2010). Analysing practical science activities to assess and improve their effectiveness. Hatfield: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Society, 23(2), 188-193.
  14. Shamsudin, N. M., Abdullah, N. & Yaamat, N. (2013). Strategies of teaching science using an inquiry based science education (IBSE) by novice chemistry teache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0, 583-592. https://doi.org/10.1016/j.sbspro.2013.07.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