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alyses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by Learning Topics of Science Textbook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Analyzing Activity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과서 학습 주제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분석 및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 - '지구와 우주' 영역 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1.10.29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by some learning topics in the 3rd~6th grade science textbook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udge to be teachable in clas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analysis activity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he sever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for all learning topics, they could teach divers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expressed in their responses is more than the components specified in the teacher's guides. Among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curiosity', 'open-mindedness', 'respect for evidence', and 'objectivity' showed relatively high possibility of teaching, while 'honesty', 'collaboration', 'positive acceptance of failure', 'critical mind' and 'suspension of judgment' showed relatively low possibility of teaching. The responses that pre-service teachers judged to be teachable also showed similar patterns in the number of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rate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learning topics of the 3~4th grades and the learning topics of the 5~6th grades. In addition, this pre-service teachers' analysis activity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by learning topics in science textbooks suggested educational effects such as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context of science class', and so on.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3~6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와 우주' 영역의 8개 단원 각 학습주제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특징 그리고 이러한 분석 활동의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가한 예비교사들은 분석 대상 총 59개 학습주제 모두에 대해 교사용 지도서에 명시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보다 훨씬 더 다양한 하위 요소를 수업에서 지도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예비교사들의 응답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중 '호기심', '개방성', '증거의 존중'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도 가능성을 보인 반면에 '실패의 긍정적 수용', '비판적인 마음', '판단의 유보'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한 3~4학년군 학습주제와 5~6학년군의 학습주제 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수나 하위 요소의 응답률 순서 모두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교과서 속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에 대한 이해 증진, 과학 수업 맥락에서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의 이해·적용 안목 함양 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금성출판사.
  2. 교육부(2014).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주)미래엔.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9].
  4. 교육부(2018).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주)비상교육.
  5. 교육인적자원부(2001).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강호감, 강호구, 손중달(1996). 주제3: 생물교육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의 평가. 한국과학교육 학회 '과학 교육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7. 곽영순(2004).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28-1038.
  8. 김성숙(2015). 디지털교과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창식, 이화국, 권재술, 김영수, 김찬종(1991). 과학학습평가. 교육과학사.
  10.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1. 박상우, 신정윤(2015). 2009 개정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태도 관련 내용 분석: 비판성과 개방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21-121.
  12.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375
  13. 장명덕, 배진호, 권난주, 신애경, 정용재, 나지연(2019).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제2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14.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15. Bentley, M., Ebert, C., & Ebert E. S. (2000). The natural investigato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Belmont: Wadsworth/Thomson Learning.
  16. Gardner, P. (1975). Attitudes to science: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1), 1-41. https://doi.org/10.1080/03057267508559818
  17.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 S. Bloom, T. Y. Hastings, & G.E. Madaus (Eds.).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