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gnifying Practices of Technoculture in the age of Data Capitalism: Cultural and Political Alternative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데이터자본주의 시대 테크노컬처의 의미화 실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문화정치적 대안

  • Lim, Shan (Dept. of Curatorial Studies, Dongduk Women's University)
  • 임산 (동덕여자대학교)
  • Received : 2022.03.30
  • Accepted : 2022.04.20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practical examples of technoculture that critically thinks network technology, a strong material foundation in the era of data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and appropriates its socio-cultural metaphor as an artistic potential. In order to analyze its alternatives and the meaning of cultural politics, this paper examines the properties and influence of data capitalism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cultural and artistic context formed by its reaction. The first case considered in this paper, Furtherfield's workshop, provided a useful example of how citizens can participate in social change through learning and education in which art and technology are interrelated. The second case, Greek hackerspace HSGR, developed network technology as a tool to overcome the crisis by proposing a new progressive cultural commons due to Greece's financial crisis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 decrease in the state's creative support. The third case, Paolo Cirio's project, promoted a critical citizenship towards the state and community systems as dominant types of social governance. These technoculture cases can be evaluated as efforts to combine and rediscover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and its artistic realization tradition in the context of cultural politics,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signifying practices of network technology that dominates the contemporary economic system.

본고는 21세기 데이터자본주의 시대의 강력한 물적 토대인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와 그 사회문화적 메타포를 비판적으로 사유하여 예술적 가능성으로 전유한 테크노컬처 사례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그것의 대안성과 문화정치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본격화된 데이터자본주의의 속성과 영향력, 그리고 그 반동으로 등장한 문화예술적 콘텍스트를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첫 번째 사례인 퍼더필드의 <0달러 노트북컴퓨터> 워크숍은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서로 관계하는 배움과 교육을 통해 시민들이 사회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유용한 범례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사례인 그리스의 해커스페이스 HSGR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그리스의 재정위기, 국가의 창작지원 감소 등의 상황에서 공동의 진보적 '문화 공유지' 유형을 새롭게 제안하여 네트워크 테크놀로지를 위기 극복의 동력으로서 개발하였다. 세 번째 사례인 파올로 치리오의 <글로벌 다이렉트> 프로젝트는 사회적 거버넌스의 지배적 유형으로서의 국가와 커뮤니티 시스템을 향한 비평적 시민의식을 제고하였다. 이러한 테크노컬처 사례들은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의 의미화 가능성에 주목하여, 문화정치의 맥락에서 진보적 정치 이념과 그것의 예술적 실현의 전통을 서로 조합하고 재발견한 실천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64975).

References

  1. Christian Marazzi, 'Conventions and disruptions,' in Ricaardo Bellofiore and Giovanna Vertova (eds.), The Great Recession and The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Capitalism, Cheltenham: Edward Elgar, 2014, p.89.
  2. 'About'(Furtherfield.org) (Accessed 2 March 2022)
  3. Jennifer Gabrys, Digital Rubbish: A Natural History of Electronic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 p.154.
  4. James Wallbank, 'James Wallbank Says: The Zero Dollar Laptop Manifesto' (Accessed 2 March, 2022)
  5. Sarah R. Davies, Hackerspace: Making the Maker Movement, Cambridge: Polity Press, 2017, p.48.
  6. Antonios Broumas, Intellectual Commons and the Law: A Normative Theory for Commons-Based Peer Production, London: University of Westminster Press, 2020.
  7. Hackerspace, 'Aeroponics'(Hackerspace.gr) (Accessed 2 March 2022)
  8. Paolo Cirio, 'Global Direct'(Globaldirect.today) (Accessed 2 March 2020).
  9. Paolo Cirio, 'About'(Globaldirect.today) (Accessed 2 March 2020).
  10. Shan Lim, "Alternative Ideas of Publicness in Contemporary Public Art,"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7, No.3, 2021, 199. https://doi.org/10.17703/JCCT.2021.7.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