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urvey of bird community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four times on 2016 and 2017, respectively May and October to figure out effects of the manmade small ecosystem, Anseong. Twenty five species and 94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 19.1%, Pica pica 12.8%, Cyanopica cyana 8.51%, Sinosuthora webbiana and Carduelis sinica ussuriensis respectively 7.45%, the diversity of the species was 2.787. With migration, the highest number and percentage to the lowest was residents 72.0%, summer visitors 20.0% and winter visitors 8.00%. Among 22 species which bred (check or possibility) in the manmade small ecology, Anseong, canopy (C) was 54.5%, hole (H) was 31.8%, bush (B) was 9.09% and ground (G) was 4.55% in their nesting guilds. In foraging guilds in breeding season was canopy (C) was 69.6%, bush (C) was 21.7%, water (W) and ground (G) was respectively 4.35%, and in non-breeding season, canopy was 64.0%, bush 24.0%, ground was 8.00% and water 4.00%. In the study site, the manmade habitats for birds were nest box and wetland (rain garden). In 7 nest box, Parus major was uesd 1 nest box as their breeding on 2016 and 2017, and Passer montanus was used 1 nest box on 2017. We assumed that sustainable rainwater supply may be important to attract many birds in rain garden, the manmade habitat for birds.Unfortunately, however, no birds used rain garden (wetland) as their habitats due to water shortage.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이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6년과 2017년 5월과 10월 4회에 걸쳐 조류 군집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연구지역에서 모두 24종 94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참새 Passer montanus 19.1%, 까치 Pica pica 12.8%, 물까치 Cyanopica cyana 8.51% 그리고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와 방울새 Carduelis sinica ussuriensis 각 7.45%였고, 종다양도는 2.787이었다. 관찰된 조류 25종을 이동성에 따라 나누어 보면 텃새 72.0%, 여름철새 20.0% 그리고 겨울철새 8.00%이었다. 번식조류(확인 또는 가능성) 22종의 영소길드는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54.5%, 수동(H)을 이용하는 종 31.8%, 덤불(B)을 이용하는 종 9.09% 그리고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4.55%이었다. 채이길드는 번식기와 비번식기로 나누었으며, 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3종은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69.6%, 덤불(b)을 이용하는 종 21.7% 그리고 물(W)과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각 4.35%였고, 비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5종은 수관층을 이용하는 종 64.0%, 덤불을 이용하는 종 24.0%, 지표면을 이용하는 종 8.00%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종 4.00%였다. 연구지역에서 조성된 대표적인 조류 서식지는 인공둥지와 습지(빗물정원)이다. 둥지는 연구지역에 모두 7개를 설치하였다. 박새 Parus major가 2016년과 2017년 각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고, 참새 Passer montanus가 2017년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다. 빗물 정원에서 지속 가능한 우수(rainwater)의 공급은 조류가 습지를 서식지로 이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습지로 조성된 빗물정원은 수량의 부족으로 이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는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