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bjectivity on Good Universi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이공계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Received : 2022.01.21
  • Accepted : 2022.02.22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about good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ir undergraduates' experiences among types. Using Q methodology, 29 statements about a good university, reflecting on the previous research as well as quality assurance criteria in higher education, were administered to 16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for ranking using a Q-sort procedure. As a result 16 gradua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for 29 statements. Type 1, oriented student experience, recognized that a good university encourag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s. Type 2, oriented institutional outcomes, recognized that a good university is ranked high in criteria such as employment rate, research outcome, and entrance exam scores etc. Type 3, oriented educational activity, recognized that a good university is regarded as a community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 Finally, considering the finding of the research, some pedagogical and administr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quality improvement in higher education.

학생 중심을 표방하는 대학이 늘고 있으나,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대학이 어떠한 모습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연구는 좋은 대학의 여러 특성 중 학생에 따라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공계열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학생들의 교육 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Q 방법론의 연구절차에 따라서 선행 연구와 대학의 질 관리 기준에 기초하여 29개의 진술문을 개발하고, 사회진출에 성공한 이공계열 졸업생 16명에게 진술문을 Q 표본 배열표에 맞게 분류하도록 하였다. 진술문의 선호도에 따라 참여자들은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학생 경험 중심형인 제1유형은 학생이 교내외 다양한 활동과 경험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하는 대학을 좋은 대학이라 인식했다. 대학 성과 중심형인 제2유형은 취업률, 연구성과, 입학 성적과 같은 지표를 보고 좋은 대학을 판단했다. 교육 활동 중심형인 제3유형은 대학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며 교수와 학습의 질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 연구는 학생의 입장에서 좋은 대학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의 질 관리와 개선을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아주대학교 일반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철, "대학이념이 역사적 변천과정과 21세기 대학이념에 대한 고찰,"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2호, pp.25-46, 2006.
  2. 한숭희, 이은정,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제12권, 제1호, pp.1-31, 2016.
  3. W. J. Bennett and D. Wilezol, 이순영 역, 대학은 가치가 있는가, 문예출판사, 2014.
  4. L. Harvey and D. Green, "Defining Quality,"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Vol.18, pp.9-34, 1993. https://doi.org/10.1080/0260293930180102
  5. 조영하, "21세기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사회적 연대의 관점에서," 교육행정학연구, 제28권, 제1호, pp.1-30, 2010.
  6. M. Udam and M. Heidmets, "Conflicting Views on Quality: Interpretations of 'A Good University' by Representatives of the State, the Market and Academia,"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9, No.2, pp.210-224, 2013. https://doi.org/10.1080/13538322.2013.774805
  7. J. Jungblut, M. Vukasovic, and B. Stensaker, "Student Perspectives 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5, No,2, pp.157-180, 2015. https://doi.org/10.1080/21568235.2014.998693
  8. L. Harvey, "Understanding Quality," EUA Bologna Handbook: Making Bologna Work, Brussels European University Association, 2006.
  9. 김상철, 주영달, 방지우, 정양순, 신범철, 윤지희, 김명현, "인증기관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제20권, 제1호, pp.157-201, 2017.
  10. 이두휴, "한국의 대학평가정책과 평가국가의 특성," 민주주의와 인권, 제19권, 제4호, pp.159-198, 2019.
  11. 최정윤, 정진철, 이정미,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25-58, 2009.
  12. 곽은주,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정부의 관점: 정부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R. L. Brooks, "Measuring University Quality," Review of Higher Education, Vol.29, No.1, pp.1-21, 2005. https://doi.org/10.1353/rhe.2005.0061
  14. E. G. Bogue and K. B. Hall, Quality and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Praeger, 2003.
  15. A. W. Astin and A. L. Antonio, Assessment for Excellen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2.
  16. 서지영, 서화정, 김병주,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쟁점과 과제-평가내용과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9권, 제4호, pp.157-182, 2021.
  17. J. Groen,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 and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PhD Student Experienc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ttawa, 2020.
  18. 신현석, 변수연, 전재은,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의 의미에 대한 성찰과 쟁점," 교육행정학연구, 제34권, 제1호, pp.73-102, 2016.
  19. S. Lagrosen, R. Seyyed-Hashemi, and M. Leitner, "Examination of the Dimensions of Quality in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12, pp.61-69, 2004. https://doi.org/10.1108/09684880410536431
  20.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1.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4호, pp.1-25, 2010.
  22. S.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23. 김소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pp.528-542,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1.528
  24. M. P. ten Klooster, M. Visser, and M. D. T. de Jong, Comparing Two Image Research Instruments: The Q-sort Method versus the Likert Attitude Questionair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9, pp.511-518, 2008. https://doi.org/10.1016/j.foodqual.2008.02.007
  25. https://shawnbanasick.github.io/ken-q-analysis/
  26. 김지혜, "비교과 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관계," 교양학연구, 제8권, 제1호, pp.15-40, 2021.
  27. 홍성연, "대학생의 전환을 지원하는 학생 지원 모형개발," 교육학연구, 제57권, 제1호, pp.1-27, 2019.
  28. 김경근, "한국사회의 서열 중시 문화: 기원, 동인 및 교육적 유산," 교육사회학연구, 제31권, 제4호, pp.33-69, 2021. https://doi.org/10.32465/KSOCIO.2021.31.4.002
  29. 민상희, 손애리, 장사랑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338-352,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338
  30. 이은정, 이정훈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317-330,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