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Family Values and Depression of Korean Women Using LSTM :Based on the 2007-2018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LSTM을 활용한 한국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우울의 군집분석: 여성가족패널 2007-2018년 자료를 중심으로

  • 오영은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추주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오승원 (전남대학교 통계학과)
  • Received : 2022.01.07
  • Accepted : 2022.03.10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 trajectories and clusters of Korean women's family values and depression lev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to use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1st to 7th rounds of the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SW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48 female pane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KLSWF, and LST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ython to divide the clusters of Korean women suffering from depression.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omen's depression increased with age, and family valu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open the marriage values of women in the married group,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family values trajectory and depression level of the analyzed subjects were not a single pattern, but included four clusters. To prevent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and provide more concrete interventions, a humanities and sociological system that can identify depression groups should be prepare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 1차부터 7차까지의 균형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여성의 가족가치관, 우울의 변화 궤적과 군집, 그리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여성가족패널에 참여한 여성 패널 5,048명이며, Python의 통계분석패키지 및 LSTM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여성의 우울군집을 나누었다. 또한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ANOVA, 다항 로지스틱회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수준이 증가하였으며, 가족가치관은 여성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혼집단의 여성의 결혼가치관이 개방적일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의 우울, 가족가치관궤적의 군집별 사회 인구학적 요인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가족가치관궤적과 우울수준은 단일 양상이 아니라 네 개의 상이한 군집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을 보다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개인별 특성과 가족가치관을 고려한 집단별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6A3A04042721).

References

  1. J. S. Hyde, A. H. Mezulis, and L. Y. Abramson, "The ABCs of depression: Integrating affective, biological, and cognitive model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Vol.115, No.2, pp.291-313, 2008. https://doi.org/10.1037/0033-295X.115.2.291
  2.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5582
  3. 정유림, 한삼성,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가족패널 조사 7차년도(2017-2018) 자료 활용," 한국산업보건학회지, 제31권, 제1호, pp.50-59, 2021. https://doi.org/10.15269/JKSOEH.2021.31.1.50
  4. 정명실, 김연아, 임경춘, "중년여성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간호교육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50-258, 2018.
  5. 송민재, 조숙행, 정현강, "안면 홍조 증상을 수반한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 정신신체의학, 제25권, 제2호, pp.176-184, 2017. https://doi.org/10.22722/KJPM.2017.25.2.176
  6. 박소진,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가족가치관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심수명, "한국기혼여성의 우울증 역학분석 및 치료전략 연구," 한국기독교 상담학회지, 제10호, pp.53-88, 2005.
  8. S. K. Kenneth, K. Jonathan, and A. P. Carol, "The interrelationship of neuroticism, sex, and stressful life events in the prediction of episodes of major depression," Am J Psychiatry, Vol.161, No.4, pp.631-636, 2004. https://doi.org/10.1176/appi.ajp.161.4.631
  9. 박애영, 이선화, "레이키 자기 힐링이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7권, 제2호, pp.95-114, 2012.
  10. 성미애, "미혼 성인자녀가 있는 배우자 사별 여성의 우울과 관련되는 가족관련 가치관 관계특성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 제37권, 제1호, pp.39-53, 2019.
  11. 김은경, 김경희, "맞벌이 부부의 가용시간 내 가사노동의 분담격차와 여성의 우울," 가족과 문화, 제30권, 제4호, pp.91-113, 2018.
  12. 안윤숙, 김흥주, 이현진, 하영진,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7권, 제1호, pp.157-186, 2016.
  13. 송리라, 이민아, "성역할 태도와 우울: 성별.연령집단별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89-118, 2012.
  14. 임선영, 임우석, "기혼여성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한일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75-194, 2015.
  15. 김선아, 남경아, 이혜정, 현명선, 이현화, 김현례, "취업여성의 우울증상 예측요인: 한국의 미혼, 기혼 취업여성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39-347, 2010.
  16. 박희숙, 정구철,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이유 간의 관계에서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495-50,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495
  17. 김수진, 김세영,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제19권, 제3호, pp.176-187, 2013.
  18. 송효숙, 박소윤, "어머니의 분노와 우울이 유아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7호, pp.609-61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609
  19. 박소진, 김노을, 임승지, 김지만, 정우진,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가족가치관과의 관련성 연구: 제4차 여성가족패널조사(2012) 자료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51-161, 2018 https://doi.org/10.4332/kjhpa.2018.28.2.151
  20. 전해정, "시계열분석모형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주택가격예측력연구," 주거환경, 제18권, 제1호, pp.49-65, 2020.
  21. 송경빈, 권오성, 박정도, "평일 단기전력수요 예측을 위한 최적의 지수평활화 모델 계수 선정," 전기학회논문지, 제62권, 제2호, pp.149-154, 2013. https://doi.org/10.5370/KIEE.2013.62.2.149
  22. Allison Galbraith, 2010. www.actonmedical.co m/documents/cesd
  23. 주재선, 문유경, 김영택, 송치선, 박건표, 2013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24. 정선영, "가족가치관 변화의 연령-기간-세대 효과 - 부모의 기대충족과 전통적 성 역할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7권, 제1호, pp.55-79, 2021.
  25. 임재연, "한국 청년세대의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가족가치관 유형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44권, 제4호, pp.47-74, 2021.
  26. 정순둘, 배은경, 최혜지, "세대별 부양의식 및 성역할인식 유형,"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2호, pp.5-23, 2012.
  27. 이수현, 김재윤, 정영선, "Fuzzy K-means 군집분석을 위한 다양한 유효성 지수 개발," 경영학연구, 제46권, 제4호, pp.1201-1226, 2017.
  28. Peter J. Rousseeuw, "Silhouettes: a Graphical Aid to the Interpretation and Validation of Cluster Analysis," Computational and Applied Mathematics, Vol.20, pp.53-65, 1987. https://doi.org/10.1016/0377-0427(87)90125-7
  29. David L. Daies and Donald W. BOULDIN, "A cluster separation measure,"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 interlligence, PAMI-1, Vol.2, pp.224-227, 1979.
  30. T. M. Newcomb, R. H. Turner, P. E. Converse, Social psychology: The study of human interaction, Published by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1970.
  31. 김경신, 이선미,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이데올로기," 한국가정과학회지, 제1권, 제1호, pp.27-43, 1998
  32. 오민지,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통합모형의 검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33. P. McDonald,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26, No.3, pp.427-439, 2000. Article Id (doi). http://dx.doi.org/10.1111/j.1728-4457.2000.00427.x.
  34. 문지선, 한국 기혼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관계에 관한 연구: 부부의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5. P. Bart,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V. Gomick & B. Moran (Eds), Women in sexist society, New York: Mentor Book, 1970.
  36. 류승아, 한민, "한국 여성의 연령별 행복수준 비교와 관련 변인들," 젠더와 문화, 제9권, 제1호, pp.45-7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