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s of 'true education' in the Era of New Media and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Modern People

뉴미디어 시대 속 '참교육' 콘텐츠와 현대인의 의식구조

  • 김세연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Received : 2022.02.04
  • Accepted : 2022.04.13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rue education', which was the core ideology of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is re-appropriated in the new media era. This word, which is actively used by young people, means 'punishment against the object of social condemn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ue education contents' commonly seen on the Internet is that it shows a tendency to 'fragmentation'. True educational contents are short in length, and the contents are very local.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society where totality disappears and small stories are consumed. Second, the standard for dividing good and evil is extremely 'arbitrary'. Whereas the existing stories of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had universal values such as love, consideration, and peace, the content of true education distinguishes good and evil with an extremely narrow perspective. The way to justify arbitrary standard is to incite public outrage. Third, 'humour' is added. Here, humor is combined with the emotion of hatred, causing the problem of weakening people's critical consciousness.

전교조 핵심 이념이었던 '참교육'은 뉴미디어 시대의 자장 안에서 재전유된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활발히 사용되는 이 단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는 사람 대한 응징'을 뜻한다. 최근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참교육 콘텐츠'의 특징으로는 첫째, '단편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참교육 콘텐츠들은 분량이 짧고, 내용이 매우 지엽적이다. 이는 총체성이 사라지고 작은 이야기들을 소비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반영한다. 둘째, 선악을 가르는 기준이 지극히 '자의적'이라는 것이다. 기존 권선징악 서사들은 사랑·배려·평화 등 어느 정도 보편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었던 데 비해, 참교육 콘텐츠는 지극히 편협한 시선으로 선악을 구분한다. 자의적 기준에 대한 정당성을 얻기 위해 택하는 방법은 공공의 분노를 부추기는 것이다. 셋째, '유머'가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유머는 혐오의 정서와 결합하며, 사람들의 비판의식을 약화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blackkiwi.net/service/keyword-analysis?keyword=%EC%B0%B8%EA%B5%90%EC%9C%A1, 2022.1.30.
  2. 김경애,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권선징악',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 송소라, "<흥부전>에 내재된 권선징악의 함정-'富者'와 '貧者'를 향한 당대의 요구," 어문학, 제138호, pp.299-331, 2017.
  4. 기정아, "프리지아가 쏘아 올린 '금수저 인플루언서' 논란," 이투데이, 2022.01.21.
  5. 김한수, "허위 매물과 참교육," 대한경제, 2021.09.08.
  6. 위근우, "'참교육썰' 범람하는 웹툰 세계서 '집이 없어' 가 보여준 사과.용서의 가치," 경향신문, 2022.02.25.
  7. 주하은, "시원한 '사이다' 한 마디가 지옥을 만든다," 시사IN, 2022.03.10.
  8. 김석, "'참교육.사이다 썰'이 불쾌하게 느껴지는 나, 예민한가요?," 에스콰이어, 2022.01.29.
  9. "敎師(교사)들의 「참교육」 목소리," 동아일보, 1988.11.21.
  10. 이철국, "특별기획 전교조-참교육을 위한 투쟁과 시련의 2년," 역사비평, 제14호, pp.327-361, 1991.
  11. "'참교육' 실천意志(의지)에 돌을 던지지말자," 경향신문, 1989.06.24.
  12. 하성환, "전교조 운동 노선에 대한 비판적 제언," 뉴레디컬리뷰, 제61호, pp.137-150, 2014.
  13. 문현웅, "<디테일추적>알파고가 시전한 '참교육'을 알아보자," 조선일보, 2017.05.29.
  14. 송민수, "한 일 넷우익 사이트와 혐한 반일 의식 니찬네루 재특회와 디시인사이드 일베저장소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0권, pp.127-148, 2016.
  15. "참교육의 이율배반적인 역사," 노컷뉴스, 2020.12.19.
  16. 천정환, "드라마 스카이캐슬과 신재민 사건에 나타난 학벌계급가족," 역사비평, 제126호, pp.423-450, 2019.
  17. 강은진,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74-3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74
  18.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402896, 2022.1.30.
  19. 아즈마 히로키,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문학동네, 2007.
  20. https://www.youtube.com/c/PANGPANGSTUDIO, 2022.1.30.
  21. https://www.youtube.com/watch?v=wbj_m5nRxuE&t=4s, 2022.1.30.
  22. https://www.youtube.com/watch?v=l0UV7bp2ckU&t=231s, 2022.1.30.
  23. 손희정, "혐오의 시대-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여성이론, 제32권, pp.12-42, 2015.
  24. 정운갑, "온라인 매체상의 현대식 마녀사냥 이슈와 '유사언론 행위' 간 법적.윤리적 논쟁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1-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001
  25. https://www.dogdrip.net/227796011, 2022.1.31.
  26. 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창비, 2019.
  27. 김경희, 조연하, 배진아, "인터넷 혐오표현 대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노출경험 사례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499-510,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499
  28. https://www.dogdrip.net/190155378, 2022.1.31.
  29. RobinL. Nabi, Emily Moyer-Guse, and Sahara Byrne, "All Joking Aside: A Serious Investigation into the Persuasive Effect of Funny Social Issue Messages," Communication Monographs, Vol.74, pp.29-54, 2007. https://doi.org/10.1080/03637750701196896
  30. Jody C. Baumgartner, "Humor on the Next Frontier: Youth, Online Political Humor, and the JibJab Effect,"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25, No.3, pp.319-338, 2007. https://doi.org/10.1177/089443930629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