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 성안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 김연하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22.02.22
  • Accepted : 2022.04.08
  • Published : 2022.04.29

Abstract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eacher support for children's play (age 3-5)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3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were all perform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PTPSS) was finalized with 25 item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our sub-factors: interaction, play materials, play space, and play safet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measures such as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Play,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lso desirable. Conclusion/Implications: The PTPSS was verified as a sound measure quantifying the play support behavior of teachers who respect the autonomy and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which is being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은, 김정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2.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3.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4. 김수향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6), 2447-2460.
  5. 김동례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313-327. https://doi.org/10.22251/j1cci.2022.22.1.313
  6. 김연수 (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http://doi.org/10.18023/kjece.2008.2 8.2.008
  8. 김영숙, 최석란 (1997). 극놀이에서 교사의 단계별 지지가 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18(2), 229-240.
  9. 김현, 고석원, 곽혜숙, 차현화 (2006). 동화를 활용한 사회적 역할놀이와 동작표상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35-160.
  10. 박종명, 이연승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26-45. http://doi.org/10.15409/riece.2020.22.4.2
  11. 박지영, 최미숙 (2009). 갈등상황에 대한 극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1), 117-130.
  12. 박현진, 권이정 (2021). 저경력 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경험. 한국유아교육연구, 23(4), 185-210. http://doi.org/10.15409/riece.2021.23.4.8
  13. 방현실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https://doi.org/10.23197/SCECE.2020.7.1.004
  14. 변길진 (2010).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에 따른 놀이지도 양상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백영숙, 김희태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6. 선규수, 김재혁, 조초희, 김연현, 김일곤 (1997). 역할놀이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 신장 방안. 초등교육연구, 12(1), 315-335.
  17. 송순옥 (2018).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갈등상황 중심의 역할놀이가 유아의 정서능력 및 언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10, 131-155. http://doi.org/10.37918/kce.2018.05.110.131
  18. 신근영, 정선영 (2017).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만 2세용 의사소통척도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417-441. http://doi.org/10.20437/KOAECE22-2-17
  19. 신근영, 이영자, 이기종 (2019).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만 2세용 사회관계영역 척도 개발 연구. 문화와 융합, 41(3), 1167-1218. https://doi.org/10.3364/cnc.2019.06.41.3.1167
  20. 신애선 (2018). 사회성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359-380. http://doi.org/10.22251/jlcci.2018.18.2.359
  21.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교사의 놀이에 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22.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3. 유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6), 75-100. http://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24. 육아정책연구소 (2014). 한국아동패널연구 5차년도 데이터 도구프로파일. https://panel.kicce.re.kr/pskc/index.do에서 2020년 9월 10일 인출
  25. 윤경욱, 이대균 (2020).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딜레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5(6), 149-172. http://doi.org/10.20437/KOAECE25-6-07
  26.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doi.org/10.18023/kjece.2019.39.3.001
  27. 이경옥 (2015). SPSS 명령문을 활용한 유아교육연구 분석. 서울: 학지사.
  28.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http://doi.org/10.26834/kscice.2019.9.2.5
  29.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등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평가척도 개발(연구보고서 2012-3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이순복 (201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0(1), 95-119. http://doi.org/10.18023/kjece.2010.30.1.004
  31. 이원미, 권연희 (2020).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93-11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93
  32.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33. 이현주 (2014). 누리과정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현주 (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35. 조숙영 (2021).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실행 정도와 운영 시 어려움. 인문사회21, 12(6), 3039-3104. http://doi.org/10.22143/HSS21.12.6.218
  36. 조유진 (2018). 이야기꾸미기를 통한 유아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인지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2(3), 193-216. http://doi.org/10.32349/ECERR.2018.6.22.3.193
  37. 지성애, 조유진, 신상아 (2019). 주제 중심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력과 언어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3(5), 151-175. http://doi.org/10.32349/ECERR.2019.10.23.5.151
  38. 채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39. 최미숙, 안지영, 임연자 (2012). 주제탐색을 통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조망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 계획하기, 평가하기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57-278.
  40. 허민정, 권희경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40(4), 35-59. http://doi.org/10.18023/kjece.2020.40.4.002
  41.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NC: IAP.
  4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43. Bredekamp, S. (1985).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procedures of a nation al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44.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45. Huizinga, J. (2018). 호모루덴스(이종인 옮김). 고양: 연암서가(원판 1938).
  46.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