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정은, 김정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 김수향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6), 2447-2460.
- 김동례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313-327. https://doi.org/10.22251/j1cci.2022.22.1.313
- 김연수 (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http://doi.org/10.18023/kjece.2008.2 8.2.008
- 김영숙, 최석란 (1997). 극놀이에서 교사의 단계별 지지가 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18(2), 229-240.
- 김현, 고석원, 곽혜숙, 차현화 (2006). 동화를 활용한 사회적 역할놀이와 동작표상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35-160.
- 박종명, 이연승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26-45. http://doi.org/10.15409/riece.2020.22.4.2
- 박지영, 최미숙 (2009). 갈등상황에 대한 극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1), 117-130.
- 박현진, 권이정 (2021). 저경력 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경험. 한국유아교육연구, 23(4), 185-210. http://doi.org/10.15409/riece.2021.23.4.8
- 방현실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https://doi.org/10.23197/SCECE.2020.7.1.004
- 변길진 (2010).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에 따른 놀이지도 양상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백영숙, 김희태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 선규수, 김재혁, 조초희, 김연현, 김일곤 (1997). 역할놀이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 신장 방안. 초등교육연구, 12(1), 315-335.
- 송순옥 (2018).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갈등상황 중심의 역할놀이가 유아의 정서능력 및 언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10, 131-155. http://doi.org/10.37918/kce.2018.05.110.131
- 신근영, 정선영 (2017).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만 2세용 의사소통척도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417-441. http://doi.org/10.20437/KOAECE22-2-17
- 신근영, 이영자, 이기종 (2019).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만 2세용 사회관계영역 척도 개발 연구. 문화와 융합, 41(3), 1167-1218. https://doi.org/10.3364/cnc.2019.06.41.3.1167
- 신애선 (2018). 사회성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359-380. http://doi.org/10.22251/jlcci.2018.18.2.359
-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교사의 놀이에 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 유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6), 75-100. http://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 육아정책연구소 (2014). 한국아동패널연구 5차년도 데이터 도구프로파일. https://panel.kicce.re.kr/pskc/index.do에서 2020년 9월 10일 인출
- 윤경욱, 이대균 (2020).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딜레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5(6), 149-172. http://doi.org/10.20437/KOAECE25-6-07
-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doi.org/10.18023/kjece.2019.39.3.001
- 이경옥 (2015). SPSS 명령문을 활용한 유아교육연구 분석. 서울: 학지사.
-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http://doi.org/10.26834/kscice.2019.9.2.5
-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등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평가척도 개발(연구보고서 2012-3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순복 (201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0(1), 95-119. http://doi.org/10.18023/kjece.2010.30.1.004
- 이원미, 권연희 (2020).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93-11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93
-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 이현주 (2014). 누리과정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현주 (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 조숙영 (2021).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실행 정도와 운영 시 어려움. 인문사회21, 12(6), 3039-3104. http://doi.org/10.22143/HSS21.12.6.218
- 조유진 (2018). 이야기꾸미기를 통한 유아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인지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2(3), 193-216. http://doi.org/10.32349/ECERR.2018.6.22.3.193
- 지성애, 조유진, 신상아 (2019). 주제 중심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력과 언어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3(5), 151-175. http://doi.org/10.32349/ECERR.2019.10.23.5.151
- 채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최미숙, 안지영, 임연자 (2012). 주제탐색을 통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조망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 계획하기, 평가하기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57-278.
- 허민정, 권희경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40(4), 35-59. http://doi.org/10.18023/kjece.2020.40.4.002
-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NC: IAP.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Bredekamp, S. (1985).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procedures of a nation al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 Huizinga, J. (2018). 호모루덴스(이종인 옮김). 고양: 연암서가(원판 1938).
-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