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네비게이션 위치와 항목 수에 따른 만족도에 대한 분산 분석

ANOVA of Satisfaction based on Navigation Location and Number of Items in Mobile Applications

  • 박성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김태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Park Sung-Hum (Graduate School, Design major, Dongseo University) ;
  • Kim Tae-Wan (Graduate School, Design major, Dongseo University)
  • 투고 : 2022.05.24
  • 심사 : 2022.06.15
  • 발행 : 2022.06.30

초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내비게이션이 있고 그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페이지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의 수에 따라서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내비게이션의 3가지 위치인 상단, 하단, 사이드와 각 위치마다 항목 수를 4~6개를 독립변수로 무작위로 뽑은 성인 남녀 13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그룹을 지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가 각기 0.000과 0.008로 유의확률 0.05 이하로 귀무가설을 기각했다. 또한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의 상호작용이 만족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의 연구가설을 유의확률 0.016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분석(Scheffe)에서는 내비게이션의 위치에서 사이드<상단<하단의 새 집단으로 분류되어 각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항목 수에서는 6개<4개 두 개의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일부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에 따라, 내비게이션의 위치가 하단에 위치했을 때 인터페이스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다양해지고 있는 모바일 사이즈에 따라 사이드 형태의 내비게이션이 적합한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user interfa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application usability. The user interface of a typical application has a navigation system and the selection of the item takes place to move the movemen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user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navigation and the number of items. The methods of in this study, a random group of 135 adult men and women who randomly selected four to six items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conducted on the top, bottom, side, and three locations of navigation in a typical application. As a result, the navigation system rejected the null hypothesis of 0.000 and 0.008 respectively,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5 or less than 0.000 and 0.008, respective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tudy theory of whether the interaction of navigation location and number of items create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16. In the post-analysis (Schef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on of navigation, as each group was classified as a new group at the top <bottom <, and in the number of ite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six <4 . Conclusion of this research, depending on the results of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navigation and the number of items, it can be seen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interface increases when the navigation posi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However,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whether side-type navigation is suitable for different mobile size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4단계 BK21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사회혁신 교육연구팀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김도훈, 김태일, 임영재, 최재호, 정의승. (201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배치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4-179
  2. 구본영, 정계문. (2013).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의 버튼폭에 따른 조작성공률.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2), 127-143.
  3. 정재훈, 김예리, 최준호. (2011).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홈스크린 UI 디자인 시안의 유지 평가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2), 73-81. https://doi.org/10.17280/JDD.2011.11.2.008
  4. Ariel Michaeli. (2018.03.28.). iOS Developers Ship 29% Fewer Apps In 2017, The First Ever Decline - And More Trends To Watch [Web blog post] Retrieved from https://appfigures.com/resources/insights/ios-developers-ship-less-apps-for-first-time
  5. KRandy Nelson. (2019.03.28.). 5-Year Market Forecast: App Store and Google Play Spending Will Grow 120% to Reach $156 Billion by 2023 [Web blog post] Retrieved fromhttps://sensortower.com/blog/sensor-tower-appmarket-forecast-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