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Public and Visitors about the National Forest Trail : Focusing on Jirisan Trail and Daegwallyeong Forest Trail

국가숲길에 대한 국민과 이용객 인식조사: 지리산둘레길과 대관령숲길을 중심으로

  • Lee, Sugwang (Forest Human Servi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Kim, Geun Hyeon (Forest Human Servi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이수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 김근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Received : 2022.01.29
  • Accepted : 2022.03.07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takeholders to establish and promote policies related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Awareness analysis was conducted on 800 visitors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specifically to the Jirisan trail and Daegwallyeong forest trail, as well as 1,200 members of the public. Awareness of the national forest trail was low and at a similar level for both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visitors had a higher need for the national forest trail system and were willing to visit and recommend the trail. The most common answers in response to the purpose of visit, reason for choosing the national trail, matters of interest, problems, necessary regulation, and role expectations were similar among the visitors and general public. Based on gender and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ters of interest and desired activity, but "scenery" was the most crucial factor. Therefore, after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major view points, given that "scenery" was identified as an attractor, a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identify and provide the information desired by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employed as basic data for stakeholders i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national forest trail.

본 연구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일반 국민 1,200명과 국가숲길(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국가숲길에 대한 인식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숲길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국가숲길 제도의 필요성, 이용의사와 추천의사는 유의한 수준으로 이용객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가숲길 이용목적, 선택이유, 관심사항, 문제점, 필요규제, 기대역할에 응답한 1순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일반국민과 이용객의 관심사항과 희망하는 활동사항 간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경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숲길에 올 수 있도록 하는 유인인자로 경관을 우선시하여 주요 조망점들에 대한 세부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 일반국민과 이용객이 원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에게 국가숲길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서론

등산로 정책에서 확대된 숲길 정책은 2011년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등산로를 확대하는 개념으로 숲길을 등산, 트레킹, 레저스포츠, 탐방 또는 휴양·치유 등의 활동을 위하여 산림에 조성한 길로 정의하면서 시작되었다(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1). 2021년 기준 지정·고시된 숲길은 약 1만 1천 개(총 거리 약 4만 1천 km)로 지난 10여 년간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며(Korean Forest Service, 2022), 숲길에 대한 인지도도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Kim and Lee, 2021). 하지만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명품 숲길로의 육성과 지역사회와의 협업을 통한 연계가 부족한 점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용객이 밀집되는 인기 숲길에 대해서 지속가능한 운영·관리 체계가 도입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Korean Forest Service, 2020a). 이에 따라 산림·생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거나 국가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숲길을 국가숲길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제도가 2020년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신설되었다(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1). 2021년 5월에 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 DMZ펀치볼둘레길, 백두대간트레일이 11월에 내포문화숲길, 울진금강소나무숲길 등 총 6곳이 국가숲길로 지정되었다.

국가숲길 관련 연구는 국가숲길의 이용등급을 구분하는 방법과 안내체계를 제시한 연구(Korean Forest Service, 2013), 해외 국가트레일 사례를 통해 국가등산로 노선 선정 기준과 관리방안을 제시한 연구(Kim and Kim, 2014), 숲길 현황과 여건을 분석하여 국가숲길 제도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연구(Korean Forest Service, 2018), 국가숲길 제도에 필요한 운영관리 체계와 매뉴얼을 제시한 연구(Korean Forest Service, 2020b) 등 주로 국가숲길 제도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정책을 분석하여 방향성과 운영·관리 기준을 제시하는 형태의 연구용역과제가 수행되었다. 숲길은 사람과 숲을 연결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사회적 요구가 숲길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용객의 방문 목적, 동기, 주요 방문 구간, 불편 사항 등의 기초 인식이 조사·분석되어야 하지만(Yoo, 2014b) 국가숲길에 대한 인지도 분석, 인식조사 등의 기초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숲길 이용객 인식을 분석한 연구로는 도시인근의 숲길에 대한 이용객 방문특성과 만족도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제시한 연구(Choi and Kim, 2015; Kim et al., 2016), 이용객 특성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안한 연구(Son et al., 2012), 이용객이 선호하는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연구(Yoon and Kim, 2020) 등이 수행되었다. 지리산둘레길과 관련된 이용객 인식연구는 Yoo(2014b), Lee and Oh(2012), Son and Ha(2012), Han and Kang(2015), Kang and Jung(2011) 등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대관령숲길은 주로 대관령 눈꽃축제 방문객의 만족도와 관련된 연구(Kim, 2011; Yoo and Ahn, 2019)가 수행되는 등 숲길이나 축제장소를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가 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숲길을 이용해 보지 않은 잠재적 이용객인 일반국민과 지리산둘레길 혹은 대관령숲길을 방문했던 이용객을 대상으로 국가숲길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도출하지 못했던 국민과 이용객 간의 차이를 도출하여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설문문항 구성

설문항목은 Robert et al.(2000), Lee and Oh(2012), Lee and Kim(2013), Jeong et al.(2018)이 실시한 숲길 인식조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숲길 이용 경험 여부(숲길 선택 이유, 이용 목적 등) 5문항, 국가숲길 인지도(국가숲길 정책 방향, 선호 프로그램 등) 25문항, 국가숲길 이미지(떠오르는 이미지, 역사·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숲길 등) 10문항, 국가숲길 활성화(활성화 사업 참여 의향, 필요규제 등) 5문항 등 총 4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문항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2021년 4월 2일부터 4월 5일까지 국가숲길 이용객, 비이용객 구분 없이 313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고, 응답률이 1% 미만 문항은 삭제하였다. 한 문항에 여러 의미가 있는 경우, 불필요한 내용 등을 정제하기 위하여 통계지표, 산림경영·경제, 농학 통계 관련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설문문항을 개선하였다.

2. 연구 대상지 선정 및 설문·분석 방법

본 연구의 설문은 비례배분법을 활용하여 일반국민 1,200명(남·여 각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992명, 65세 이상 208명은 대면조사로 진행하였다. 이용객은 800명(남 395명, 여 4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350명, 450명은 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 현장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지리산둘레길과 대관령숲길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이유는 최초로 국가숲길로 지정되었고,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다. 지리산둘레길은 지리산둘레길안내센터 인근의 3코스(인월〜금계), 대관령숲길은 대관령휴게소에서 대면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2021년 04월 27일부터 05월 14일까지, 대면조사는 2021년 04월 23일부터 05월 23일까지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은 통계프로그램(SPSS Ver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인구통계학적 특성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은 Table 1과 같으며, 일반 국민의 취미는 음악감상, 영화감상, 운동 순으로 높았고, 이용객은 등산/트레킹, 음악감상,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숲길 이용빈도는 한 달에 1〜2회 이용이 일반국민 65.7%와 이용객 7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보길 이용빈도가 한 달에 1〜2회가 65% 이상으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Byun and Yoo, 2018).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 = 2,000)

HOMHBJ_2022_v111n1_186_t0001.png 이미지

2. 빈도분석

국가숲길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약 50% 정도가 ‘처음 듣는다’로 나타났으며(Figure 1), 이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시점이 국가숲길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인지도 향상을 통한 국가숲길 제도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숲길 제도의 필요성은 일반국민 76.7%와 이용객 88.0% 수준으로 약 12%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igure 2), 이용의사와 추천의사도 일반 국민 80.8%, 이용객 93.9%로 약 13%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3, 4). 필요성, 이용의사, 추천의사에서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01.png 이미지

Figure 1. Awareness of the national forest trail.

HOMHBJ_2022_v111n1_186_f0002.png 이미지

Figure 2. Need for the national forest trail.

HOMHBJ_2022_v111n1_186_f0003.png 이미지

Figure 3. Willingness to visit the national forest trail.

HOMHBJ_2022_v111n1_186_f0007.png 이미지

Figure 4. Willingness to visit the national forest trail.

국가숲길 이용목적, 선택이유, 관심사항, 문제점, 필요규제, 기대역할 등은 3순위까지 응답하도록 설문하였으며, 순위별 가중치를 1순위(50%), 2순위(30%), 3순위(20%)로 적용하였고, 상위 5위 응답결과까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가숲길 이용목적은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건강’과 ‘정신적 휴식’이 1, 2위로 나타났으며,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ure 5).

HOMHBJ_2022_v111n1_186_f0004.png 이미지

Figure 5. Purpose of visiting the national forest trail.

국가숲길 선택이유(Figure 6)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다양한 종류의 길을 걸을 수 있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국민은 ‘다른 숲길보다 안전해서’, 이용객은 ‘무언가 다를 것 같아서’가 2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08.png 이미지

Figure 6. Reason to choose the national forest trail.

국가숲길 지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쓰레기 투기’가 일반국민 16.8%, 이용객 13.6%로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ure 7). 이와 연관된 필요한 규제항목에서 일반국민은 ‘쓰레기 투기’가 23.2%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이용객은 ‘산림자원 파괴(나뭇가지 꺾기, 산나물 채취, 곤충 및 동물 채집 등)’가 2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08)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ure 8). 이에 따라 국가숲길 지정 이후 적절한 수용력을 유지하면서 쓰레기 투기와 산림자원 파괴(나뭇가지 꺾기, 산나물 채취, 곤충 및 동물 채집 등) 등 이용에 따른 부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05.png 이미지

Figure 7. Problem.

HOMHBJ_2022_v111n1_186_f0009.png 이미지

Figure 8. Needed regulation.

국가숲길 지정 이후 기대하는 역할은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건전한 산행문화 확산에 기여’를 20% 이상으로 응답하여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9). 이는 Kang and Jung(2011)이 지리산둘레길 이용객을 대상으로 이용객 특성을 분석한 결과 책임 있고 건전한 도보문화 여행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제시한 결과와 유사하며, 아직까지 건전한 산행문화가 정착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건전한 산행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위는 ‘국가 숲길 내 산림자원 가치 발굴 및 보전’으로 공통되게 나타났다. 하지만 3위는 일반국민은 ‘체계적 숲길 운영관리로 지속가능한 이용’으로 이용객은 ‘산림휴양 및 여가 활동공간 제공’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01)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06.png 이미지

Figure 9. Expected contribution.

국가숲길의 정책방향으로는 일반국민은 ‘다양한 휴양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개발’이 1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객은 ‘단순히 걷는 것이 아닌 테마 여행지로 바라보는 인식 변화’가 17.5%로 나타났다(Figure 10). 특이한 점은 ‘최소한의 국가숲길 지정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품질 향상’이 3위(일반국민 12.8%, 이용객 13.5%), ‘많은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국가숲길 지정’이 4위(일반국민 10.6%, 이용객 10.3%)로 응답되어 국가 숲길 지정 이후의 체계적 운영관리를 통해 품질을 높이는 정책을 우선으로 하고 국가숲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후 점차 개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10.png 이미지

Figure 10. Direction of the national forest trail development.

국가숲길에 필요한 정책 사업은 일반국민은 ‘접근성 개선’이 13.9%, 이용객은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및 사업 추진’이 11.3%로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이 각각 달랐으며(Figure 11),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28)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반국민은 국가숲길까지 가는 데까지의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이용객은 이미 가는 데까지의 과정은 알고 있기 때문에 국가숲길에 대한 보다 자세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숲길에 필요한 연구분야는 공통적으로 ‘숲길이 주는 신체적 정신적 치유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숲길이 주는 건강증진 효과’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Figure 12).

HOMHBJ_2022_v111n1_186_f0011.png 이미지

Figure 11. Needed project.

HOMHBJ_2022_v111n1_186_f0012.png 이미지

Figure 12. Needed research

국가숲길에서 관심사항(자원 선호도)은 ‘경관’이 일반 국민 23.2%와 이용객 24.2%로 가장 높았으며, ‘산’과 ‘야생화’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Figure 13). 숲길 방문목적 중 ‘자연경관 감상’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정적인 휴양활동으로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현대 여가환경이 잘 반영된 결과로 보고한 Yoo(2014a)의 연구와 어느 정도 일치하였다. 또한 지리산둘레길 이용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경관이라고 보고한 연구와 일치하였다(Lee et al., 2011).

HOMHBJ_2022_v111n1_186_f0013.png 이미지

Figure 13. Component of interest

국가숲길 이용 이후 다음 방문지로는 ‘음식점’이 일반국민 34.4%와 이용객 45.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근 관광지’가 일반국민 32.7%, 이용객 26.1%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일반국민 10.3%는 ‘집’을 이용객 8%는 ‘숙박업소’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14). 이에 따라 숲길 인근이나 숲길과 연계한 숙박업소 인프라 및 서비스 확충을 통해 체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HOMHBJ_2022_v111n1_186_f0015.png 이미지

Figure 14. Next place to visit

국가숲길 이용에 따른 지불의사(Figure 15)는 1식·1박·편도·프로그램 참여 1회(1인) 기준 평균 금액은 일반국민 112,864원, 이용객 120,405원으로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목 중에서 숙박비에서만 일반국민이 이용객보다 지불비용 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이용객이 일반국민 보다 지불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숙박비는 ‘3만 원 이하’ 비율이 일반국민(46.8%)과 이용객(55%)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2). 이를 토대로 국가숲길을 방문해 본 이용객들에게는 제주올레길의 올레스테이와 같은 게스트하우스와 같은 경제적인 숙소를 제공하거나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며(Jeon and Kang, 2013), 처음 방문하는 이용객에게는 보다 고급스러운 숙소를 제공하거나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뉴질랜드의 국가숲길인 테아라로아의 일부 구간인 Queen Charlotte Track(70 km)에서 2∼3회 이용해 본 이용객이 가장 선호하고 많이 선택하는 숙소유형은 숙박비가 저렴한 캠핑(한화 약 2∼3만원, 1인 기준)이었으며, 처음 방문하는 이용객은 시설이 갖추어진 롯지(lodge, 한화 약 20∼30만원, 2인 기준)를 선호하고 숙박한 것으로 나타났다(Wilson. 2021).

HOMHBJ_2022_v111n1_186_f0014.png 이미지

Figure 15. Willingness to pay.

Table 2.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accommodation fees paid by the public and visitor.

HOMHBJ_2022_v111n1_186_t0002.png 이미지

3. 교차분석

1) 일반국민의 성별, 연령에 따른 관심사항

일반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국가 숲길에서의 관심사항 간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연령에 따라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4). 성별과 연령에 상관없이 모두 ‘경관’에 관심이 가장 높았다. 남자는 그 다음으로 ‘산’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여자는 ‘숲길 치유 프로그램’과 ‘야생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는 산이라는 공간의 특성을 선호한다고 볼 수 있고, 여자는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같은 콘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령과 관심사항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19∼29세는 ‘난이도’에 관심이 높았으며, 30∼39세는 ‘소요시간’, 40∼64세는 ‘치유 프로그램’에 관심이 높았다. 65세 이상은 ‘산’과 ‘야생화’ 순으로 관심이 높았으나 ‘치유 프로그램’은 비교적 관심이 저조하였다. ‘야생화’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ble 3.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components of interest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gender (the public).

HOMHBJ_2022_v111n1_186_t0003.png 이미지

x2 = 80.224a, p = .000

Table 4.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components of interest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age (the public).

HOMHBJ_2022_v111n1_186_t0004.png 이미지

x2 = 408.330a, p = .000

2) 일반국민의 성별, 연령에 따른 희망하는 활동사항

일반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국가 숲길에서 희망하는 활동사항 간에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연령에 따라 유의미(p = .000)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6). 공통적으로 ‘경관감상’과 ‘걷기’가 1, 2위로 응답되었으며 남자는 ‘트레킹’이 여성보다 높게 응답되어 활동적인 것을 선호하는 반면, 여자는 ‘걷기’, ‘체험 및 안내 프로그램’이 남성보다 높게 응답되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64세는 ‘트레킹’이 3위로 응답되었으며, 19∼29세는 ‘사진촬영’, 65세 이상은 ‘동식물, 곤충, 새 등의 자연관찰’이 3위로 응답되었다. 이에 따라 주요 이용객 연령층이 활동을 희망하는 서비스 및 정보 제공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desired activities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gender (the public).

HOMHBJ_2022_v111n1_186_t0005.png 이미지

x2 = 57.934a, p = .000

Table 6.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desired activities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age (the public).

HOMHBJ_2022_v111n1_186_t0006.png 이미지

x2 = 223.074a, p = .000

3) 이용객의 성별, 연령에 따른 관심사항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국가숲길에서의 관심사항 간에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연령에 따라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8). 성별과 연령에 상관없이 일반국민과 마찬가지로 ‘경관’에 가장 높은 관심이 있었으나 그 다음 순위인 ‘산’에 관심이 있는 점이 일반국민과의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그 다음으로 ‘기암괴석’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여자는 ‘야생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관심사항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19∼39세, 60∼64세는 ‘야생화’에 관심이 높았으며, 40∼59세는 ‘기암괴석’, 65세 이상은 ‘난이도’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은 숲길을 통해 산이라는 큰 범위에서 일상에서는 볼 수 없는 자연의 경관적 속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components of interest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gender (visitor).

HOMHBJ_2022_v111n1_186_t0007.png 이미지

x2 = 25.996a, p = .626

Table 8.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components of interest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age (visitor).

HOMHBJ_2022_v111n1_186_t0008.png 이미지

x2 = 145.367a, p = .476

4) 이용객의 성별, 연령에 따른 희망하는 활동사항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국가숲길에서 희망하는 활동사항 간에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p = .043)·연령(p = .005)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10). 일반국민과 마찬가지로 65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성별과 연령 공통으로 ‘경관감상’과 ‘걷기’가 1, 2위로 응답되었으며 남자는 ‘트레킹’과 ‘하이킹’ 등 활동적인 활동이 여성보다 높게 응답된 반면, 여자는 ‘경관감상’, ‘걷기’, ‘동식물, 곤충, 새 등의 자연관찰’이 남성보다 높게 응답되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64세는 ‘트레킹’이 3위로 응답되었으며, 65세 이상은 ‘걷기’와 ‘경관감상’이 1, 2위로, ‘동식물, 곤충, 새 등의 자연관찰’ 및 ‘하이킹’이 공동 3위로 응답되었다.

Table 9.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desired activities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gender (visitor).

HOMHBJ_2022_v111n1_186_t0009.png 이미지

x2 = 26.867a, p = .043

Table 10.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of desired activities on the national forest trail by age (visitor).

HOMHBJ_2022_v111n1_186_t0010.png 이미지

x2 = 116.443a, p = .005

일반국민과 이용객의 성별, 연령에 따라 관심사항과 희망하는 활동사항은 65세 이용객만 제외하고 모두 ‘경관’과 ‘경관감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어떠한 경관을 선호하는지를 파악하고 주요 경관 사이트를 지정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국가경관트레일인 애팔래치아트레일의 경우 사진이 가장 많이 찍힌 주요 경관사이트(McAfee Knob)와 유사하거나 독특한 경관을 인근에서 발굴하여 ‘Triple Crown’ 등으로 브랜딩화 하여 흥미를 유발하며 이용객을 분산시키고 있었다(Virginia’s Blue Ridge, 2021). 특히 홈페이지, 리플렛 등을 통해 경관의 역사, 트레일 이용난이도(소요시간), 접근방법, 주차가능 지역과 가능 대수, 주변 음식점, 저렴한 캠핑사이트 및 숙박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여행 상품으로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트레일 이용 시 흔적남기지 않기에 대한 자세한 안내도 제공하는 등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처럼 경관이 우수한 지역은 이용객이 많이 몰리고 머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Guo et al., 2019) 집중적인 관리의 일환으로 이용 형태, 산림생태 등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이용객의 책임있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건전한 산행문화 정착을 통해 지속가능한 이용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가숲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일반국민 1,200명과 국가숲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인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가숲길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이해관계자에게 다음의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술점 시사점은 첫째, 국가숲길 제도를 시행한 이후 국가숲길로 지정된 숲길을 대상으로 연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국가숲길을 연구하려는 연구자, 국가숲길을 관리하는 이해관계자뿐만 아니라 국가숲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관계자들에게도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숲길을 이용해 본 대상뿐만 아니라 이용해 보지 않은 잠재적 이용객인 일반국민도 함께 설문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점을 규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숲길 잠재 이용객인 일반 국민의 국가숲길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 여러 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여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내용보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켰고, 정책을 추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국가숲길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50% 정도가 들어보지 못한 것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필요성은 일반국민 76%, 이용객 88%로 높게 나타난 점이다. 이용의사와 추천의사 또한 일반국민 80%, 이용객 93% 이상으로 국가숲길 제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용객과 일반국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한 번도 이용해 보지 않은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처음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도출하였다.

둘째,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국가숲길에서의 관심사항과 희망하는 활동은 ‘경관’과 ‘경관감상’이 대부분 가장 높게 나타난 점이다. 미국은 국가트레일 유형 중 경관이 우수한 트레일을 국가경관트레일로 지정하고, 주요 경관 조망점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이에 대한 정보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었다(Lee et al., 2020; Virginia’s Blue Ridge, 2021). 이에 따라 국가숲길에서도 주요 경관 조망점들에 대한 세부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 일반국민과 이용객이 원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야 한다.

셋째, 국가숲길의 체류형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숙박시설에 대한 안내와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처음 국가숲길을 방문하는 국민과 여러 번 국가숲길을 이용해 본 이용객을 달리한 숙박시설과 국가숲길과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국가숲길을 방문해 보지 않은 국민을 위해 국가숲길의 가치와 특징, 접근방법 및 이용 난이도(소요시간), 숲길의 종류 및 유형, 인근 음식점과 숙박업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주요 경관, 주요 구간별 운동 및 치유효과, 야생화 등의 매력자원에 대한 자세한 정보제공을 통해 국가숲길 이용객으로의 유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객으로의 유도 이후 보다 높은 인지도와 공감대 형성을 통해 쓰레기를 투기하지 않고 산림생태자원을 파괴하지 않는 등의 건전한 산행문화를 정착시키고 확산시키는 일련의 정책이 국가숲길에서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일반국민 1,200명과 지리산둘레길과 대관령숲길 이용객 800명의 표본이 국가숲길 모두를 대표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현재 지정된 국가숲길 6곳(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 DMZ펀치볼둘레길, 백두대간트레일, 내포문화숲길, 울진금강소나무숲길) 모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Byun, K.H. and Yoo, C.G. 2018. A research on the purpose of use and selection factor of walking trail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20(3): 1-9. https://doi.org/10.14577/kirua.2018.20.3.1
  2. Choi, G.Y. and Kim, T.I. 2015.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Hongneung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4(3): 443-453.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3.443
  3. Guo, J.H., Guo, T., Lin, K.M., Lin, D.D., Leung, Y.F. and Chen, Q.H. 2019. Managing congestion at visitor hotspots using park-level use level data: Case study of a Chinese World Heritage Site. Plos one 14(7): 1-13.
  4. Han, H.C. and Kang, H.S.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ue pursuit among Jejuolle, Jirisan and Haeparanggil trekkers : Focusing on means-end chain theory.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7(2): 35-56.
  5. Jeon, I.H. and Kang, M.S. 2013. Value of the property on the impact of the perceived value of accommod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79-94.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079
  6. Jeong, T.Y., Kim, C.K. and Kang, K.R. 2018. A Survey on the usage pattern and satisfaction among visitor for a strategy for the operational management of Baekdudaega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2(2): 17-28. https://doi.org/10.34272/FOREST.2018.22.2.002
  7. Kang, M.H. and Jung, H. 2011. Identification of trekker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Jirisan-round Trail U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0(3): 382-391. https://doi.org/10.14578/JKFS.2011.100.3.9
  8. Kim, C.Y., Moon H.S., Kim, T.W., Cho, M.G., Kang, M.Y., Ahn, K.W. and Im, H.I. 2016. A management strategy for Daewangam urban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Ul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Island 28(4): 139-154.
  9. Kim, G.H. and Lee, S.G. 2021. An analysis of user perception regarding trail related cafes and blogs using big data collected over 10 year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Studies 23(3): 34-52.
  10. Kim, T.I. and Kim, J.J. 2014. A study on route designation standard and management plan for national hiking trail. National Institute Forest of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NO. 14-09. pp. 10-64.
  11. Kim, Y.P. 2011. Impact level of satisfaction factor of festival visitors toward revisiting and recommendation intention-Focused on Pyeongchang.Daegwallyeong Snow Festiva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1): 533-542.
  12. Korean Forest Service. 2013. Developing the grading and sign system of National trail. pp. 63-104.
  13. Korean Forest Service. 2015. Report on the result of the national awareness survey on forests. pp. 27.
  14. Korea Forest Service. 2018. Study on introduction of national trail system and efficient management. pp. 3-8.
  15. Korea Forest Service. 2020a. A plan for vitalization of the national forest trai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pp. 7.
  16. Korea Forest Service. 2020b. Operation management activation plan for the national forest trail. pp. 13-103.
  17. Korea Forest Service. 2022. The 2nd basic plan for forest trail development and management(2022~2026). pp. 5.
  18.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1. www.law.go.kr.
  19. Lee, H.R., Kim, J.J., Cho, E.K., Kang, M.J. and Han, S.Y. 2011.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0(2): 273-282. https://doi.org/10.14578/JKFS.2011.100.2.19
  20. Lee, H.Y. and Oh, C.H. 2012. A study o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cognition in regard to damage of nature environment in different types of ecotourism destin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2): 264-272.
  21. Lee, J.H. and Kim, J.J. 2013. Result of the survey on public awareness on forest recreation. National Institute Forest of Science Forest policy issue. No. 12. pp. 3-13.
  22. Lee, M.K. and Park, H.W. 2020. Network analysis and competitiveness evaluation of South Korea walking trails using big dat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4(1): 41-57. https://doi.org/10.17086/jts.2020.44.1.41.57
  23. Lee, S.G., Kim, G.H. and Lee, J.G. 2021. An analysis on media perception of forest trails for ten year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28(1): 1-19.
  24. Lee, S.G., Lee, J.G., Lee, J.H., Yoo, R.H and Seo, J.W. 2020. National trai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ase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NO. 872. pp. 108, 130.
  25. Manning, R.E., Valliere, W., Bacon, J.J., Graefe, A., Kyle, G. and Hennessy, R. 2000. Use and users of the Appalachian Trail: A Source Book. pp. 10-202.
  26. Son, J.W. and Ha, S.Y. 2012.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as a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est trai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1(2): 309-316.
  27. Son, J.W., Ha. S.Y. and Kim, T.I. 2012. A study on visitor characteristics for trail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1(3): 469-479.
  28. Virginia's Blue Ridge. 2021. Hiking the triple crown of Virginia. www.visitroanokeva.com(2022. 3. 4)
  29. Wilson, J. 2021. The Queen Charlotte Track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s giving back to nature. Department of Conservation. pp. 14, 59-60.
  30. Yoo, K.J. 2014a. A study on users' attitude toward the forest trails - focused on the Jirisan Duleg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2): 247-252. https://doi.org/10.13047/KJEE.2014.28.2.247
  31. Yoo, K.J. 2014b. A study on residents' attitude towar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Jirisan Duleg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3): 374-380. https://doi.org/10.13047/KJEE.2014.28.3.374
  32. Yoo, R.H., Jang, Y.S. and Lee, J.H. 2020.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9(4): 532-543. https://doi.org/10.14578/JKFS.2020.109.4.532
  33. Yoo, S.H. and Ahn, D.H. 2019. The impact of Daegwallyeong snow festival images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visit.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3(6): 515-535.
  34. Yoon, J.I. and Kim, G.S. 2020. Exa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dicators for outdoor recreation setting using visual research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9(3): 32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