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대(古代) 율려(律呂)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quity YulRyeo

  • 최원호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학부) ;
  • 김기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Choi, Won-Ho (Department of Orchestra Music, Mokwon University) ;
  • Kim, Ki-Seung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투고 : 2021.12.05
  • 심사 : 2022.01.05
  • 발행 : 2022.01.31

초록

『주역(周易)』을 해석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수(數)로 해석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괘(卦)가 상징하는 이미지로 가지고 해석하는 방법이며, 셋째는 그 안에 담긴 도덕적인 이치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율려(律呂)가 『주역(周易)』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고대의 그 활용 방법은 주역과 마찬가지였다. 첫째, 악기의 조율을 위한 삼분손익법을 이용한 수리 해석법, 둘째, 율려가 상징하는 음악적 의미를 이용한 상징해석법, 셋째, 율려 안에 담긴 도덕적인 이치로 확장하는 응용해석법이 그러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율려(律呂)의 사전적 의미와 고대 율려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율려가 갖는 술수역학(術數易學)과 고법 명리학의 기원인 납음오행(納音五行)이 갖는 의미에 대하여 고대의 문헌을 연구하여 이를 세분하게 분류 해석하고 이를 통해 더 나아가 율려가 술수역학 및 명리학에 응용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로 인하여 율려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향후 술수역학 및 명리학 연구 등 관련 연구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re are three main ways to interpret Zhouyi(周易). The first is to interpret it as a number, the second is to interpret it as an image symbolized by the Gwae(卦), and the third is to interpret it as the moral reason contained in it. Although YulRyeo(律呂) is not as widely known as Zhouyi, its use in ancient times wa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character. First, the mathematical analysis method using the three-pronged method for tuning musical instruments, second, the symbolic interpretation using the musical meaning symbolized by YulRyeo, and third, the applied interpretation method that expands to the moral reason contained in YulRye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rganize the dictionary meaning of YulRyeo and various meanings of ancient YulRyeo. In addition, by studying ancient literature on the meaning of YulRyeo's magic spell mechanics(術數易學) and Naepeum and Five Elements(納音五行), which is the origin of Gobeop Myongriology, I classify and interpret them in detail. and to find ways to apply it to Myongri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giv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YulRyeo and will be of little help to related studies such as the mechanics of magic and Myongriology studie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채원정(2011), 「율려신서(律呂新書)」, 문진.
  2. 성현(2011), 「악학궤범(樂學軌範)」, 명문당.
  3. 여불위(2012), 「여씨춘추(呂氏春秋)」, 글항아리.
  4. 이종진(2019), 「율려 미학과 악기」, 한국학술정보.
  5. 유호균(2017), 「주역과 술수역학」, 동과서.
  6. 범엽,(2013), 「후한서(後漢書)」, 팩컴북스.
  7. 유안(2013), 「회남자(淮南子)」, 명문당.
  8. 좌구명(2017), 「국어(國語)」, 인간사랑.
  9. 소길(2008), 「오행대의(五行大義)」, 대유학당.
  10. 儒家道家輕典(1998), 「樂緯」, 大連: 大連出版社.
  11. 대유학당(2009), 「논어(論語)」, 대유학당.
  12. 왕충(2016), 「논형(論衡)」, 동아일보사.
  13. 사마천(2015), 「사기(史記)」, 민음사.
  14. 이방(2005), 「태평광기(太平廣記)」, 학고방.
  15. 구담실달(1984), 「개원점경(開元占經)」, 운림당.
  16. 장소원 외(1990), 「구당서(舊唐書)」, 경인문화사.
  17. 장자(2012), 「장자(莊子)」, 북마당.
  18. 서경덕(2011), 「화담집」, 풀빛.
  19. 최원호(2020), 「명리학으로 본 기악연주자의 직업적성 사례분석」,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주돈이(2004), 「통서해(通書解)」, 창계.
  21. 루즈지(2018), 「명리학의 이해I」, (주)사회평론.
  22. 김동규(2018), 「협기변방서(協紀辨方書)」 명문당.
  23. 김기승, 나혁진(2017), 「명리학사」, 다산글방.
  24. 대성(2000), 「예기(禮記)」, 자유문고.
  25. 노자(2007), 「노자(老子)」, 도서출판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