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2020), "2020 자살예방백서".
- 이은미, 홍남수, 이수진(2018), "신장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3권, 제3호, pp.184-190.
-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isability World. (2015).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icide awareness", Retrieved from https://www.disabled-world.com/
- Baumeister, R. F.(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 97, pp.90-113. https://doi.org/10.1037/0033-295X.97.1.90
- 연합뉴스(2018.10.29.), "한국 자살률 2016년 10만명당 25.8명...감소세에도 OECD 1위".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672802.
- 통계청(2019), "2018년도 사망원인 통계(전국편)"
- 이종원(2011), "자살의 윤리적 문제", 기독교사회윤리, 제21권, 103-132.
- 황선희(2010), "산재장애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석균, 박봉길, 이화복(2007), "정신장애인의 자살 생각과 관련된 위험요인의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6권, pp.348-376.
- 서성이, 김희숙, 김양태(2013),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45-254.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2.245
- 한인영, 이은진, 김소영(2013),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자 중 자살시도 유경험자와 무경험자 비교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1권, 제4호, pp.201-226.
- 남연희, 한승길, 문성호(2015), "척수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수용,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9권, 제4호, pp.83-107.
- 임원균, 황성혜(2014), "S구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 연구: 일상생활활동, 자살시도경험, 우울변수를 중심으로", 스트레스硏究, 제22권, 제1호, pp.35-42.
- 박현숙, 양희택(2015), "고령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29-250.
- 정준수, 이혜경(2016),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44권, 제3호, pp.34-63.
- 고귀한(2018), "장애노인의 동거형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주희, 김성희, 노승현, 강민희, 정희경, 이주연, 이민경(2014), "장애노인 대상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정석, 신유리, 노승현(2017),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54권, pp.77-96.
- 이채식, 김명식(2013), "중고령 장애인의 미취업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결정 요인", 제5회 장애인 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 이상우(2017),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패널 로짓 모형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3호, pp.191-229.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191
- 윤태영, 남기연, 진도왕(2017),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민사법적 과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윤명숙, 김새봄(20200, "노년기 장애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8권, 제1호, pp.84-109.
- 이유신, 김한성(2016), "장애인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가구소득과 차별 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33권, pp.5-34. https://doi.org/10.22779/KADW.2016.33..5
- 전용만(2012), "장애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정(2009),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성혜, 임원균(2012), "우울과 장애수용이 중도장 애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pp.245-268.
- 김예순, 남영희(2021), 장애인과 비장애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9-81.
- 김경화, 신은경(2018), "신체적 장애인의 우울 발달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제14권, 제11호, pp.1-28.
- 최윤미(2014),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과 사회참여, 정신질환관련요인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재산, 이정찬, 김귀현, 문재우(2009),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26권, pp.115-136.
- 허선영, 김혜미(2016), "장애노인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8권, 제4호, pp.2135-2147.
- 김희국(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음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73-101.
- 손신영(2014),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2호, pp.149-160. https://doi.org/10.12811/kshsm.2014.8.2.149
- 서문진희, 이현아(2011),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361-385.
- 우혜경, 조영태(2013),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과 사회과학, 제34권, pp.5-35.
- 신환호(2014), "노인들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성(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6권, 제2호, pp.97-119.
- 윤현숙, 염소림(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1호, pp.53-71. https://doi.org/10.20970/KASW.2016.68.1.003
- 김지혜, 탁영란(2018),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0권, 제2호, pp.1051-1062.
- 배광일(201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접근: 전년도 자살생각 여부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3호, pp.35-63. https://doi.org/10.20970/KASW.2017.69.3.002
- 김승연, 김세림, 이진석(2013),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34호, pp. 109-133.
- 김성환, 배경열, 김재민, 김선영, 유준안, 양수진, 신일선, 박지현, 김세현, 윤진상(2010), "자살시도 위험요인 및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9호, 제4호, pp.367-373.
- Yunqing, L. and Ferraro, K.(2005),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Social benefit or selection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6, pp.68-84. https://doi.org/10.1177/002214650504600106
- 백옥미(2014),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궤적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66권, pp.329-351.
- 이묘숙(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호, 제3호, pp.231-259.
- 이은주(2018), "노년기 여가활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화영, 김종덕, 신재승, 김재현(2019),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병원경영학회, 제24권, 제3호, pp.27-37.
- 임숙빈, 정철순(2002), "자살을 생각한 고등학생들 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원과 대응행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54-264. https://doi.org/10.4040/jkan.2002.32.2.254
- 박현숙(2018) "성인장애인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과의 영향관계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1호, pp.627-635.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1.062
- 이수인(2016), "자살생각에 대한 사회적 영향 요인과 심리적 영향 요인의 통합적 접근",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30권, pp.104-139.
- 이수인(2016)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사회적 요인의 성별차이", 조사연구, 제17권, 제4호, pp.67-103.
-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s, Vol. 1, pp.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 최신애, 하규수(2012),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 김형수, 김용섭(2009), "장애노인의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pp.184-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