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중고령장애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연구

  • Received : 2022.01.10
  • Accepted : 2022.01.21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the study has used the panel data of the 7th (2012) through 11th sessions (2016) of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In the middle-aged (40 years old to 64 years old), it was found that ordinary income and family life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ged 65 to 74, the marital status, ordinary income, depression, family life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ignificantly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ged 75 or older, depression was the decisive factor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has suggested an effectiv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icid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emerges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Korea.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 7차(2012년)에서 11차(2016)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중년(40세 이상 64세) 장애인 대상에서 경상소득, 가정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기고령(65세 이상 74세) 장애인 대상에서 혼인상태, 경상소득, 우울, 가정생활스트레스, 가정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고령(75세 이상)인 장애인 대상에서는 우울이 자살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장애인 자살생각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2020), "2020 자살예방백서".
  2. 이은미, 홍남수, 이수진(2018), "신장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3권, 제3호, pp.184-190.
  3.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Disability World. (2015).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icide awareness", Retrieved from https://www.disabled-world.com/
  5. Baumeister, R. F.(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 97, pp.90-113. https://doi.org/10.1037/0033-295X.97.1.90
  6. 연합뉴스(2018.10.29.), "한국 자살률 2016년 10만명당 25.8명...감소세에도 OECD 1위".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672802.
  7. 통계청(2019), "2018년도 사망원인 통계(전국편)"
  8. 이종원(2011), "자살의 윤리적 문제", 기독교사회윤리, 제21권, 103-132.
  9. 황선희(2010), "산재장애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전석균, 박봉길, 이화복(2007), "정신장애인의 자살 생각과 관련된 위험요인의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6권, pp.348-376.
  11. 서성이, 김희숙, 김양태(2013),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45-254.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2.245
  12. 한인영, 이은진, 김소영(2013),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자 중 자살시도 유경험자와 무경험자 비교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1권, 제4호, pp.201-226.
  13. 남연희, 한승길, 문성호(2015), "척수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수용,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9권, 제4호, pp.83-107.
  14. 임원균, 황성혜(2014), "S구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 연구: 일상생활활동, 자살시도경험, 우울변수를 중심으로", 스트레스硏究, 제22권, 제1호, pp.35-42.
  15. 박현숙, 양희택(2015), "고령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29-250.
  16. 정준수, 이혜경(2016),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44권, 제3호, pp.34-63.
  17. 고귀한(2018), "장애노인의 동거형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황주희, 김성희, 노승현, 강민희, 정희경, 이주연, 이민경(2014), "장애노인 대상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김정석, 신유리, 노승현(2017),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54권, pp.77-96.
  20. 이채식, 김명식(2013), "중고령 장애인의 미취업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결정 요인", 제5회 장애인 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21. 이상우(2017),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패널 로짓 모형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3호, pp.191-229.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191
  22. 윤태영, 남기연, 진도왕(2017),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민사법적 과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3. 윤명숙, 김새봄(20200, "노년기 장애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8권, 제1호, pp.84-109.
  24. 이유신, 김한성(2016), "장애인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가구소득과 차별 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33권, pp.5-34. https://doi.org/10.22779/KADW.2016.33..5
  25. 전용만(2012), "장애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은정(2009),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성혜, 임원균(2012), "우울과 장애수용이 중도장 애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pp.245-268.
  28. 김예순, 남영희(2021), 장애인과 비장애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9-81.
  29. 김경화, 신은경(2018), "신체적 장애인의 우울 발달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제14권, 제11호, pp.1-28.
  30. 최윤미(2014),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과 사회참여, 정신질환관련요인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재산, 이정찬, 김귀현, 문재우(2009),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26권, pp.115-136.
  32. 허선영, 김혜미(2016), "장애노인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8권, 제4호, pp.2135-2147.
  33. 김희국(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음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73-101.
  34. 손신영(2014),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2호, pp.149-160. https://doi.org/10.12811/kshsm.2014.8.2.149
  35. 서문진희, 이현아(2011),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361-385.
  36. 우혜경, 조영태(2013),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과 사회과학, 제34권, pp.5-35.
  37. 신환호(2014), "노인들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경성(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6권, 제2호, pp.97-119.
  39. 윤현숙, 염소림(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1호, pp.53-71. https://doi.org/10.20970/KASW.2016.68.1.003
  40. 김지혜, 탁영란(2018),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0권, 제2호, pp.1051-1062.
  41. 배광일(201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접근: 전년도 자살생각 여부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3호, pp.35-63. https://doi.org/10.20970/KASW.2017.69.3.002
  42. 김승연, 김세림, 이진석(2013),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34호, pp. 109-133.
  43. 김성환, 배경열, 김재민, 김선영, 유준안, 양수진, 신일선, 박지현, 김세현, 윤진상(2010), "자살시도 위험요인 및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9호, 제4호, pp.367-373.
  44. Yunqing, L. and Ferraro, K.(2005),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Social benefit or selection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6, pp.68-84. https://doi.org/10.1177/002214650504600106
  45. 백옥미(2014),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궤적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66권, pp.329-351.
  46. 이묘숙(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호, 제3호, pp.231-259.
  47. 이은주(2018), "노년기 여가활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홍화영, 김종덕, 신재승, 김재현(2019),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병원경영학회, 제24권, 제3호, pp.27-37.
  49. 임숙빈, 정철순(2002), "자살을 생각한 고등학생들 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원과 대응행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54-264. https://doi.org/10.4040/jkan.2002.32.2.254
  50. 박현숙(2018) "성인장애인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과의 영향관계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1호, pp.627-635.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1.062
  51. 이수인(2016), "자살생각에 대한 사회적 영향 요인과 심리적 영향 요인의 통합적 접근",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30권, pp.104-139.
  52. 이수인(2016)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사회적 요인의 성별차이", 조사연구, 제17권, 제4호, pp.67-103.
  53.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s, Vol. 1, pp.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54. 최신애, 하규수(2012),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55. 김형수, 김용섭(2009), "장애노인의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pp.184-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