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주파수 영역에서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 모델 학습을 위하여 학습 대상과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두 가지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이때, 학습 대상으로는 스펙트럼 매핑과 Time-Frequency(T-F) 마스킹 기법을 사용하였고 네트워크 구조는 실수 네트워크와 복소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 셋 규모에 따라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PESQ)와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STOI) 두 가지 객관적 평가지표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네트워크의 종류와 데이터 셋 종류에 따라 적정한 훈련 데이터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와 학습 대상에 따라 복소 네트워크보다 실수 네트워크가 비교적 높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총 파라미터의 수를 고려한다면 경우에 따라 실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해결책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compares and evaluates model performance from two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arget and network structure for training Deep Neural Network (DNN)-based speech enhancement models in the frequency domain. In this case, spectrum mapping and Time-Frequency (T-F) masking techniques were used as learning targets, and a real network and a complex network were used for the network structure.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enhancement model was evaluated through two objective evaluation metrics: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 (STOI)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dataset. Test results show the appropriate size of the training data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networks and the type of dataset. In addition, they show that, in some cases, using a real network may be a more realistic solution if the number of total parameters is considered because the real network shows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omplex network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learning targ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