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daptation Education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actical Skill of Dental Hygiene Students before Field Practice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1.10.07
  • Accepted : 2021.12.08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confidence and executive ability after conducting field adaptation education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o start their first field practice. Thirty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evaluated with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before and after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 hours. Also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field practice.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executive ability, and direct practical ability before and after education.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s a results,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practical skills of after field adaptation program were increased than before that(p<0.05).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sub-regions correlated with "education content" and "support of field practice" among the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ub-regions(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ment various adapt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as it increases the adaptability of the first field practice and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I. 서 론

치과위생사는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일익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으로 예방치과처치, 구강보건교육, 진료 협조 및 경영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1]. 최근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따른 구강보건분야의 전문화, 세분화로 [2]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비중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어[3]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구강보건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 내 교육과 임상 현장에서의 실무 교육을 수반한 체계적 교육이 필요하다.

현장실습은 실무형 교육을 위해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을 치과현장에서 올바르게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중요한 교육과정으로[4], 참여와 경험을 통해 현장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 이해력 증진, 원활한 구강보건교육 및 치과진료보조, 통합적 사고, 치과위생사의 역할 및 이미지 형성,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5-8]. 그러나 현장실습 교육이 모든 교과목을 통합하고 포괄하는 과정[9]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확립이 완성되기 전에 실습교육을 병행하고 있는 현행 교육제도[10]와 표준화된 현장실습 체계 및 제반 여건이 부족한 상황 하에서 현장실습은 부정적 결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4][8][10]. 뿐만 아니라, 현장실습 시 학생들은 낯선 환경, 실수에 대한 불안, 과도한 과제, 역할 갈등, 지식 및 기술 부족, 임상에서의 적용 한계점, 예상치 못한 사건과 불확실성, 대인관계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며 불안, 공포 등의 정서적 혼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11]. 특히 첫 현장실습의 경우 전공 관련 지식 및 기술 부족, 실습생의 역할 모호성으로 학생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 지’,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막연함으로 심각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느낀다[12-14]. 이로 인해 임상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학습의 어려움[15], 수행 자신감 하락으로 임상 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를 감소시킨다[13].

임상수행능력은 졸업 후 치과위생사로서의 역할을 평가받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치위생 교육에서 성과지표로 적용되어 실무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위한 체계적인 학교교육이 이루어져 임상과의 격차를 최소화하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실습교육이 되어야 한다[16].

한편 수행 자신감이란 제시된 활동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정도로[17], 임상수행능력과 관련성이 있고 임상수행능력향상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므로[18], 임상수행능력에 필요한 기술적 측면과 더불어 수행자신감이 향상될 때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력과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19]. 따라서 임상 수행능력향상을 위해서는 실무능력과 수행자신감을 동시에 고취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이 필요하다.

현장실습만족도는 학과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고 더 나아가 직업적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는[20] 측면에서 낮은 실습 만족도는 전공에 대한 부적응과 올바른 자아 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장애가 되어[21] 미래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긍지를 반감시킬 수 있다[20].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과 만족도에 비해 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과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11], 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가 높았으며[2], 실습만족도와 자아개념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22]. 따라서 교수자는 현장실습을 계획할 때 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박 등[8]은 대학에서 학습한 이론을 실습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체계적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고와 김[12]은 현장실습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첫 현장실습 시행 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소규모 형태의 밀착형 실습 교육이 실습에 대한 불안감 감소 및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었고[23] 향기요법이 현장실습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었으나[14] 그 대상이 간호학과 학생들로 한정되어 있으며 치위생과 학생들에게 적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현장실습만족도가 학습의지, 학과만족도 및 직업 이미지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2][11][13][15]을 감안한다면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실습 만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소규모형태의 밀착형 실무교육을 통한 현장실습 적응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습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술식위주의 교육내용을 소규모 밀착 교육을 시행하였고, 시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간접/직접 실무능력향상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치위생과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학생의 기대에 부응하는 현장실습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현장실습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충북 J시 일개 대학 치위생과 재학생 중 현장실습을 처음 경험하는 학생으로 하였다. 표본 수 산출을 위해 G*Power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정에서 단측검정으로 효과크기 0.5, 유의수준 0.05, 검 정력 0.80, 탈락률 10%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30명을 산출하였다. 연구 수행 전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중도 철회, 불충분한 응답 등을 제외한 30명의 결과를 최종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도구

2.1.1 일반적 사항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직전학기 성적, 학과 만족도를 포함하였다. 직전학기 성적은 3.5~4.0 이상, 2.5~3.4, 2.4 이하의 범위를 각각 ‘상’, ‘중’, ‘하’로 조사하였고, 학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 5점에서 ‘매우아니다’ 1점의 5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였다.

2.1.2 수행자신감

수행자신감은 직접실무능력평가의 체크리스트 20문항을 자가기입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자신감을 ‘매우 그렇다’ 5점에서 ‘매우 아니다’ 1점의 5 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 자신감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944이었다.

2.1.3 간접실무능력평가

간접실무능력평가항목은 치위생과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2인의 교수와 5년 이상의 치과현장전문가 2명으로 부터 내용타당도(CVI) 0.8이상으로 검증된 20문항 5지선다형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20개의 테이블 위에 문제지와 보기를 제시하였고, 보기는 모두 실제 기구나 도구 등을 배치하였다. 문제 당 30초의 시간을 주고, 그 이후 인접 테이블로 옮겨가며 문제를 푸는 이른바 ‘땡 시험(Bell ringer)’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평가하여 최저 0점 최대 20점으로 산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간접 실무능력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2.1.4 직접실무능력평가

직접실무능력평가항목은 2인의 교수와 2명의 현장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CVI) 0.8이상으로 검증된 20문항의 실무수행 평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항목별로 4개의 고사장을 준비하였으며, 각 고사장에 입실 시 학생은 1개의 문제를 뽑아 제시된 실무를 2분 내에 시행하도록 하였다. 교수자는 ‘이해도’, ‘재료준비’, ‘기구준비’, ‘유의사항 준수’, ‘숙련도’의 5가지의 평가 체크리스트에 ‘잘함’은 2점, ‘보통’은 1점, ‘못함’은 0점으로 평가하여 최저 0점, 최대 40점으로 산정하였다. 점수가 높을 수록 직접 실무능력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2.1.5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는 ‘기본수행’, ‘수복’, ‘근관처치’, ‘보철’, ‘외과’ 5개 항목에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만족도를 ‘매우 그렇다’ 5점에서 ‘매우 아니다’ 1점의 5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68이었다.

2.1.6 실습만족도

김 등[24]의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항목을 설정하였다. 총 2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우 그렇다’ 5점, ‘매우 아니다’ 1점의 5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실습만족도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17이었다.

2.2 현장적응교육 개발 과정

본 교육은 첫 실습에 임하는 치위생과 재학생의 기초적인 임상실무능력을 배양하여 임상 현장에 대한 적응력 향상을 목적으로 2019년 11월 부터 2020년 6월까지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도부터 2016년까지 충북 J시 전문대학 치위생과에서 진행한 실습 전 교육을 조사 분석하였고 빈번하게 수행되는 진료 영역 중학생 만족도가 높은 상위 3개 분야인 보존, 보철, 외과를 선별하였다. 치위생과 교수 2인, 5년 이상의 치과 경력을 가진 전문가 3인과의 회의를 거쳐 보철(가공의치술식), 보존(복합레진수복술식, 근관치료술식), 외과(발치술식)의 4가지 교육내용 및 핵심실무를 선정하였으며 김 등[25]의 설명-시범-수행의 교수-학습 방법을 참고하여 각 술식의 단계별로 교수자가 설명하고 시범 교육을 시행한 후 학생들이 직접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수 2인, 산업체 2인의 교수진으로 교육 전 체크리스트를 통해 교수자간 교육내용 및 방법의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CCTHCV_2022_v22n1_62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현장적응교육 개발과정

2.3 현장적응교육

현장적응교육에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전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을 확인하였다. 교육은 ‘가공의치술식’, ‘복합레진수복술식’, ‘근관치료술식’, ‘발치술식’ 에 사용되는 기자재 및 재료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각 교육내용별로 8~9명씩 소규모 밀착 교육하여 3시간씩 총 12시간의 교육을 진행하였고, 교육 후수 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4주간의 현장실습 종료 후 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3. 자료 분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만족도 및 현장실습 만족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교육 전․후에 따른 수행자신감, 실무능력간접/직접평가에 대한 비교를 위해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 test)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전, 연구대상자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Kolmogrov-Smirnov 검정을 시행하였다. 수행자신감, 실무능력 직접/간접평가, 교육만족도, 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는 SPSS 25.0(IBM,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 0.05% 하에서 검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29명(96.7%)으로 남성 1명(3.3%)에 비해 많았고, 직전 학기 성적은 중위가 14명(46.7)으로 가장 많고 상위 13명(43.3), 하위 3명(10.0%) 순이었다[표 1].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22_v22n1_620_t0001.png 이미지

2. 연구대상자의 정규성 검증

연구대상자의 정규성 검증결과 모든 항목의 p값이 0.05이상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수행자신감, 간접/직접 실무능력의 값이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표 2].

표 2. 연구대상자의 정규성 검증 

CCTHCV_2022_v22n1_620_t0002.png 이미지

* p<0.05

3. 현장적응교육 전·후 수행자신감 변화

현장적응교육 전·후의 수행자신감 변화를 비교한 결과, 교육 전 연구대상자의 수행자신감에 비해 교육 후 수행 자신감이 증가하였고 세부 영역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수행자신감이 향상되었다(p<0.05)[표 3].

표 3. 현장적응교육 전·후 수행자신감 변화

CCTHCV_2022_v22n1_620_t0003.png 이미지

4. 현장적응교육 전·후 간접/직접실무능력 변화

현장 적응 교육 전·후의 간접/직접실무능력 변화를 비교한 결과, 교육 전 연구대상자의 간접실무능력이 12.2 점에서 교육 후 18.27점으로 6.05점 향상되었다. 직접 실무능력은 교육 전 8.63에서 교육 후 29.70점으로 21.07점 향상되었다. 직접실무영역의 세부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수복 영역에서 5.04점, 근관 영역에서 5.64점, 보철영역에서 5.13점, 외과영역에서 5.34점 향상되었다(p<0.05)[표 4].

표 4. 현장적응교육 전·후 간접/직접실무능력 변화

CCTHCV_2022_v22n1_620_t0004.png 이미지

5. 현장적응교육 만족도

현장적응교육 후 교육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기본 수행의 만족도가 4.48점으로 가장 높았고 보철, 외과, 수복, 근관처치 순으로 높은 만족을 나타냈다[표 5].

표 5. 현장적응교육 후 교육만족도

CCTHCV_2022_v22n1_620_t0005.png 이미지

6. 현장실습 만족도

현장적응교육 후 실시한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적인 실습만족도는 4.23이었으며 세부적으로 실습환경 4.23, 실습내용 4.05, 실습 후의 만족도 4.42, 교육내용 4.23, 프로그램도움 4.15점으로 나타났다[표 6].

표 6. 연구대상자의 현장실습만족도

CCTHCV_2022_v22n1_620_t0006.png 이미지

7.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현장 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직접실무능력, 교육 만족도와 현장실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장 적응 교육의 ‘교육만족도’는 현장실습만족도의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표 7].

표 7.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CCTHCV_2022_v22n1_620_t0007.png 이미지

* p<0.05

8. 현장실습만족도 영향요인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현장 적응 교육을 독립변수로, 현장실습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현장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확인한 결과 현장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표 8].

표 8. 현장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2_v22n1_620_t0008.png 이미지

Ⅳ. 논의

현장실습은 전공 이론과 술기를 기반으로 임상 현장에서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적용함으로써 전공역량,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시간 관리 등 다양한 실무능력을향상시키고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시켜 임상 수행업무에 자신감을 향상시킨다[26]. 그러나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하는 현장실습은 정서적 혼란, 스트레스 증가 등의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현장실습 적응력을 강화시켜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측면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습을 앞둔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하여 실습에 대한 부정적 요인 감소와 적응력 향상을 도모하고, 그 결과를 교육 효과 및 현장실습 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한 결과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많았고, 직전 학기 학업성적은 중위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치위생과 성별 분포상 여학생이 많다 [20][27]는 기존 연구와 비슷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 전·후의 수행자신감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기본영역을 포함한 수복, 근관, 보철, 외과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수행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행자신감은 기술적인 측면과 더불어 현장 적응력 향상과 전문 역량 발휘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19].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현장적응교육은 진료실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 진료상황을 재연하고 소규모의 실습교육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수행자신감이 향상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간호학과 재학생 대상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한 임상실습 전후 자신감 비교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자신감이 향상되었다[28]는 기존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현장 재연 형태의 실습 교육이 수행 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 전·후의 간접/직접실무능력 변화는 교육 전 연구대상자의 간접실무능력이 12.2점에서, 교육 후 18.27점 (20점 만점)으로 6.05점 향상되었고, 직접 실무능력은 교육 전 8.63에서 교육 후 29.70점(30점 만점)으로 21.07점이 향상되었다. 직접 실무 세부 영역별로는 수복영역 5.04점, 근관영역 5.64점, 보철영역 5.13점, 외과 영역 5.34점이 향상되었다. 본 교육의 간접 실무능력향상을 위해 각 진료영역에서 사용되는 기구 및 재료를 나열하고 이들의 명칭 또는 사용용도 등을 반복적으로 학습하였고 직접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각 진료영역에서 사용되는 기구 및 재료세트를 준비하고, 각 기구 및 재료를 진료에 흐름에 맞게 사용하는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반복 훈련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 전 기구의 명칭, 사용용도, 영역별 기구준비, 진료의 흐름 등을 대부분이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교육 후에는 실무능력의 급격한 상승이 확인되었다.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켰고[12], 밀착형 실무진입 임상실습교육이 간호학과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킨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23]. 이는 임상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임상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반복 학습이 학생들의 직간접 실무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라고 생각한다.

교육 후 실시한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4.23점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과 재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를 연구한 최 등[29]의 연구에서는 3.25점이었고, 김[9]의 연구에서는 3.48점으로 본 연구의 실습 만족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내용에 대한인지도가 높을 경우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성 등[30]의 연구에 비추어 볼 때, 본연구에서 시행한 교육을 통해 현장실습 내용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되었고, 이는 직․간접 실무능력 향상과 수행 자신감으로 이어져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장적응교육과 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육효과의 하위 영역과 실습만족도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 효과의 하위 영역 중 교육 만족도와 실습만족도 하위 영역 중 교육내용 및 현장실습 도움이 상호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현장적응교육의 내용이 임상에서 대부분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실습을 수행하면서 배우는 내용과의 일치성으로 현장실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다만, 실습내용과 교육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실습내용을 묻는 설문문항이 실습과제가 주된 것으로써 실제 임상에서 주어진 과제가 학생들의 현장적응교육과 괴리가 있어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현장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일반적 특성과 현장적응교육이 현장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는 본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측면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되는데, 첫 현장실습을 앞둔 학생들이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12-14]는 선행연구에 따라 현장 적응 교육이 학생들의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4.23의 높은 현장실습만족도로 나타나 현장 적응 교육이 직접적 영향요인이 되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본연구에서 현장실습을 앞둔 재학생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향후 이를 보완한 연구를 통해 영향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첫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적응교육을 적용하여 교육 효과 및 임상 실습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적응교육은 수행 자신감과 실질적 수행능력 및 현장실습 만족도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고,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군과의 교육효과를 비교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 그럼에도 현장적응교육의 효과 및 실습 만족도를 측정하는 연구가 거의 없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의결과는 향후 현장실습 만족도 제고와 현장실습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가치가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두고자 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실습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성취도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Ⅴ. 결론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에게 도움을 주고 현장실습 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첫 현장실습 대상자를 대상으로 현장적응교육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장적응교육 후의 수행자신감, 간접/직접 실무능력은 현장 적응 프로그램 운영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2. 현장적응교육 후의 교육만족도는 4.34점이었고, 현장실습에서의 만족도는 4.23점이었다.

3.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은 현장 적응 교육의 ‘교육만족도’는 현장실습만족도의 ‘교육내용’과 ‘현장실습에 도움’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과 같이 현장적응교육은 치위생과 재학생의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에 만족도를 높여 현장실습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므로 향후 다양한 현장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현장실무능력 및 적응력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https://www.kdha.or.kr/introduce/dentalhygienist.aspx#introduce
  2. 한양금, 김한홍,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실습만족도가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457-464,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57
  3. 이선미, 박경숙,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이미지에 관한 주관성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제3권, 제2호, pp.73-94, 1999.
  4. 원복연, 장계원, 황미영, 장종화, "치위생학 현장실습교육 현황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6권, 제6호, pp.993-1007,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6.993
  5. 김정숙, 전북지역 치위생과 현장실습 교육의 표준화 필요성,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 양정승, "치위생과 학생의 지역사회 구강진료기관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05-215, 2000.
  7. 전주연, 이현옥, 김진,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표현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89-96, 2007.
  8. 박정희, 이명주, 구효진,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내용에 따른 실습기관별 만족도,"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4호, pp.631-639,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31
  9. 김수경, "치위생(학)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현장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9권, 제6호, pp.1037-1046, 2019.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89
  10. 심형순, 이향님, "일부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대처,"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39-145,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139
  11. 전기하, 임순연, 김미, "치위생(학)과 학생의 통합성, 현장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치위생과학회지, 제16권, 제5호, pp.323-330, 2016. https://doi.org/10.17135/jdhs.2016.16.5.323
  12. 고은정, 김은정,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임상실습 불안,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6권, 제3호, pp.289-299, 2019.
  13. 함영희, 김상남,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전 상태불안과 자아 존중감에 관한 연구," 금구농촌 제8권, pp.45-54, 2001.
  14. 이혜숙, "향기 흡입법이 간호 대학생의 첫 임상 실습 전 불안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12-119, 2008.
  15. 이향님, 김은미,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관련 불안과 피로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31-137,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131
  16. 장경애,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35-42, 2015. https://doi.org/10.15207/JKCS.2015.6.6.035
  17. 박영례,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신감,"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29-436, 2007.
  18. 전현숙,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수행경험,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569-579,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69
  19. 최금희, 홍민주, 권수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07-116, 2019. https://doi.org/10.7739/jkafn.2019.26.2.107
  20. 심선주, 백하영, 엄정선, 정하얀, 지혜미, 황시내, 한지혜,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제5권, 제1호, pp.22-30, 2017. https://doi.org/10.22671/JKADA.2017.5.1.22
  21. 허남숙, 이유희,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 자아개념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99-410, 2018.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3.399
  22. 김서희,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3. 장현숙, 이정순, "간호학생의 밀착형 실무진입 현장실습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상태불안 및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3권, 제4호, pp.419-429, 2016.
  24. 김은하, 오윤희,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2호, pp.186-198, 2000.
  25. 김명은, 김희경, 김준영, 치위생 Level up+ 프로그램, 기초학습전공기초능력증진지원보고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pp.35-50, 2017.
  26. A. Lofmark and K. Wikblad, "Facilitating and obstructing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J Adv Nurs, Vol.34, No.1, pp.43-50, 2001.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1.3411739.x
  27. 전미진, 유미선, 김화숙,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 융합정보논문지, 제8권, 제3호, pp.127-136, 2018.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127
  28. 한종숙, 백희정, 정안순, "정신질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11호, pp.7812-7819, 2015.
  29. 최정희, 고은경, 이성림, "치위생과 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15-322,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2.315
  30. 성미경, 황세현, 강현경, 장경애,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91-399,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