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명숙, 방은령 (2014).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443-467.
- 강명화, 한진주 (2017).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하는 놀이의 의미: 어머니의 관점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1(4), 541-563. https://doi.org/10.21459/kccr.2017.21.4.541
- 강유진 (2013).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한국아동학회, 34(1), 175-189. https://doi.org/10.5723/KJCS.2013.34.1.175
- 공영숙 (2012).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공영숙, 임지영 (2013).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이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Latzman의 문제행동 이론 검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2(4), 5-24.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 권두리 (2021).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EEF)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 김나래, 최미숙 (2022). 유아 놀이몰입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7(5), 195-218. http://doi.org/10.20437/KOAECE27-5-08
-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 김정운 (2006). 노는만큼 성공한다. 21세기북스.
- 김진경 (2020). 놀이를 통한 실행기능 증진과 놀이몰입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나은숙 (2013). 유아 놀이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589-608.
- 나은숙, 한수정 (2011).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1), 59-78.
- 노윤미 (2006).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놀이참여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류희정, 이진희 (2013).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2), 47-64. https://doi.org/10.16978/ecec.2013.8.2.003
- 박진희 (2019).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1103-1122.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4.1103
- 박형신, 김정주 (2017).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유아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5), 501-522. https://doi.org/10.22143/HSS21.8.5.28
- 변혜원 (2017). 유아의 억제통제 및 기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CLASS)이 또래주도성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변혜원, 성지현 (2017). 유아의 또래주도성 척도 개발 및 내적 구조 탐색. 한국심리학회지:발달, 30(3), 1-24.
- 신유림 (1995).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주도적, 추종적 놀이스타일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2), 23-36.
- 안미현, 김정미 (2017).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13-228. https://doi.org/10.22155/JFECE.24.4.213.228
- 안서희, 정윤경 (2019). 놀이 상황에서 어머니의 인지적.정서적 지지와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 간의관계: 흥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3), 99-119. https://doi.org/10.35574/KJDP.2019.09.32.3.99
- 안소영, 최윤정 (2009). 놀이중심 유아교육: 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에 몰입 하도록 지원하기. 아동과 권리, 13(4), 555-577.
-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 원희영 (1997).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이봉주, 김선숙, 김낭희 (2010).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07-140.
- 이선경, 심성경 (2016).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육아지원연구, 11(3), 5-28.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1
- 이소연, 위영희, 유재령, 정윤주, 이영애, 김리진 (2018).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연구. 놀이치료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21(4), 491-507. https://doi.org/10.17641/KAPT.21.4.4
-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유미, 신나리 (2019). 유아의 또래주도성이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69-86.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69
- 이윤아, 이완정 (2015).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135-151. http://doi.org/10.14698/jkcce.2015.11.135
- 이윤정, 공영숙, 임지영 (2014). 부.모의 양육행동의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2(1), 13-26.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
- 이지연, 곽금주 (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51-165.
- 이채호, 최인수 (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 장수진 (2008). 유아의 기질, 인지능력, 실행기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은진 (2019). 유아의 실행기능과 수학이야기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37-5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1.037
- 조다연, 성지현 (2020). 유아의 실행기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4), 61-73. https://doi.org/10.5723/kjcs.2020.41.4.61
- 차미숙 (2018).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학교준비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차미숙, 김광웅 (2018).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15-138.
- 차유미, 이진희 (2016). 어머니들이 구성한 유아 바깥놀이의 의미: 안전과 위험부담 딜레마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8(1), 15-35.
- 최남정, 오정희 (2010).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경험-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1), 173-196.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1.007
-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 최유석 (2018). 부모의 놀이참여 및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은정, 김은향 (2019). 가족상호작용, 부모-자녀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1-21. https://doi.org/10.20437/KOAECE24-2-01
- 최태산, 조미정 (2009). 아동의 놀이성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1994년~2008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75-96.
- 홍윤정 (2017).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 홍현명, 권혜진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놀이신념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11(3), 145-165. https://doi.org/10.34226/gcl.2021.11.3.145
- 황윤세 (2022). 유아의 실행기능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놀이주도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2(4), 349-364. https://doi.org/10.18023/kjece.2022.42.4.014
- 황혜련, 송현주 (2013). 아동기 실행기능과 부모양육태도. 재활심리연구, 20(2), 149-167.
- Barnett, R. C., & Baruch, G. K. (1988). Correlate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In P. Bronstein & C. P. Cowan (Eds.), Fatherhood today: Men's changing role in the family (pp. 66-78). Wiley.
- Black, B. (1992). Negotiating social pretend play: Communication differences related to social status and sex. Merrill-Palmer Quarterly, 38(2), 212-232.
- Brown, S., & Vaughan, C. (2010).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윤미나 옮김). 흐름출판. (원판 2009)
- Carlson, S. M., & Wang, T. S. (2007). Inhibitory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Cognitive Development, 22(4), 489-510. https://doi.org/10.1016/j.cogdev.2007.08.002
- Cemore, J. J., & Herwig, J. E. (2005). Delay of gratification and make-believe play of preschool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9(3), 251-266. https://doi.org/10.1080/02568540509595069
- Coolidge, F. L., Thede, L. L., & Young, S. E. (2000). Heritability and the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behavioral disorders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7(3), 273-287. https://doi.org/10.1207/S15326942DN1703_1
-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Capricorn Book, G. P. Putnam's Son.
- Diamond, A., & Taylor, C. (1996). Development of an aspect of executive control: Development of the abilities to remember what I said and to "Do as I say, not as I do.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315-334. https://doi.org/10.1002/(SICI)1098-2302(199605)29:4<315::AIDDEV2>3.0.CO;2-T
- Fein, G. G., & Fryer, M. G. (1995). Maternal contributions to early symbolic play competence. Developmental Review, 15(4), 367-381. https://doi.org/10.1006/drev.1995.1014
- Gioia, G. A., Isquith, P. K., & Guy, S. C. (2001).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In R. J. Simeonsson & S. L. Rosenthal (Eds.),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Assessmen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ronic conditions (pp. 317-356). The Guilford Press.
- Golub, T. L., Rijavec, M., & Olcar, D.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flow in learning. Studia Psychologica, 58(1), 47-58. https://doi.org/10.21909/sp.2016.01.706
- Goncu, A. (1993). Development of inter-subjectivity in the dyadic play of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99-116.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100-0
- Goncu, A., & Kessel, F. (1984). Children's play: A contextual functional perspective.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84(25), 5-22. https://doi.org/10.1002/cd.23219842503
- Hughes, C. (199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Links with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233-253.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8.tb00921.x
- Hughes, F. P. (1995).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Allyn and Bacon.
- Kelly, R., Dissanayake, C., Ihsen, E., & Hammond,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play and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6(2), 21-27. https://doi.org/10.1177/183693911103600204
-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5).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교문사.(원판 2015)
- Lamb, M. E. (1986). The Father's Role: Applied Perspectives. Wiley.
-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https://doi.org/10.1023/A:1026595011371
-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5). Predi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ention, memory, and planning in first graders from experiences at home, child care, and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41(1), 99-114. https://doi.org/ 10.1037/0012-1649.41.1.99
- Nilsen, E. S., Huyder, V., McAuley, T., & Liebermann, D. (2017). 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 A parent-report measure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ing skills. Psychological Assessment, 29(1), 50-64. https://doi.org/10.1037/pas0000308
- Russell, A., & Saebel, J. (1997). Mother-son, mother-daughter, father-son, father-daughter: Are they distinct relationships?. Developmental Review, 17(2), 111-147. https://doi.org/10.1006/drev.1997.0456
- Schwartzman, H. (1978). Transformations :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Plenum press.
- Segal, M., & Adcock, D. (1981). Just pretending: Ways to help children grow through imaginative play. Englewood Cliffs, Prentice Press.
-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 Smilansky, S. & Shefataya. (1990).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al in young children. Psychosocial and Educational Publish.
- Sokol, B., Muller, U., Carpendale, J.. Young, A., & Iarocci, G. (2010). Self-and social-regulation:Social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interaction, social understanding and executive fu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 Stevenson, M. B., Leavitt, L. A., Thompson, R. H., & Roach, M. A. (1988). A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 and chil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101-108. https://doi.org/10.1037/0012-1649.24.1.101
- Toub, T. S. (2012). What Good is Pretending? Adding a Pretense Context to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Publication No. 3552865)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oQuest Dissertation and Theses Global.
- Towe-Goodman, N. R., Willoughby, M., Blair, C., Gustafsson, H. C., MillsKoonce, W. R., & Cox, M. J. (2014). Fathers' sensitive parenting an d the development of early executive function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8(6), 867-876. https://doi.org/ 10.1037/a0038128
- Trawick-Smith, J. (1988). "Let's say you're the baby, OK?" Play leadership and follow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3(5), 51-59.
-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isser, D. B. (1991). A normative development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2), 131-149. https://doi.org/10.1080/87565649109540483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 Zelazo, P. D., Carter, A., Reznick, J. S., & Frye, D. (1997). Early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 problem-solving framework.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98-226. https://doi.org/10.1037/1089-2680.1.2.198
- Zelazo, P. D., Muller, U., Frye, D., Marcovitch, S., Argitis, G., Boseovski, J., & Carlson, S. M. (2003).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8(3), i-151. https://doi.org/10.1111/j.0037-976x.2003.0026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