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xperienc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t Inclusive Setting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 장지영 (한국성서대어린이집) ;
  •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Ji Young, Jang ;
  • Youn Kyung, Cho
  • 투고 : 2022.08.17
  • 심사 : 2022.11.17
  • 발행 : 2022.12.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Methods: Individual interviews with 14 teachers at seven inclusive settings in Seoul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six categories and 42 sub-them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ix categories and 37 sub-them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erived through qualitative-compar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teacher in-service education conducted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gave substantial aid in the applied practices of cas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lated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heightened. The inclusive settings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lay, case, and children's interest. As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rogressed, children also change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program」 allowed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experiences to coexist at the inclusive setting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cal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and national level must be stress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to solve the difficul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리, 조현근 (2019).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9(4), 247-268. https://doi.org/10.21214/kecse.2019.19.4.247
  2. 교육부 (2015).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부.
  3. 교육부 (2022.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B%93%B1%EC%97%90%EB%8C%80%ED%95%9C%ED%8A%B9%EC%88%98%EA%B5%90%EC%9C%A1%EB%B2%95에서 2021년 8월 15일 인출.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5. 국립특수교육원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1 누리과정 운영 안내.
  6. 권은정, 손원경 (2022). 워드클라우드 방법을 통해서 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7(3), 27-53.
  7. 김경희 (2022). 숲 놀이터에서 개정누리과정 놀이중심을 지향하는 장애 유아의 놀이 실행. 한국영유아보육학, 132, 25-53. https://doi.org/10.37918/kce.2022.1.132.25
  8. 김대욱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7(1), 343-351. http://doi.org/10.17703/JCCT. 2021.7.1.343
  9. 김대욱, 신수진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5(1), 197-223. http://doi.org/10.32349/ECERR.2021.2.25.1.197
  10. 김수진, 조윤경 (2018). 조기개입 실행 개선을 위한어머니의 조기개입 경험 분석. 특수교육, 17(4), 139-166. http://doi.org/10.18541/ser.2018.11.17.4.139
  11. 김순환, 오현주 (2019).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육아지원연구, 14(2), 55-83. https://doi.org/10.16978/ecec.2019.14.2.003
  12. 김슬기, 이병인, 조현근 (2021).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1(1), 1-29. https://doi.org/10.21214/kecse.2021.21.1.1
  13. 김지현 (2020). '장애 유아를 위한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방안 적용이 장애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0(1), 69-87. https://doi.org/10.21214/kecse.2020.20.1.69
  14. 김희영, 엄정애 (2020).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40(3), 119-152.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3.006
  15. 나정, 문무경, 심은희 (2004).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 OECD의 진단과 대 정부 권고. 한국교육개발원.
  16. 문수영, 조영주 (2020). 어린이집원장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반 교사의 자율성 지원하기. 유아교육연구, 40(6), 61-83.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6.003
  17. 박선화, 노진아 (2019).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9(1), 37-58. https://doi.org/10.21214/kecse.2019.19.1.37
  18. 방현실 (2020).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https://doi.org/10.23197/SCECE.2020.7.1.004
  19. 배민정, 이효신, 박채진, 김진희 (2013). 통합된 자유놀이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놀이행동 탐색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프로그램 이후에 실시되는 소그룹 자유놀이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355-384.
  20. 서보순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지원자료의 텍스트 분석: 통합교육에서의 놀이를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12(1), 27-54. https://doi.org/10.26834/kscice.2022.04.15.27
  21. 서윤희 (2021).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801-820.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7.801
  22. 성안나, 김연하, 이지선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2), 19-38.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2.019
  23. 소경희, 최유리 (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24. 손지연 (2017). 어린이집 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인문사회21, 8(3), 통권 22호, 211-227. https://doi.org/10.22143/HSS21.8.3.12
  25. 안영혜 (2021).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교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12(4), 2045-2060.
  26. 여선옥, 심윤희 (2020).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158-183. https://doi.10.15409/riece.2020.22.4.7
  27. 오지연, 노진아 (2020). 국·공립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20(3), 83-112. https://doi.org/10.21214/kecse.2020.20.3.83
  28.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3.001
  29. 윤선영, 조윤경 (2013).「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평가와 지원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105-134.
  30. 이경화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 비판.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25. https://doi.org/10.30761/ecoece.2019.18.1.1
  31. 이성회 (2017).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 개념모델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에 주는 도전과 함의. 한국성인교육학회, 20(2), 1-27. https://doi.org/10.22955/ace.20.2.201705.1
  32. 이소현, 윤선아, 안의정, 허수연, 나지회 (2021.12).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공주.
  33. 이양숙, 하양승, 전홍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3, 49-78. https://doi.org/10.37918/kce.2020.07.123.49
  34. 이영환, 서현아, 윤정진 (2013).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09-342.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09
  35.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36. 이은형, 김정숙 (2021). 고경력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개정누리과정 적용의 의미와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365-378.
  37. 이인숙, 정길순, 노진아 (2020). 통합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지적장애연구, 22(3), 55-77. https://doi.org/10.35361/KJID.22.3.3
  38. 이정욱 (2019). 누리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및 쟁점 분석, 유아교육연구, 39(2), 255-277. https://doi.org /10.18023/kjece.2019.39.2.011
  39. 이진미, 오주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장애전문어린이집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21(4), 1-11. https://doi.org/10.21213/kjcec.2021.21.4.1
  40. 임부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0(2), 5-32.
  41. 임승렬, 전방실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4), 21-47. https://doi.org/10.22154/JCLE.21.4.2
  42. 정기오 (2009). 국가교육과정의 법적 성격 지위 및 기능에 관한 연구. 교육법학연구, 21(2), 275-298. https://doi.org/10.17317/tjle.21.2.200912.275
  43. 정주인, 권귀염 (2020).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유아교육연구, 40(3), 93-118.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3.005
  44. 정채영, 신윤승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중심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인문사회 21, 11(5), 1539-1554. http://doi.org/10.22143/HSS21.11.5.110
  45. 조부경, 서현정, 김영희 (2020).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방향에 대한 성찰. 유아교육연구, 40(1), 185-213.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1.008
  46. 조운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초기의 유아교사 경험. 육아지원연구, 15(3), 105-125. https://doi.org/10.16978/ecec.2020.15.3.005
  47. 조운주 (2021).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관계. 교육논총, 41(4), 265-283. https://doi.org/10.25020/je.2021.41.4.265
  48. 조윤경 (2021). 통합 어린이집 교직원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원장, 보육교사, 특수교사의 초점 집단 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20(2), 97-126. https://doi.org/10.18541/ser.2021.02.20.2.97
  49. 진재섭 (2022). 유아특수교사의 개정누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인문사회 21, 13(2), 603-617. http://doi.org/10.22143/HSS21.13.2.43
  50. 50.진혜림, 이병인, 강성리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실행 경험. 유아특수교육연구, 21(3), 89-115. https://doi.org/10.21214/kecse.2021.21.3.89
  51. 홍은숙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천적 요구. 특수교육, 21(1), 5-31. http://doi.10.18541/ser.2022.2.21.1.5
  52. Clandinin, J. & Connelly,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53. Elo, S., & Kyngas, H. (2007)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54. Graneheim, U. H.,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4(2), 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55. Hsieh H.-F. & Shannon S.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56. Leadbeater, C. (2017, October), "Student Agency" section of Education 2030 -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Background papers. Retrieved August 28, 2021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Conceptual papers.pdf
  57.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58. Polit, D. F., & Beck, C. T. (2004).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