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 수학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 분석 연구

  • Received : 2021.12.23
  • Accepted : 2022.01.18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 and to explore their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solution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solution spaces (OMR-framework) organized into subspaces of outcome spaces, method spaces, representation spaces which could be used in structurally analyzing students' solutions of open-ended tasks. In our research, we developed open-ended tasks which had various outcomes and methods that could be solved by using the concepts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assigned the tasks to 181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solution spaces by applying the OMR-framework, it was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their approach to reversible and constructive thinking. In addition to formal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various informal representations constructed by students were also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each space(outcome, method, and representation) had a unique set of characteristics, but were closely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method of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systemizing and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and are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the solutions of open-ended task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을 분석하는 틀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학생들의 해법 공간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검토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개방형 과제의 해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틀로 결과 공간(Outcome spaces), 방법 공간(Method spaces), 표현 공간(Representation spaces)의 하위 공간으로 조직화한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개발하였다. 약수와 배수 주제의 개방형 과제 유형 중 역 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81명에게 과제를 해결하게 하였다.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해법 공간을 분석한 결과, 해법 공간과 방법 공간에서 역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에 대한 학생의 약수와 배수 개념 이해의 특성과 문제해결에서 사용되는 가역적인 사고 및 조작과 구성의 사고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표현 공간에서 형식적인 수학적 표현 외에 학생들이 구성한 비형식적인 다양한 표현 방식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해결한 것을 결과, 방법, 표현의 관점에서 해결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법 공간을 이루는 결과 공간, 방법 공간, 표현 공간 사이의 연결성도 탐색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청주교육대학교 대학발전연구과제(과제번호 CJE2020D027) 연구 수행 결과로 작성된 것임

References

  1.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2008).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53-77.
  2.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 44(2), 307-323.
  3. 김남균(2019).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의 개방형 수학 수업설계와 실행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35(1), 85-103.
  4. 김연주, 나귀수(2009).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141-161.
  5. 김은혜, 박만구(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6. 박화영, 김수환(2006).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 영재아 수업 사례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0(1), 117-145.
  7. 백동현, 이경화(2017).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다중해법 간의 질적 차이 분석. 학교수학, 19(3), 481-494.
  8. 신인선, 김시명(2006).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행동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0(1), 33-59.
  9. 양은경, 신재홍(2014). 개방형 기하 문제에서 학생의 드래깅 활동을 통해 나타난 수학적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1-27.
  10. 오민영(2020).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예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11. 오민영, 김남균(2021).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247-264.
  12. 이대현(2008). 초등 수학 평가를 위한 개방형 문제의 활용 결과 분석. 수학교육, 47(4), 421-436.
  13.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14. 임송현(2014). 조건부족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영재의 수학적 사고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5. 임재훈(2012). 초등수학 교과서의 분수 곱셈 알고리즘 구성 활동 분석: 모델과 알고리즘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4(1), 135-150.
  16. 정동권(1996). 兒童의 發展的 思考力을 기르기 위한 Open-ended Problem의 活用.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29(2), 225-239.
  17. 정두영, 김도상(2000).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수학 교수.학습의 전개. 수학교육논문집, 10, 201-219.
  18. 하수현, 이광호(2014). Leikin의 수학적 창의성 측정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83-103.
  19. Becker, J. P., & Shimada, S.(2004). 개방형 교수법: 수학 지도를 위한 새로운 제안(구광조, 전평국, 박성선, 문성길,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1995).
  20. Bingolbali, E.(2011). Multiple solutions to problems in mathematics teaching: Do teachers really value them?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1), 18-31. https://doi.org/10.14221/ajte.2011v36n1.2
  21. Bingolbali, E., & Bingolbali, F.(2020). An examination of tas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multiple outcomes and multiple s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4), 214-235.
  22. Krutetskii, V. A. (2014). 수학적 능력의 심리학(송상헌,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정영옥, 서동엽, 김성준, 김지원,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1976).
  23. Lekin, R. (2007). Habits of mind associated with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and solution spaces of mathematical tasks. In D. Pitta-Pantazi, & G. Philippou(Eds.), Proceedings of the fif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CERME-5 (pp.2330-2339).
  24. Leikin, R.(2009a).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129-145). Rotterdam,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25. Leikin, R.(2009b). Multiple proof tasks: Teache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In Proceedings of ICMI Study-19: Proofs and proving.
  26. Leikin, R., & Lev, M.(2013). Mathematical creativity in generally gifted and mathematically excelling adolecents: What makes the difference?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2), 183-197. https://doi.org/10.1007/s11858-012-0460-8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al success for all. USA: The Council.
  28. Palmer, H., & van Bommel, J.(2018). The role of and connection between systematization and representation when young children work on a combinatorial task.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6(4), 562-573. https://doi.org/10.1080/1350293x.2018.1487141
  29. Sarama, J., & Clements, D. H.(2009).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Learning trajectories for young children. Newyork: Routledge.
  30. Tsamir, P., Tirosh, D., Tabach, M., & Levenson, E.(2010). Multiple solution methods and multiple outcomes-is it a task for kindergarten children? Edu. Stud Math, 73, 217-231. https://doi.org/10.1007/s10649-009-9215-z
  31. Watson, A., & Mason, J. (2015). 색다른 학교 수학(이경화,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