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Changes Near the Greenhouse Complex Area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지하수관측망을 이용한 강변 시설재배지역 지하수위 변화 특성 분석

  • Baek, Mi Kyung (Gyeongnam Regional Headquarter,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Kim, Sang Mi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2.08.22
  • Accepted : 2022.09.14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greenhouse cultivation area and groundwater level changes due to the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es, which are mainly situated along rivers where water resources are easy to secure. The groundwater observation network in Miryang, Gyeongsangnam-do, locate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We classified the groundwater monitoring well into the greenhouse (riverside) and field cultivation areas (plain and mountain) to compare the groundwater impac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changes classified by terrain type were analyzed using the observed data. Riverside wells have significant permeability coefficients and are close to rivers, so they are greatly affected by river flow and precipitation changes so that water level shows a specific pattern of annual changes. Most plain wells do not show a constant annual change, but observation wells near small rivers and small-scale greenhouse cultivation areas sometimes show annual and daily changes in which the water level drops during winter. Compared to other observation wells, mountain wells do not show significant yearly changes in water level and show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drock aquifer well with a low permeability coefficient.

Keywords

Ⅰ. 서론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대비가 상시체제가 된 요즈음,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가뭄 등의 비상시 지표수는 물론이고 지하수의 공급 가능량에 대해서도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하수관리를 위해 국가 최상위 계획인 ‘지하수관리기본계획 (2012∼2021)’이 수립되었고, 지하수의 장기적인 수량, 수질 관리를 위해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역지하수관측망 (보조지하수관측망), 수질측정망, 해수침투관측망 등 광역과 지역단위로 크게 나누어 지하수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법에 의거하여 전국의 주요지점 (2016년 말 기준 412개소)에 관측소를 설치하여 수위 및 수질의 변동실태를 광역적으로 분석함이 목적이며, 보조지하수관측망은 국가지하수관측망과 연계하고 보완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지역별 주요 관측지점의 수위, 수질자료를 획득하며, 2018년 9월 현재 3,429개소가 설치되어있다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2018).

국내의 시설원예는 1990년 이후 UR-FTA 등 개방화 대책의 일환으로 원예시설 현대화사업이 추진되면서 재배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시설원예작물의 재배면적은 1990년 3.8만ha에서 2000년 9.4만ha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4년에는 6.6만ha 수준으로 이 중 과채류 재배면적은 1990년 2.1만 ha에서 2000년 5.1만 ha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14년 4.0만 ha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과채류 재배면적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Kim and Chae, 2016). 시설재배 지역은 지하수 확보가 용이한 하천변 지역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경남, 경북, 충남, 경기, 전남, 전북 순으로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 (MAFRA and KRCC, 2015). 농림축산식품부의 ‘시설 채소 온실현황 및 채소류 생산실적 ‘에 대한 자료에서 수막재배 면적을 조사한 결과 수막재배 면적은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며, 2017년의 경우 2010년 대비 약 195% 증가하였다. 수막재배 면적 (7,409 ha)은 전국 시설재배 면적 (45,117 ha)의 약 16%, 전국 경지 면적 (162만 ha)의 0.4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 경남 (2,004 ha), 경기도 (1,523 ha), 충남 (933 ha)의 순서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MAFRA, 2010∼2017).

수막재배는 겨울철 온실 난방에 지하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동절기 시설 재배방식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농경지에서 채택하고 있다 (Chang and Chung, 2015). 국내에서는 최근에 수변지역의 시설재배와 수막재배 면적이 증가하면서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막재배단지는 주로 하천 주변에 대규모 단지의 형태로 집중되어 있어 제한된 영역에서의 수막용수 과다 사용은 지하수위의 고갈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수막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중 상당량이 수막재배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Kim et al., 2007; Kim et al., 2013; Moon et al., 2015; Chang et al., 2016). 겨울철에 많은 양의 지하수 양수가 이루어지고 온도 유지에 사용한 후에는 농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동절기에 다량의 지하수를 집중적으로 양수하게 되므로 일시적인 지하수 고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KIGAM, 2010; Moon et al., 2012). 수막용수는 주로 늦가을부터 초봄 사이 비닐하우스 한 동 (약 100×10m)에서 야간 (약 14시간)에 약 50∼70 m3/day의 지하수가 사용된 후 배수로 등으로 버려지고 있어 시설농업단지의 지하수위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전국 시설농업단지에서 수막재배에 사용되는 지하수의 양은 6.8억m3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인 16.9억m3의 약 4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Kim, 2016).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관측망을 이용하여 수막용수를 이용하는 시설재배단지 인근 지하수위 변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막용수 사용이 없는 일반농업지역의 지하수 특성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설재배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낙동강 하류의 경남 밀양지역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대상지역

본 연구의 대상유역으로 경상남도 밀양시의 하남들과 상남들 일대를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남쪽 경계로 낙동강이 위치하고 고도가 높은 북서쪽 산내면에서 발원된 동천이 밀양강으로 합류하여 상남면, 삼랑진읍, 하남읍을 지나 낙동강으로 합류된다. 밀양시 상남들과 하남들은 낙동강변의 하남읍과 밀양강변의 상남면, 삼랑진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절기 수막재배를 위해 대부분 지하수를 개발하여 이용중에 있다. 상남들과 하남들은 진주의 단목지구와 함께 경남의 대표적인 대규모 시설재배 단지이다. 여름기간에는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겨울이 되면 비닐하우스 시설을 설치하여 딸기, 고추 등의 다양한 시설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하우스시설의 보온을 목적으로 수막시설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열원으로 사용한다. 대규모 시설농업단지가 집중 되어있는 낙동강과 밀양강 인근의 상남면, 하남면, 삼랑진읍의 강변지역에 총 2,306공의 관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심도는 평균 34∼36 m로 대부분 충적지하수를 이용하는 충적관정이고, 생육용수와 수막 재배용으로 사용된다. 시설재배단지가 가장 밀접되어 있는 하남읍의 경우 지하수 관정은 총 1,031공이고 그 중 92.6%인 955공이 농업용으로 대부분 시설재배용수와 수막재배용수로 사용 중이다 (Miryang, 2020). 다음의 Fig. 1은 대상지역의 지형과 토지이용 및 시설재배를 위해 사용중인 농업용 지하수 관정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NGHHCI_2022_v64n6_13_f0001.png 이미지

Fig. 1 Pumping wells for greenhouse cultivation in riverside area

2. 지하수 관측공

대상지역의 지하수 관측정은 관정의 밀집도가 높거나, 지하수의 이용량이 많은 지역,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 소유역을 대표하는 상하류 등에 설치되어 있다.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자료수집 및 송신전원으로 사용하며, 관측정을 보호하기 위해 가드와 팬스가 설치되어 있다. 관측항목은 수위, 수온, 전기전도도 (EC)이며, 한 시간 단위로 관측되며 원격송신으로 서버에 수집된다. 관측정 심도별로는 암반대수층을 관측하기 위한 암반관측정과 지표수의 영향이 빠른 충적대수층을 관측하기 위한 충적관측정으로 구분된다.

밀양지역의 보조지하수관측망은 총 31개소가 운영중에 있으며, 국가지하수관리계획의 하부계획인 ‘경상남도 지하수관리계획 (2017∼2023)’에 의거 2012년에 6개소의 관측공 설치를 시작으로, 2013년 7개소, 2014년 10개소, 2015년 8개소를 설치하였고, 201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관측⋅운영 중이다(Miryang, 2019).

대상지역을 농업유형별로 시설재배지역 (Greenhouse cultivation)과 일반농업지역 (Field cultivation)으로 구분하고 31공의 관측공을 시설재배지역은 강변 15개소, 일반농업지역은 평지 10개소, 산악 6개소로 분류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의 Fig. 2는 대상지역의 유형별 지하수 관측공을 분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able 1은 구분된 관측정의 설치연도, 소재지, 대수층의 구분, 심도, 센서 설치심도, 인근 하천과 이격거리, 관측정의 고도를 구분한 것이다. 시설재배지역은 인근에 큰 하천이 있고, 고도가 평균 14.6 m로 낮으며, 일반농업지역 중 평지는 25.3 m, 평지는 182.2 m이고 충적관측정의 심도는 33 m, 암반관측정은 100 m 내외다.

NGHHCI_2022_v64n6_13_f0002.png 이미지

Fig. 2 The location of 31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categorized by agricultural type

Table 1 The characteristics of 31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classified by cultivation type and location

NGHHCI_2022_v64n6_13_t0001.png 이미지

수막용수 사용을 위한 시설재배단지의 농업용 지하수 사용은 주로 강변에 위치한 시설재배단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강변 시설재배단지 인근에 위치한 15개소의 관측망의 지하수위를 계절별, 사용시기별로 분석하였다. 15개 지점 중 2개 지점은 동일 위치에 설치된 충적관정과 암반관정 중 암반관측정에 다중심도 관측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음의 Fig. 3은 대상지역의 강변지역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공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관측정의 명칭은 설치된 순서대로 ‘MYM-000’과 같이 표현하였다. MYM-002, 003과 MYM-008, 009는 각각 다중심도 관측지점으로 충적관정과 암반관정을 동시에 설치하여 관측중인 곳이다.

NGHHCI_2022_v64n6_13_f0003.png 이미지

Fig. 3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installed in riverside area

3. 자료수집 및 전처리

관측자료에는 시스템 내외적인 변화로 비롯된 비정상적인 관측값을 갖는데 이런 관측값을 이상치 (Outlier)라고 한다 (Wei, 1990). 실제로 거의 모든 관측자료는 어떤 이유에서든지 이상치를 가지게 되는데, 이상치는 단순한 기록오류 이외에 시스템의 변화 (자연적인 현상 또는 인위적인 변동)를 나타내는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치가 존재하게 되면 관측자료의 여러 가지 통계적 특징에 영향을 주며,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인지하는 것은 자료의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자동관측 시스템에서는 이상치에 대한 인위적인 판단 기회가 적으므로 관측기기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장기적인 이상치가 발생할 수 있다 (Yi et al., 2005).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지하수위 변동은 강우에 의해 발생한다.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강우에 의한 지하수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하수 시계열 자료에 포함된 결측, 측정 오류 등 이상치 및 양수 등에 의한 인위적인 변화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Koo et al., 2013; Yoon et al., 2015).

31개 관측정에서 시간별로 모니터링된 지하수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일별자료로 변환하고 이상치와 결측치를 처리하는 자료의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시설재배를 위한 수막재배로 인한 지하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전처리를 위해 통계프로그램인 R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의 전처리 과정은 시간별자료의 일별자료 변환, 이상치 제거, 결측치 보완의 작업순서로 진행하였다. 시간별자료의 일별자료 변환은 R의 aggregate( ) 함수를 이용하였으며, 시간별 자료에 결측치가 있어 일별값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당일의 자료는 결측으로 처리하였다. 이상치 (outlier)는 R프로그램의 box plot을 이용하여 극단치를 확인하고 이상치 구간을 설정한 후 ifelse( ) 함수를 이용하여 이상치를 결측치 (NA)로 변환하였다. 결측치는 일평균값으로 대체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지하수 유형별 특성 분석

가. 시설재배지역

시설재배지역은 다른 지형과 비교해 하천에 가까워 충적층 지하수가 풍부하여 시설농업이 발달되어 있고 수막재배를 위한 지하수관정 개소수와 지하수 이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하천과 강수량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관측정의 지하수위가 일정한 패턴의 연변화를 보인다 (Figs. 4∼6). 시설농업의 발달로 시설내 동절기 보온 및 하절기 과도한 고온 방지를 위한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재배율이 85.9%로 높으며 (Table 2), 주로 동절기 사용량이 집중되어 수막재배가 시작되는 11월에서 종료되는 3월까지 수위가 급격히 하강한다.

Table 2 Percentage of water curtain system area ratio in greenhouse cultivation areas

NGHHCI_2022_v64n6_13_t0002.png 이미지

강변의 특성상 이용량이 줄어들면 수위회복도 빠르며 충적관측정의 경우 수위가 더 빠르게 회복된다. 강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지하수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른 변화양상을 보인다. 강변에 위치하고 수막재배를 하지만 강과 이격거리가 먼 관측정의 경우 수위의 연변화는 보이나 일변화가 크지 않다. 반면 강과 가까운 수막재배를 하는 지역의 관측정의 경우 계절 변화는 유사하나 일변화가 더 잘 관측된다. 강변에 위치하나 수막재배 밀집 지역이 아닌 지역의 관측정은 수막재배 밀집지역의 관측정보다 완만한 수위 변화를 보인다. 또한, 강변이라 하더라도 농지가 밀집되지 않은 지역으로 지하수의 사용량이 적은 지역에 있는 관측정의 경우 수위의 연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1) 강과 가까운 관측정의 수위 변화

시설재배지역의 지하수위는 대체로 강과 가까워 지형고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동절기 수막재배용 지하수의 양수로 인해 수위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지하수위는 해수면고도 기준이며 해수면과 같을 때 0, 해수면 보다 아래는 음의 값, 해수면보다 높을때에는 양의 값으로 나타낸다. 연구지역인 밀양지역의 시설재배지역의 경우 평균 지하수위가 평균 14.6 m, 최저지점인 MYM-5의 경우 고도가 2 m이고 지하수의 자연수위가 평균 0 m이며, 주변의 이용량이 많은 시기인 동절기에는 해발고도 아래 38 m (-38 m로 표기)까지 하락하는 수위변동 폭이 아주 큰 지역이다. 밀양강과 184 m 떨어진 MYM-002는 최저 -3.95 m에서 최고 9 m로 최고수위 변화폭이 12.95 m, 같은 위치에 있는 암반관측정인 MYM-003은 최저 -14.98 m에서 최고 4.69 m로 최대 수위 변화폭이 19.67 m로 거의 두 배의 차이를 보인다. 이는 강변 충적지하수는 타 지형과 비교해 하천에 가까워 충적층 지하수가 풍부하고 큰 투수계수의 영향으로 강의 영향을 받아 빠른 수위 회복을 보여 상대적으로 수위 하락이 크지 않으며, 암반 관측정의 경우 더 낮은 투수계수의 영향으로 양수에 의한 수위하락 후 충적관측정보다 회복이 느린 것으로 판단된다.

MYM-002, 003 관측정이 있는 상남면 기산리 인근의 예림리의 경우 수막재배 밀도가 아주 높은 곳으로 지질조사 결과 지표하 6∼8 m까지 토사층, 실트질점토층, 모래층, 모래자갈층이 존재하는데 실트질점토의 투수계수가 1.6×10-4 cm/s, 모래층이 5.5×10-3 cm/s, 모래자갈층이 1.0×10-2 cm/s이고 6∼8 m 하부는 완전 누수로 투수계수가 매우 큰 곳이다(KRC, 2014).

MYM-002와 MYM-003 관측정과 비교해 훨씬 유량이 큰 낙동강변에 위치한 MYM-008, MYM-009 관측정 (낙동강과 이격거리 370 m)의 경우 충적관측정과 암반관측정의 수위 변화가 거의 유사한 연변화를 보이고 수위 변동 또한 유사하며(MYM-008은 -0.96 m∼4.92 m, 009는 -3.49 m∼2.75 m) 수위 하락과 회복의 시간 차이도 크지 않다. 그러나 2017년 이후 암반관측정의 수위 하락이 빨라지고 회복 자연수위 또한 낮아진다. 두 관측정 모두 수막재배가 증가하는 11월에 지하수위가 하강하기 시작하여 기온이 상승하여 수막재배가 종료되는 3∼4월에 회복하는 반복적인 패턴의 연변화는 비슷하나 수위 하락 폭에서 차이를 보인다. MYM-008의 경우 2017년 11월 이후 일변화폭이 미세하게 증가하나 2017년 7월 말부터 2018년 2월 20일까지의 약 4 m 비정기적인 증가는 대부분 센서와 통신이상으로 판단된다 (Fig. 4).

NGHHCI_2022_v64n6_13_f0004.png 이미지

Fig. 4 Groundwater level changes of alluvial (MYM-002, 008) and bedrock (MYM-003, 009) aquifer wells located close to river​​​​​​​

2) 강과 이격거리가 있고 수막재배 밀집도가 높은 관측정의 수위변화

강과 이격거리가 있으나 수막재배 밀집도가 높은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는MYM-004 (밀양강과 이격거리 430 m)의 경우 최저 -15.0 m에서 최고 1.99 m로 16.99 m의 수위하락 폭을, MYM-011 (밀양강과 이격거리 2,700 m)의 경우 최저 -9.95 m에서 최고 1.49 m로 11.44 m의 수위하락 폭을 보였다. 이는 시설재배 밀집지역의 특성인 동절기 수막재배기간 동안 지하수위가 큰폭으로 하락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투수계수가 큰 MYM-004는 수막재배 종료 후 빠른 수위회복을 보이는 반면, 투수계수가 작은 MYM-011의 경우 자연수위까지 회복이 느린 특성을 보였다 (Fig. 5). 이는 강과 가까이 있어 회복이 빠른 관측정과는 달리 관측정 주변의 투수계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이다.

NGHHCI_2022_v64n6_13_f0005.png 이미지

Fig. 5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a high-density greenhouse complex located far from the river​​​​​​​

3) 강과 이격거리가 있고 수막재배 밀집도가 낮은 관측정의 수위변화

강과 이격거리가 있으나 수막재배 밀집도가 낮은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는 수막재배 밀도가 낮아 수막용수 사용량이 많지 않아 대체로 수위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MYM-010 (낙동강과 이격거리 4,300 m)의 경우 수막재배 밀집도가 낮은 평지에 있으나 강변관측정과 유사한 지하수위의 연변화를 보여 평지와 강변의 두 특성을 함께 보이고 수막재배 밀집도가 크지 않아 2018년을 제외하고는 수위변화 폭이 약 10 m로 크지 않다. MYM-017 (낙동강과 이격거리 1,600m)의 경우 강과의 거리가 멀고 수막재배 밀집도는 낮으나 높은 투수계수로 인해 상대적으로 수위하락 폭이 크지만 (최저 -12.88 m∼최고 5.37 m), 강과의 거리가 멀어 지하수로의 충전이 느려 수위 회복이 느리다 (Fig. 6).

NGHHCI_2022_v64n6_13_f0006.png 이미지

Fig. 6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a low-density greenhouse complex located far from the river​​​​​​​

나. 일반농업지역

일반농업지역의 지하수 관측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관측정의 위치와 고도에 따라 평지지역과 산악지역으로 분류하였다.

1) 평지지역

평지지역 관측정의 지하수위는 최저 -25.06 m, 최고 48.36 m이며, 대부분 일정한 연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소규모 하천 인근과 소규모 시설재배지역 인근의 관측정 (MYM-010, 030, 031)은 동절기에 수위가 하강하는 연변화와 일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Fig. 7).

NGHHCI_2022_v64n6_13_f0007.png 이미지

Fig. 7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plain area​​​​​​​

MYM-001의 경우 센서오류 및 교정오류로 추정되는 2018년 1월부터 2019년 7월 초까지를 제외하면 평균 지하수위 15.64 m, 최저 14.63 m 최고 16.65 m로 평균 2.02 m의 변동폭으로 큰 수위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MYM-014의 경우도 관측 오류로 추정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평균수위는 9.7 m이다. 평지관측정의 전체 평균 지하수위 변동폭은 8.4 m로 강변관측정에 비해 큰 변위를 보이지 않는다.

2) 산악지역

산악지역의 지하수위 변화 관측 결과 강변보다 우연변동이 크다. 지형의 평균고도 182.2 m, 평균 지하수위가 178.0 m로 고도와 지하수위의 차이가 최소 2.8m, 최대 11.37m, 평균 4.1m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MYM-023, MYM-028은 미약한 연변화를 보이나 MYM-023의 경우 관측 초기 불안정한 수위변화를 제외하면 최저수위 53.63m, 최고수위 58.46m로 차이가 4.83m에 불과하며, MYM-028도 수위 변동폭이 4.23m에 그친다. MYM-021은 다른 관측정과 달리 일변화를 보이는데 인근 펜션단지와 주거지역의 지하수 이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나 그로 인한 수위하락도 4.42m로 변동폭이 크지않다. 산악관측정은 지하수위의 연변화가 평지나 강변의 관측정에 비해 크지 않으며 강변관측정과 같은 일정한 계절변화 등의 패턴을 잘 보이지 않는다 (Fig. 8).

NGHHCI_2022_v64n6_13_f0008.png 이미지

Fig. 8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mountain area​​​​​​​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단지의 수막용수 사용으로 인한 지하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낙동강 하류에 있는 경남 밀양지역의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별 지하수위 변화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시설재배단지는 수자원 확보가 용이한 강변에 주로 위치하고 있으며, 시설재배단지의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 변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지하수 관측공의 위치에 따라 지형별로 강변, 평지, 산악으로 분류하였다. 관측된 지하수 자료를 이용하여 유형별로 분류된 각각의 지하수위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밀양지역의 지하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변, 산악, 평지의 지형별 특성의 차이를 보인다. 강변지역은 투수계수가 크고 하천에 가까워 하천유량과 강수량의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아 수위가 일정 패턴의 연변화를 보인다. 강변의 경우 강과의 이격 거리와 지하수 사용 용도에 따라 지하수위의 변화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강변에 위치하고 수막재배를 하지만 이격거리가 먼 관측정의 경우 수위의 연변화는 보이나 일 변화가 크지 않다. 반면 강과 가까운 수막재배를 하는 지역의 관측정의 경우 계절변화는 유사하나 일변화가 더 잘 관측된다. 강변에 위치하나 수막재배 밀집 지역이 아닌 지역의 관측정은 수막재배 밀집지역의 관측정보다 완만한 수위 변화를 보인다. 또한, 강변이라 하더라도 시설농지가 밀집되지 않은 지역으로 지하수의 사용량이 적은 지역에 있는 관측정의 경우 수위의 연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평지지역의 경우 대부분 일정한 연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소규모 하천 인근과 소규모 시설재배지역 인근의 관측정은 동절기에 수위가 하강하는 연변화와 일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산악지역은 타 관측정과 비교해 수위는 큰 연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투수계수가 낮은 암반관측정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인다.

대규모 시설재배단지에서 동절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수막용수 공급을 위해 강변에 위치한 지하수의 집중적인 사용은 시설재배단지 일대의 지하수위를 낮추거나 수질오염을 가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설재배단지의 지하수 사용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하수 사용 특성에 맞는 지하수 관리대책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지하수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이 성과는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20R1F1A1048261).

References

  1. Chang, S. W., I. M. Chung, Y. C. Kim and S. H. Moon, 2016. Long-term groundwater budget analysis based on integrated hydrological model for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Case study of Cheongweo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3): 201-210. (in Korean). https://doi.org/10.14770/jgsk.2016.52.3.201
  2. Chang, S., and I. Chung, 2015. An Analysis of groundwater budget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6): 1259-1267. (in Korean). https://doi.org/10.12652/Ksce.2015.35.6.1259
  3. KIGAM, 2010.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GP2009-009-01-2010(2), 347p (in Korean).
  4. Kim H. J., S. Y. Lee, J. H. Lee, E. Bak, H. Jeon, M. H. Cho, I. H. Yu, H. R. Rhu, K. D. Kim, and J. S. Park, 2007. Technology for vinyl house water curtain cultivat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88p (in Korean).
  5. Kim, B. R, S. H. Chae, 2016. Policy directions for controlled horticulture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sitory 225 (in Korean).
  6. Kim, G. B., E. J. Cha, H. G. Jeong, and K. H. Shin, 2013. Comparison of time series of alluvial groundwater levels before and after barrage construction on the lower Nakdong river.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 105-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9720/KSEG.2013.2.105
  7. Kim, J. S., 2016. A solution to the groundwater shortage, Artificial recharge, RRI Focus 56 Rural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8. Koo, M. H., T. K. Kim, S. S. Kim, S. R. Chung, I. O. Kang, C. J. Lee, and Y. Kim, 2013.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using the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Effect of stream-aquifer interaction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8(5): 65-76. (in Korean). https://doi.org/10.7857/JSGE.2013.18.5.065
  9. KRC, 2014. Report on the geologic logging for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in Miryang-deul, Gyeongnam, Korea.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0-2017. Facility vegetables greenhouse status and vegetable production (in Korean).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C). 2015. Facility agricultural complex survey report (in Korean).
  12. Miryang, 2019. Report on the observation network of supplementary wells, Gyeongnam, Korea (in Korean).
  13. Miryang, 2020. Report on the additive installment of monitoring wells and detailed inspection, Gyeongnam, Korea (in Korean).
  14. Moon, S. H., K. Ha, Y. Kim, P. Yoon, 2012. Analysis of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s: Case study of the Cheongweon and Chungju area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4): 387-398. (in Korean). https://doi.org/10.9720/KSEG.2012.4.387
  15. Moon, S. H., Y. C. Kim, and J. Hwang, 2015. Water quality in a drainage system discharging groundwater from Sangdae-ri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 near Musimcheon stream, Cheongju,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 Geology 48(5): 409-420. (in Korean). https://doi.org/10.9719/EEG.2015.48.5.409
  16.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2018. https://www.gims.go.kr/ (in Korean).
  17. Wei, W. W. S., 1990. Time series analysi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p. 478.
  18. Yi, M. J., J. Y. Lee, G. B. Kim, and J. H. Won, 2005. Analysis of abnormal values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0(1): 65-74. (in Korean).
  19. Yoon, H., E. Park, E., G. B. Kim, K. Ha, P. Yoon, and S. H. Lee, 2015. A method to filter out the effect of river stage fluctuations using time series model for forecasting groundwater level and its application to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20(3): 74-82. (in Korean). https://doi.org/10.7857/JSGE.2015.20.3.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