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영상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광학(EO)위성과 달리 날씨, 주/야간 관계없이 영상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기존의 영상레이다 위성은 중/대형 위성 중심으로 해외의 TerraSAR-X, Sentinel 1A/B, PAZ 등이 운용중이며, 우리나라는 다목적실용위성을 운영하고 있다.[1] 이러한 중/대형 위성 중심의 영상레이다 위성은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긴 수명을 보장하나, 개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중량 역시 1000kg ~ 2000kg으로 위성 발사 시 제약사항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초)소형 위성에 영상레이다를 탑재하여 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ICEYE, CAPELLA, UMBRA 등 100kg 내외의 (초)소형위성 영상레이다 등이 실제 운용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2][3][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소형 위성 영상레이다의 탑재를 목표로 영상레이다의 제어/저장 보드, 송/수신 보드 및 전원보드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소형/경량화하고, 영상레이다의 제어, 신호 생성 및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는 Backend 유닛의 설계, 제작 및 시험 결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Ⅱ. 본론
1. 주요 요구사항
Backend 유닛은 영상레이다를 ㅅ제어하고, 위성체와의 TM/TC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보유해야 한다. 또한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광대역 X-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에서 저잡음 증폭되어 입력 되는 신호를 수신, 주파수 변환하여 디지털변환 및 전처리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저장 된 수신데이터를 데이터링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고속의 통신 방식 구현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한 주요 요구사항은 표1.과 같다.
표 1. Backend 유닛의 주요 요구사항
Table 1. Backend design requirrements
2. 제어/저장보드 설계 고려사항
Backend 유닛의 제어/저장 모듈은 소형/경량을 고려하고, 광대역 신호의 생성 및 수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ADC 및 DAC가 집적화 되어 있는 RFSoC를 적용하여 설계 하였다. RFSoC를 위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주 방사선에 대한 내성확인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표2. 와 같은 조건에서 양성자를 이용한 우주 방사선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RFSoC는 저궤도에서 SEL(Single Event Latch-up)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으며, 시험 간 SEU(Single Event Upset)은 충분히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4] Backend에 적용한 제어/저장보드는 SEU에 대한 회피 방법으로 TMR(Triple Modular Redundancy), EDAC(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등을 적용하도록 설계하였다.
표 2. SEU 및 SEL 시험을 위한 양성자 에너지
Table 2. Proton energies and fluence for SEU ans SEL testing
3. 송/수신보드 설계 고려사항
송수신보드는 제어/저장보드에서 입력되는 광대역신호를 X-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하고,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X-대역 신호를 IF대역으로 하향 변환하여 제어/저장보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레이다의 기준 신호(10MHz)를 생성하고, ADC/DAC에서 필요로 하는 클럭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Backend 송수신보드의 주요 인터페이스는 아래 그림1과 같다.
그림 1. 송수신보드 인터페이스
Fig. 1. TRX Board interface
4. 열/구조 설계 고려사항
Backend 유닛의 열 해석은 진공조건에서 운용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Backend 유닛은 소형/경량화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에 고 발열 소자들이 집적화 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열적 안정성 확인은 필수적이다. 열 해석은 해석 장비 6SigmaET를 이용하였으며, 진공 및 주변온도 60℃조건에서 Steady state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적용한 Backend 유닛의 형상은 아래 그림2와 같으며 사이즈는 140mm x 120mm x 260mm(WxHxD)이고, 측정 무게는 약 5.5kg이다.
그림 2. Backend 유닛 형상
Fig. 2. Backend unit configuration
그림 3과 같이 열 해석을 통해서 일부 LDO에서 De-rating junction temperature가 규격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위성 적용 시 LDO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분산하여 문제점을 개선시킬 예정이다.
그림 3. Backend 유닛 열 해석 결과
Fig. 3. Backend unit thermal analysis results
Ⅲ. 제작 및 시험 결과
Backend 유닛의 주요 구성보드의 제작 형상은 아래 그림4와 같으며, QM급 주파수합성기 제작결과를 활용하였다.[5]
그림 4. Backend 주요 구성보드 형상
Fig. 4. Assembled backend boards
Backend 유닛의 제작 전 주요 소자인 RFSoC에 대해서 아래 그림 5와 같이 방사선 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사선 시험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양성자연구소 시설을 활용하였다. 시험에 적용한 방사선 시험 조건은 표 3과 같다.
표 3. SEU 및 SEL 시험을 위한 양성자 에너지
Table 3. Proton energies and fluence for SEU ans SEL testing
그림 5. RFSoC 양성자 빔 조사 시험 셋업
Fig. 5. RFSoC board proton radiation test setup
양성자 시험을 통해서 앞서 보고된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SEL발생하지 않았으며, SEU는 SEE 회피 로직으로 적용한 TMR, Scrubbing 및 EDAC를 통해서 회피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제어/저장보드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대역 신호의 생성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1.2GHz의 광대역신호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송/수신보드에서 ADC/DAC 클럭을 입력하고, 제어/저장보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데이터 획득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6과 같이 출력신호의 대역 내 평탄도는 9.6dB, IRF분석을 통한 해상도는 0.11m, PSLR은 –13.75dB, ISLR은 –10.45dB로 분석되었다.
그림 6. PD 수행 전 DAC 출력 결과
Fig. 6. RFSoC DAC output result before PD
그림 7. PD 수행 전 광대역 첩신호의 IRF 특성
Fig. 7. IRF performance of generated wideband chirp before PD
출력신호의 평탄도 및 IRF를 개선하기 위하여 PD(Pre-Distortion)을 수행하였으며, PD 적용 후 window 적용 없이 측정/분석 결과는 아래 그림8, 9와 같이 평탄도가 개선되고 PSLR은 –14dB, ISLR은 –10.9dB로 분석되었다.
그림 8. PD 수행 후 DAC 출력 결과
Fig. 8. RFSoC DAC ouotput results after PD
그림 9. PD 수행 후 광대역 첩 신호의 IRF 특성
Fig. 9. IRF performance of generated wideband chirp after PD
제어/저장보드에서 생성 된 신호는 송/수신 보드를 통해서 X-대역으로 주파수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며 CW신호를 대역내에서 Sweep한 측정결과는 아래 그림10과 같다.
그림 10. 송수신보드의 X-대역 평탄도 특성
Fig. 10. TRX Board X-band flatness
CW신호를 대역내에서 Sweep하여 수신보드로 입력 후 IF대역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측정결과는 아래 그림11과 같다.
그림 11. 송수신보드의 IF대역 평탄도 특성
Fig. 11. TRX board IF flatness
Ⅳ. 결론
본 논문에서는 (초)소형 위성 영상레이다의 제어/저장 및 송수신기 역할을 수행하는 Backend 모듈의 설계 고려사항 및 제작/시험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소형/경량화를 위하여 ADC/DAC가 집적화 되어 있는 RFSoC를 이용하였으며, (초)소형위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우주 부품을 대신하여 MIL/Industrial 급 부품을 적용하여 소형/경량화 하였다. 향후 본 논문에서 기술한 Backend 모듈을 적용하여 (초)소형 위성 영상레이다 제작에 적용할 예정이다.
References
- A. Moreira, P. Prats-Iraola, M. Younis, G. Krieger, I. Hajnsek and K. P. Papathanassiou, "A tutorial on synthetic aperture radar,"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Magazine, vol. 1, no. 1, pp. 6-43, March 2013. DOI: https://doi.org/10.1109/MGRS.2013.2248301.
- ICEYE. ICEYE Mission option : https://www.iceye.com/hubfs/_DATA_AND_MISSIONS/Missions_Brochure_ICEYE.pdf
- Capella Space. How space is bringing you closer to earth.: https://www.capellaspace.com/
- P. Davis, D. S. Lee, M. Learn and D. Thorpe, "Single-Event Characterization of the 16 nm FinFET Xilinx UltraScale+TM RFSoC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under Proton Irradiation," 2019 IEEE Radiation Effects Data Workshop, 2019, pp. 1-5, DOI: https://doi.org/10.1109/REDW.2019.8906566.
- D. Kim, H. Kim, J. Heo, and W.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Frequency Synthesizer Qualification Model Level for SAR payload,"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20, no. 3, pp. 9-14, Jun. 2020. DOI: https://doi.org/10.7236/JIIBC.2020.20.3.9
- Park, Jongmin, Dongsik Kim, Wansik Kim, and Jongpil Kim. "Operation Mode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Small Satellite SAR Payload."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9, no. 5 (October 31, 2019): 169-73.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9.19.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