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bout Gaya Architecture with House-Shaped Earthenware

집모양토기를 통한 가야 건축 연구

  • Han, Wook (Research Divis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욱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20.09.28
  • Accepted : 2021.01.31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Architectural evidence of Gaya is insignificant than any other area. In this situation, house-shaped earthenware is particularly helpful in the study of Gaya architecture. However, house-shaped earthenware is not a building, it has just the shape of buildings. So, we have to find out architectural evidence from that. In this paper, I tried to estimat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aya through house-shaped earthenware in detail. I also consulted historical records, archeological results, and other scholars' pap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e-shaped earthenwa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its shape, and each type has distinct architectur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Second, house-shaped earthenware generally has a gambrel roof, and the characteristic of architectural design with the gable side of the gambrel roof as a front is the biggest feature of Gaya architecture. Third, various types of buildings exist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Gaya architecture, and house-shaped earthenware was showed buildings of ancient storage, pens, and residences, which are symbols of the richness among various types of buildings.

가야 건축과 관련한 건축적 증거는 그 어떤 지역보다도 미미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야 건축을 연구하는 데에는 가형토기라고도 불리는 집모양토기가 특히 도움이 된다. 집모양토기는 사용 목적이 건축적이지는 않지만 그 모습이 건축물을 모방하였기 때문에 당시 건축의 모습을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러나 집모양토기가 건축물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본래 건축과는 상관없는 특별한 기능을 갖는 기물이므로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묘사보다는 본래의 기능에 맞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형태를 살펴 건축적인 부분과 아닌 부분을 구분해내고 건축적인 부분을 통해 건축물의 모습을 규명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집모양토기의 건축적 고찰을 통하여 가야의 건축적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시도해보았다. 여기에는 역사기록과 함께 특히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고고학적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모양토기는 그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유형은 각각 구별되는 건축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한국을 비롯한 동양 건축의 특징 중 하나인 지붕면을 정면으로 하는 것과 비교할 때, 집모양토기에 나타나는 맞배지붕의 박공면을 정면으로 하는 건축 의장적 특성은 가야 건축이 갖는 매우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부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가야 건축에서는 기능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이 존재하였으며, 집모양토기는 이들 가운데 풍요의 상징성을 갖는 고상 창고, 축사, 주택의 형태를 모방하여 제작된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遺事.
  2. 三國志.
  3. 晉書.
  4. 後漢書.
  5. 경남발전연구원, 2013, 김해 가야인 생활체험촌 조성부지 내 유적 II.
  6. 김민수, 2019, 4-5세기 경남지역 고상건물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상태, 2015, 가형토기를 통한 신라 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동북아문화연구 제45집, pp.129-149.
  8. 김상태, 2019, 집모양토기를 통한 삼국시대 주거건축 복원 기초연구, 영혼의 안식처 집모양토기, 정관박물관, pp.98-113.
  9. 김정기, 1977, 문헌으로 본 한국주택사, 동양학, pp.79-105. https://doi.org/10.17320/ORIENT.2012..52.79
  10. 김태중, 1998, 가야의 고상건축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부설 공업기술연구소 제15집 제2호, pp.647-654.
  11. 동북아역사재단, 2009, 후한서 외국전 역주 상.
  12.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0, 부산 고촌리 생산 유적.
  13.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6, 고속국도 제600호선 부산외곽순환 건설공사(10공구) 내 유적 시굴.정밀 발굴조사 약식 보고서.
  14. 삼강문화재연구원, 2009, 김해 관동리 삼국시대 진지.
  15. 신인주, 2001, 삼국시대 가형토기에 관한 연구, 문물연구 제5권, pp.93-133.
  16. 영남고고학회, 2009, 영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17. 위양근, 2016, 경남지역 가야시대 주거지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준희, 1999, 가야건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훈.강종원, 2001, 공주 장선리 토실 유적에 관한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제34호, pp.103-144.
  20. 장덕원, 2012, 삼국지 한조의 초옥토실에 대한 일고찰, 중앙고고학연구 제10호, pp.154-178.
  21. 정관박물관, 2019, 집모양토기.
  22. 주남철, 1976, 고문헌에 나타난 "開戶在上"과 "草屋土室"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지 20권 68호, pp.43-45.
  23. 한반도문화재연구원, 2019, 김해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결과 약보고서.
  24. 함순섭, 2008, 영남지방 삼한.삼국시대 살림집의 복원 연구, 동원학술논문집 제9집, pp.8-28.
  25. http://db.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26. https://media2.trover.com/T/5acaa5afed5bd1620901d6bc/fixedw.jpg.
  27.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1/%E5%BE%A1%E6%89%80%E9%87%8E%E9%81%BA%E8%B7%A1%E7%AB%AA%E7%A9%B4%E5%BC%8F%E4%BD%8F%E5%B1%85.JPG.
  28. https://www.tnm.jp/uploads/r_exhibition/exhibition/DEFAULT_419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