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cale Development of Healthy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

1인가구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
  • Park, Jeongyun (Dep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 Chin, Meej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eongshin Womenʼs University)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12.15
  • Accepted : 2021.01.22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Focusing on increasing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healthiness of lifestyle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oncept of healthiness of lifestyle is based on the theories of family strength and family ecology. We draw 50 items that encompass basic needs,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aspects of single-person life. Using a sample of 317 persons who live alone, this study examined a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and selected 44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criterion-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so examined. The final scale consists of four domains; basic needs (finance, housing, consumption, and future plan), work·life balance (time management, health, and stress), family rela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social network, social interest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scale can be used as an assessment measure of the healthiness of lifestyle of single persons who participate in programs in Healthy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s.

증가하는 1인가구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1인가구의 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가족생태학적 관점과 건강가족적 관점을 적용하여 1인가구의 건강성 개념을 규정하였다. 건강성 척도 구성을 위해 1인가구의 기초적인 요구, 개인 영역, 가족 영역, 사회 영역 등을 포함하는 50 항목을 검토하였다. 지역,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317명의 1인가구를 선정, 건강성 척도 항목을 검증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44항목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선정된 건강성 척도는 기본적인 요구(가계경제, 주거, 소비, 미래설계), 일생활 균형(시간사용, 건강, 스트레스), 가족관계, 사회참여(네트웤, 사회적 관심, 지역사회참여) 등 4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인가구의 건강성을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서울시동작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지원으로 수행한 '다양한 가족지원을 위한 생활진단척도(1인가구 생활진단척도) 연구'의 결과임.

References

  1. 강나연.정복미(2019).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영양소섭취, 식행동 및 식품섭취빈도에 대한 차이분석: 제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6) 자료 활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4(1), 1-17. https://doi.org/10.5720/kjcn.2019.24.1.1
  2. 권혁철.김형용(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4050세대 1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3. 김영주.조인숙(2020). 1인가구의 생활특성과 주거서비스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1(5), 1-24.
  4. 김윤영(2018). 1인가구 특성과 사회복지정책: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4(3), 1-30.
  5. 김지혜.윤지인(2020). 청년 1인가구의 여가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353-374.
  6.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0.
  7. 노혜진(2018).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8. 박승진.최혜라.최지혜.김건우.홍진표(2010), 한글판 우울증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6, 119-24.
  9. 변미리(2014). 서울특별시 1인가구 대책 정책연구. 서울연구원.
  10. 송혜림(2020a). 청년 1인가구의 여가생활 및 여가의 의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4), 21-37.
  11. 송혜림(2020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가구 프로그램.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1인가구 강사 콘텐츠교육자료집, 1-45.
  12. 송혜림.윤소영.고선강(2018). 서울지역 1인가구 현황 분석에 따른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위탁연구보고서.
  13.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14. 여성가족부(2012). 제2차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5.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6. 유영주.이인수.김순기.최희진(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 (KFSS-II)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13
  17. 유영주.이인수.김순기.홍성례.최희진(2009). 건강 가족의 이해. (주)교문사.
  18. 이성림.최일숙.김정훈(2020). 1인가구의 건강한 식생활 역량-식사행태와 식생활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4), 483-496. https://doi.org/10.6115/fer.2020.034
  19. 이수영.임미화(2020). 서울시 성별 1인 가구 분포 특성 분석. 주택연구, 28(4), 45-61.
  20. 장진희(2018). 서울거주 1인가구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서울여성가족재단.
  21.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김혜영.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정영금.강기정.박정윤.정지영.조성은(2008). 가족성장아카데미.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3. 정영금.송혜림.박정윤(2010).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위탁연구보고서.
  24.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4. 신정.
  25. 진미정.장미나.노신애(2019). 1인 가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실태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6. 최희진.유영주(2003).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5-28.
  27.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
  28. Cortina, J.(1993). What is coefficient alpha? An examin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98-104. https://doi.org/10.1037/0021-9010.78.1.98
  29. Lyubomisky, H. S. & Lepper,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https://doi.org/10.1023/A:1006824100041

Cited by

  1. Validity and Development of a Social Exclusion Scale (SE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vol.32, pp.4, 2021, https://doi.org/10.7856/kjcls.2021.32.4.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