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19S1A5B5A07090317)
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08). 학생체력평가제(PAPS) 확대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 강경진, 박기득, 이안수(2013). 학생건강체력 평가제(PAPS)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35-49.
- 조용인(2007). 학생체력검사제도의 변천과정과 학생체력 변화추이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상규, 박인성(2017). 초등학생의 평생 건강 관리를 위한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적 특성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2), 127-136.
- 천은영, 최형준, 이윤수(2016).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연도별 체력요인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133-1142.
- 한연오, 오자왕, 강준호(2009). 고등학생에 대한 학생건강체력평가 프로그램(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8(4), 111-122.
- 김미예, 김영욱, 조용인, 오수학(2008).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준거설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0(1), 59-68.
- 김일곤(2011). 신체활동증진시스템(PAPS)의 심폐지구력 유형별 평가기준의 차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563-1572.
- 최우영(2009).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종목선정에 따른 체력급수의 차이.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원(2010). 특수교육지원대상학생의 체력 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8(4), 1-16. https://doi.org/10.17006/KJAPA.2010.18.4.1
- 김경오, 김미예(2017). 초등학생 학생건강체력 평가(PAPS)의 심폐지구력 측정 종목 동등화.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5(3), 31-39. https://doi.org/10.24007/AJPESS.2017.5.3.004
- 박재범, 안주은, 문효열, 김유겸, 엄혜성(2017).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체력측정요소 간의 관계분석. 중등교육연구, 65(4), 809-827. https://doi.org/10.25152/SER.2017.65.4.809
- 이양구, 오수학(2009). 학생건강체력평가 프로그램(P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을 통한 비만도와 건강체력과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3), 247-256.
- 조기정, 고수민(2014). 유산소 운동이 비만아동의 신체조성과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197-203.
- 이미숙, 홍종선(2013). 건강체력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스포츠영재 선발방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4), 793-802.
- 신승환, 이병근, 우재홍, 박익렬, 김효중, 전태원(2011). 초등학생용 PAPS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96-105. https://doi.org/10.5392/JKCA.2011.11.9.096
- 김영석, 양정모, 이동호(2011).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4), 67-83.
- 송영미, 이종형, 정양희(2014). 초, 중,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PAPS 업무 개선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30, 87-102.
- 김기탁, 유도상(2010). 신체활동증진시스템(PAPS)이 초등학생의 스포츠관여도,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2), 191-201.
- 손미숙(2010). 학생체력평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재희, 송지환(2014). 학생건강체력평가 등급의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 태도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2), 67-79.
- Creswell, J. W.(2007).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 김수안(2014). 프로야구 선수의 탄력성 연구: 역경 극복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Guba, E. G., & Lincoln, Y. S.(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문호준, 김택천(2012).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에 대한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사례연구. 교육발전, 32, 1-14.
- 송영미, 이종형(2014).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운영 인식에 따른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28, 8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