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Problem o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학생건강체력시스템(PAPS)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21.09.17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implemen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The data of the study was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lated papers, and press relea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incumb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directly instruct and measure PAPS at school and 5 college students who directly experienced PA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PAPS were students' indifference, teachers' passive guidance, and decreased physical education hours replaced by PAPS measurement days. Second,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measurement environment of PAPS were errors due to measurement equipment, deviations due to different measurement locations, and differences in grades according to measurement items. Third, the problems that occur in the measurement process of PAPS are the lack of measurement personnel, the expedient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and the non-standardized measur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successfully apply PAP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attempted. Detail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inspire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in PAP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value of PAPS. Thir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school education system for PAPS measure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담, 관련논문, 그리고 인터넷 보도자료 등을 토대로 확보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현직 체육교사 5명과 PAPS를 직접 경험했던 5명의 대학생들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PS의 교육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학생들의 무관심, 교사들의 소극적인 지도, 그리고 PAPS 측정일로 대체되는 체육시간 감소 등이다. 둘째, PAPS의 측정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측정장비에 의한 오차, 측정장소에 따른 편차, 그리고 측정 종목에 따른 등급의 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PAPS의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측정인원의 부족, 편법에 의한 체력측정, 그리고 상이한 측정방법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PAPS를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PAPS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고취시켜야 한다. 둘째, PAPS의 측정결과 값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PAPS의 측정을 위한 학교교육시스템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19S1A5B5A07090317)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학생체력평가제(PAPS) 확대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 강경진, 박기득, 이안수(2013). 학생건강체력 평가제(PAPS)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35-49.
  3. 조용인(2007). 학생체력검사제도의 변천과정과 학생체력 변화추이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상규, 박인성(2017). 초등학생의 평생 건강 관리를 위한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적 특성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2), 127-136.
  5. 천은영, 최형준, 이윤수(2016).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연도별 체력요인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133-1142.
  6. 한연오, 오자왕, 강준호(2009). 고등학생에 대한 학생건강체력평가 프로그램(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8(4), 111-122.
  7. 김미예, 김영욱, 조용인, 오수학(2008).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준거설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0(1), 59-68.
  8. 김일곤(2011). 신체활동증진시스템(PAPS)의 심폐지구력 유형별 평가기준의 차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563-1572.
  9. 최우영(2009).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종목선정에 따른 체력급수의 차이.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재원(2010). 특수교육지원대상학생의 체력 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8(4), 1-16. https://doi.org/10.17006/KJAPA.2010.18.4.1
  11. 김경오, 김미예(2017). 초등학생 학생건강체력 평가(PAPS)의 심폐지구력 측정 종목 동등화.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5(3), 31-39. https://doi.org/10.24007/AJPESS.2017.5.3.004
  12. 박재범, 안주은, 문효열, 김유겸, 엄혜성(2017).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체력측정요소 간의 관계분석. 중등교육연구, 65(4), 809-827. https://doi.org/10.25152/SER.2017.65.4.809
  13. 이양구, 오수학(2009). 학생건강체력평가 프로그램(P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을 통한 비만도와 건강체력과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3), 247-256.
  14. 조기정, 고수민(2014). 유산소 운동이 비만아동의 신체조성과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197-203.
  15. 이미숙, 홍종선(2013). 건강체력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스포츠영재 선발방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4), 793-802.
  16. 신승환, 이병근, 우재홍, 박익렬, 김효중, 전태원(2011). 초등학생용 PAPS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96-105. https://doi.org/10.5392/JKCA.2011.11.9.096
  17. 김영석, 양정모, 이동호(2011).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4), 67-83.
  18. 송영미, 이종형, 정양희(2014). 초, 중,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PAPS 업무 개선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30, 87-102.
  19. 김기탁, 유도상(2010). 신체활동증진시스템(PAPS)이 초등학생의 스포츠관여도,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2), 191-201.
  20. 손미숙(2010). 학생체력평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1. 한재희, 송지환(2014). 학생건강체력평가 등급의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 태도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2), 67-79.
  22. Creswell, J. W.(2007).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23. 김수안(2014). 프로야구 선수의 탄력성 연구: 역경 극복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Guba, E. G., & Lincoln, Y. S.(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5. 문호준, 김택천(2012).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에 대한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사례연구. 교육발전, 32, 1-14.
  26. 송영미, 이종형(2014).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운영 인식에 따른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28, 8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