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영화 VOD 시청 건수 결정요인 : 코로나 19와 영화 시청의 관계를 중심으로

  • 홍진우 (클라우드사업본부, SK텔레콤) ;
  • 하지황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조지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21.11.19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policy and concerns about COVID-19 are increasing restrictions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decrease in outdoor leisure activities and the increase in indoor leisur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new confirmed cases of COVID-19 and the number of VOD views. This study conducted a time series analysis for 348 days from February 18, 2020 to January 31, 2021.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umber of daily VOD views provid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and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of COVID-19 provi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daily movie VOD views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confirmed cases of COVID-10, the more people watch movie VOD as indoor leisure activities. While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rmed cases of COVID-19 and indoor leisure activities in general, this study tried to academically contribute by analyzing the impact on specific indoor leisure activit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fficient promotions are possible based on significant social issu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promotions that respond quickly to changes are more effective than long-term promotions considering the climate or season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ly on PPV, but future research should also consider various billing forms such as PPM and SVOD.

COVID-19의 감염 우려와 함께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하여 실외 여가활동의 제약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실외 여가활동이 줄어들고 실내 여가활동이 증가하는 상황에 주목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의 신규 확진자 수가 영화 VOD 시청 건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20년 2월 18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지의 348일을 대상으로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데이터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실제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와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일일 확진자 수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확진자 수는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 확진자가 많은 날일수록 영화 VOD 시청건수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기존 연구들이 COVID-19의 확산과 전반적인 실내 여가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에 비해, 이 연구는 특정 실내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써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 한편, 이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염병 등 실내 여가생활이 강제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사회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프로모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기후나 계절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의 프로모션보다는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형태의 프로모션의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자료의 한계상 PPV만을 기준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향후에는 PPM, S-VOD 등 다양한 과금 형태를 고려하여 정교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WHO(2020). Coronavirus disease (COVID-19) advice for the public.
  2.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289-297.
  3. 이기언, 최성광(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3): 171-182.
  4. 보건복지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정부대책회의 브리핑(2월 23일). 보건복지부.
  5. 박광호, 이승연, 김진원(2020). 대학생들의 대학생들의 COVID-19 전후 여가변화와 여가동기 및 건강신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69-96.
  6. 윤지인, 한진욱, 이지원(2021). 야외 여가활동 참여자의 코로나 관련 위험인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1): 89-101.
  7. 하나금융경영연구소(2020). 코로나19가 가져 온 소비행태의 변화.
  8. Crawford, D.W., & Godbey, G.(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3): 119-127.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51
  9. 사혜지, 이원상, 이봉규(2021).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2(2): 109-121. https://doi.org/10.7472/JKSII.2021.22.2.109
  10. 이윤정(2020). 코로나 팬데믹 하에서 진지성 여가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10(4): 17-28.
  11. 주진영, 이세경, 원형중(2021). COVID-19(코로나) 발생 전후로 나타난 청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감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5(2): 87-99.
  12.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 19와 여가제약: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60(1): 287-400.
  13.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 Environ. Res, 58(3): 447-461. https://doi.org/10.6115/fer.2020.032
  14. 한상겸(2021). 코로나19 시대 여가활동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관광진흥학회, 9(1): 117-134.
  15. 이현영, 김남조(2017). 미세먼지 위험지각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1(7): 27-44.
  16. 김경식, 이연주, 한승진, 한승백(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가트렌드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25-41.
  17. 이유진, 김태환, 황선환(2021).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여가소비 분석: Pre-Corona vs. With-Corona.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45(2): 21-36.
  18. 이용관(2012). 날씨가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60(4): 75-101.
  19. 이섬균(2018). 날씨, 대기오염이 프로스포츠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정형, 김영재, 차은주(2015). 여가활동과 기상.기후간의 관계분석. 여가학연구, 13(4): 25-38. https://doi.org/10.22879/SLOS.2015.13.4.25
  21. 박문호(2019). 공공 디지털 정보의 융합 : 미세먼지 농도와 IPTV VOD 시청량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미숙(2015). 여성경제연구: 미세먼지 농도가 경제활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12(1): 75-100.
  23. An, R., & Xiang, X.(2015).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inactivity among US adults. Public Health, 129: 1637-1644. https://doi.org/10.1016/j.puhe.2015.07.017
  24. 엄영숙, 오형나(2019). 미세먼지 건강 위험과 회피행동 : 야외여가활동 수요 감소를 사례로. 경제학연구, 67(2): 39-70. https://doi.org/10.22841/KJES.2019.67.2.002
  25. 김연형, 홍정한(2011). 영화흥행결정 요인과 흥행성과 예측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8(6): 859-869
  26. Litman, B. R.(1983).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16(4): 159-175.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
  27. 김미현, 김수은, 최영준(2010).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영화연구, 46(1): 31-56.
  28. 임성준, 강정헌(2006). 인터넷 VOD 극장에서의 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9(1): 53-76.
  29. 강철원(2009). IPTV VOD 영화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융(2018). 영화 흥행 결정 요인이 유료방송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31. 김의재, 강현욱(2021). 한국 직장인의 여가활동 트렌드 변화.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1-11.
  32. 통계청(2020). 한국의 사회동향 2020.
  33.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0). 코로나19가 방송, 미디어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34. KBS공영미디어연구소(2020). 코로나19: 2차 국민인식 조사결과. KBS.
  35.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36. 김민영(2020).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의 정도가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김휴종(1998). 한국 영화스타의 스타파워 분석. 문화경제연구, 1(1): 165-200.
  38. 김기진, 최성희(2018). TV VOD 수요 분석: 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1(3): 59-88.
  39. 이건엽, 조지형, 조신(2019). IPTV VOD 서비스 가격지수 산정 및 수요함수 추정. 정보통신정책연구, 26(2): 59-94.
  40. 문화체육관광부(2020b). 코로나19 일상관련 거대자료(BigData) 분석.
  41. 환경부(2021).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19㎍/m3, 관측 이래 최저(1월 4일). 환경부.
  42. 김영욱, 이현승, 이혜진, 장유진(2016).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와 커뮤니케이션 단서 탐색. 한국언론학회, 12(1): 53-117.
  43. 김형만(2009). 인터넷기반 VDO 창구에서의 유료 영화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질병관리청(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12월 31일). 질병관리청.
  45. 영화진흥위원회(2020). 코로나19 충격: 2020년 한국영화산업 가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