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Person] Neologisms According to Sociocultural Aspects :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Meaningful Aspect of the 'OOjok(family)' line Neologisms in the 2010s

사회문화적 양상에 따른 한중 [+사람] 신어의 비교 연구 - 2010년대의 'OO족(族)'계열 신어의 구조적과 의미 양상을 중심으로 -

  • Meng, Xiang-Sha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 맹상삼 (공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1.09.18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earance patterns of the 'OOjok(family)' line, which is commonly used to abbreviate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from 2010 to 2019,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Meaningfu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OOjok(family)' line Neologisms. In terms of appearance, the Korean Neologisms of the 'OOjok' was constantly created for 10 years, and the Chinese Neologisms of the 'OOfamily' was not formed in 2017 but reappeared in small quantities in 2018 and 2019.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of the 'OOjok(family)' show differences in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most actively formed compound, the preceding elements of the Korean 'OOjok' Neologisms showed various etymological elements and types. However, the Chinese Neologisms produced by 'OOfamily' showed a limited linguistic aspect due to the active compound of native languages. Derivative also showed these differences. By Classifying 'OOjok(family)' line in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as meaningful qualities,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both of them were found to have accepted colorful culture and phenomenon in various areas, and new expression meanings as their precedence element. These diverse cultures appear to have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new language.

본 연구는 한·중 [+사람] 신어를 조어하는 데에 공통으로 사용된 'OO족(族)' 계열 신어를 대상으로 하여 2010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출현 양상을 살펴보고, 'OO족(族)' 계열 신어의 구조적과 의미 양상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출현 양상에 있어서 'OO족'의 한국 신어는 10년 간에 꾸준히 생성되었고, 'OO족(族)'의 중국 신어는 2017년에 형성되지 않았다가 2018년과 2019년에 적은 양으로 다시 나타났다. 'OO족(族)' 계열 신어는 구조적 특징에 차이점이 보인다. 가장 활발히 형성된 합성의 경우 한국 'OO족' 신어의 선행요소는 다양한 어원의 요소와 결합 유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OO족(族)'으로 생성된 중국 신어는 고유어 합성만이 활발하여 제한된 조어 양상을 보여 주었다. 파생도 이러한 차이점을 나타냈다. 한·중 'OO족(族)' 계열 신어의 의미 자질로 분류하고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은 보여주는 특성이 다르지만, 모두 다양한 영역의 문화와 현상, 그리고 새로운 표현 의미들을 선행요소로 수용한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다양함이 신어 생성에서 작용하여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근(2012). [X-남], [X-녀]류 통신언어의 어휘 형성과 사회적 가치 해석. 사회언어학, 20(1): 27-56.
  2. 김정아, 김예니, 이수진(2013). 신어의 [+사람] 어휘의 형태.의미적 특성: 2002, 2003, 2004, 2005, 2012년 신어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58(58): 51-76.
  3. 강희숙(2015).'사람' 관련 신어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 한국언어문학, 95(95): 7-28.
  4. 박선옥(2019). [+사람] 신어의 생성 추이와 단어의 형태적 특징 연구: 2015년, 2016년, 2017년 신어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77(77): 291-318.
  5. 박선옥(2019). 2015-2017 [+사람] 신어의 사회 문화적 의미 연구 사람의 성향과 가치 외모와 패션 요리와음식 결혼과육아 교육 정치와 행정 제도분야. 문화와 융합, 41(4): 977-1008.
  6. 이진성(2017). 신어에 반영된 사회문화상과 변화의 양상. 사회언어학, 25(4): 87-117.
  7. 정성미(2020). [X-족] 신어에 투영된 2010년대 우리의 삶. 인문언어, 22(2): 339-374.
  8. 최한(2011). 중국어 신조어와 현대 중국 사회. 영남대학교출판부.
  9. 차이쮄(2013). 한중 신조어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채춘옥(2017). 중국어'-族'류 신조어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中國人文科學, 65: 175-201.
  11. 푸량(2020). 중국어 신어의 단어 형성과 사회 문화적 특징: 2017.2018년 신어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95: 253-280
  12. 맹상삼, 이광호(2020). 대중문화 콘텐츠 변화에 따른 한중 신조어 비교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125-137.
  13. 문금현(1999). 현대국어 신어의 유형분류 및 생성원리. 국어학, 33: 295-325.
  14. 이광호(2015). 국어 어휘와 의미. 박문사.
  15. 맹상삼, 이광호(2019). 문화 콘텐츠 영향의 신조 중국어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131-142.
  16. 강신항(1991). 현대 국어 어휘 사용의 양상. 태학사.
  17. 박선옥(2019). [+사람] 신어의 생성 추이와 단어의 형태적 특징 연구: 2015년, 2016년, 2017년 신어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77(77): 291-318.
  18. 국립국어원(2020). 신어 보고서. 국립국어원.
  19. 국립국어원(2011, 2013, 2014, 2015, 2017, 2019, 2020). 신어 보고서. 국립국어원.
  20. 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2011-2020). 汉语新词语. 商务印书馆.
  21. 정성미(2020). [X-족], [X-남], [X-녀] 신어의 형태.의미적 연구. 語文論集, 84: 147-188.
  22. 胡 峰(2009). 淺析現代漢語類詞綴. 綏化學院學報, 5: 128-129.
  23. 국립국어원(2008).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4. 李光宇(2010). 现代汉语表人名词类词缀浅析. 安徽文学(下半月), 9: 227.
  25. 국립국어원(2019). 2018 신어 보고서. 국립국어원.
  26. 권교현, 박종천, 전병민(2011). 모바일 영상에서 에지-기반 방법을 이용한 한글 문자 영역 검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199-202.
  27. 박종호(2018). 대학생들의 대중매체를 통한 언어 사용과 개선방안-신조어, 비속어, 은어 사용의 인식과 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275-283.
  28. 王佳(2019). 浅析网络流行语 "XX系". 现代语文, 8: 9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