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tudent Support on Burnout of High School Teachers

학생지지가 고등학교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Hwan (Executive Office of Corporate, The Board of Daejin University)
  • 김영환 (학교법인대진대학교 법인사무국)
  • Received : 2021.07.22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student support directly affects on the burnout of reduction of high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are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A total of 353 people were surveyed and the final 352 people were confirmed as analysis units, except for one untrustworthy respon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16.0,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student support on the burnout of high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to a reconstruct survey with significant factor as an embodying the concept and measurement tools of student suppor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support has been shown to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 sub-variant of burnout. Second, student support has been shown to reduce depersonalization. Third, student support has been shown to reduce a sense of personal achie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by using the student's support for social support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high school teachers even there were no previous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지지가 고등학교 교사의 소진 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부산지역 고등학교 교사이다. 총3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불성실한 응답 1명을 제외하고 최종 352명을 분석단위로 확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0과 AMOS 1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생지지가 고등학교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정립되지 않은 핵심변수인 학생지지의 개념과 측정도구를 구체화하고 새롭게 재구성한 설문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지지는 소진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고갈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지지는 소진의 하위변인인 비인간화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지지는 소진의 하위변인인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없었음에도 고등학교 교사의 소진을 감소하고자 사회적 지지 중 교사에 대한 학생의 지지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Maslach, C., & Jackson, S. 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2. 이정현(2013).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측정을 위한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 연구. 20(2), 41-58.
  3. Corey, G.(1998).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4th ed).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Asia.
  4. 신필순(1999).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민경란(2001).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은아(2016).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Cunningham, W. G.(1983). Teacher burnout-solution for the 1908s: Areview of the literature, The Urban Review, 15(1): 37-51. https://doi.org/10.1007/BF01112341
  8. Schwab, R. l., Jackson, S. E., & Schulet, R. S.(1986). Educator burnout: Sources and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10(3): p. 14.
  9. Peck Richmond, V., Wrench, J. S., & Gorham, J.(2009). Communication, affect, & learning in the classroom.
  10. 강진아(201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한국교육신문(2018). 학생의 교사 성희롱 2배 급증. http://www.hangyo.com/news.
  12.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13. Van derDoef, M., & Maes. S.(1999).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20 years empirical research. Work & Stress, 13(2): 87-114. https://doi.org/10.1080/026783799296084
  14. Kokkinos, M.(2007). Job stressors, personality and burnout in primary school teach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1): 229-243. https://doi.org/10.1348/000709905X90344
  15. Berryhill, J., Linney, J. A., & Fromewick, J.(2009). The effects of education accountability on teachers: are policies too stress-provoking for their own g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Policy and Leadership, 4(5): 1-14.
  16. Pietarinen, J., Pyhalto, K., Soini, T., & Salmela-Aro, K.(2013). Reducing teacher burnout: A socio-contextual approac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5: 62-72. https://doi.org/10.1016/j.tate.2013.05.003
  17. 김상효, 엄준용(2014).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내외 통제성,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0(2), 215-249.
  18. 조성자, 문수백, 민아영(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19. 황명선, 신효정(2015).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 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1), 87-109.
  20. 김현지, 박찬수, 이정희(2010).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실천유아교육. 15, 1-22.
  21. Maslsch, C. & Leiter, M. P.(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San. Francisco: Jossey- Bass.
  22. Gagne, M. & Deci. E. L.(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 Behavior. 26(4): 331-362. https://doi.org/10.1002/job.322
  23. Grayson, J. L. & Alvarez, H. K.(2008). School climate fa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A mediator mod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5): 1349-1363. https://doi.org/10.1016/j.tate.2007.06.005
  24. 서은주, 김장회(2015). 초.중등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경험 및 기대에 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23-43.
  25. 황명선(2015).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Freudenberger, H. J.(1974). Staff burn 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27. Farber, B. A.(1984). Stress and burnout in suburban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7(6): 325-331. https://doi.org/10.1080/00220671.1984.10885550
  28. Blase, J. J.(1982). A Social Psychological Grounded Theory of Teacher Stress and Burnout. Education Administration Quarterly, 14(4): 251-286.
  29. Holland, R. P.(1982). Special educator burnout. Educational Horizons, 60: 58-64.
  30. Friedman, I. A.(2000).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erform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5): 595-606. https://doi.org/10.1002/(SICI)1097-4679(200005)56:5<595::AID-JCLP2>3.0.CO;2-Q
  31.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32. 이영만(2012). 초등학교 여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5(1), 191-214.
  33. 유인지, 홍성두, 고혜정(2016). 특수학급 교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화. 한국초등교육, 27(4), 509-526.
  34. Emery. D. W., & Vandenberg, B.(2010).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nd ACT.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5(3): 119-131.
  35. Maslach, C.(1982). Understanding burnout: Definitional issues in analyzing a complex phenomenon. Job stress and burnout, 29-40.
  36. Belacastro.(1982). Teacher's burnout levels in terms of some Variable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3): 1823-1830.
  37. 박순진(2008). 개인의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초등학교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김소라(2011). 특수교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김영환(2021). 학생지지가 고등학교 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7(1), 179-200.
  40. Russell, D. W., Altmaier, E., & Van Velzen, D.(1987). Job-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lassroom teach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2): 269-274. https://doi.org/10.1037/0021-9010.72.2.269
  41. Pietarinen, J., Pyhalto, K., Soini, T., & Salmela-Aro, K.(2013). Reducing teacher burnout: A socio-contextual approac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5: 62-72. https://doi.org/10.1016/j.tate.2013.05.003
  42. Fimian, M. J., & Blanton, L. P.(1987). Stress, burnout, and role problems among teacher trainees and first-year teacher.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8(2): 157-165. https://doi.org/10.1002/job.4030080206
  43. Dworkin, A. G.(1987). Teacher Burnout in the Public School: Structual Causes and Consequences for Children. Albany: State University of York.
  44. Mc Leskey, J., Tyler, N. C., & Flippin, S.(2004).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review of research regarding the chronic shor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8(1): 5-21. https://doi.org/10.1177/00224669040380010201
  45. Otto, S. J., & Arnold, M.(2005). A study of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dministrative support. College Student Journal, 39(2): 253-259.
  46. Pazin, J. S.(2001). The effects of burnout on doctoral counseling students in cacrep accredited universiti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 Social Sciences, 6(9-A): 3476.
  47. Feldman, W. C., et al.(2002). Global distribution of neutrons from mars: Results from mars odyssey. Science, 297: 75-78. https://doi.org/10.1126/science.1073541
  48. Ross, R. R., Altmaier, E. M., & Russell, D. W.(1989).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3): 464-470. https://doi.org/10.1037/0022-0167.36.4.464
  49. 류현미(2003). 성격유형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탈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김혜경(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서석림(1995).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2. 서선순(2007).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유정이(2002). 교육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5(2), 315-328.
  54. 장기보(2003). 간호장교의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 지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혜윤, 정남희(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56. 김미연(2009). 특수학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의 역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오혜정(2014).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비교. 특수교육, 13(1), 273-295.
  58. 손혜진(2010).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임미영(2012).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Fridman, I. A.(1995). Student behavior patterns contributing to teacher burnou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8(5): 281-289. https://doi.org/10.1080/00220671.1995.9941312
  61. Hastings, R. P., & Bham, M. S.(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behaviour patterns and teacher burnout.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4(1): 115-127. https://doi.org/10.1177/0143034303024001905
  62. 서형기(2018). 학교장의 배려와 초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심리적 소진 완화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3. 최지은(2017).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Schwab, R. L. & Iwanicki, E. F.(1982). Perceive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teacher burno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18(1): 60-74. https://doi.org/10.1177/0013161X82018001005
  65. 이오례(2018). 영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민감성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배영선, 김자경, 김주영(2008).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의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 17(2), 115-124.
  67. 유성경, 박성호(2002). 상담 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 및 심리치료학회, 14(2), pp. 389-400.
  68.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E. Mutkins, R. F. Brown, & E. B. Thorsteinsson.(2011). Stress, depression,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and burnout in intellectual disability support staff.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5(5): 500-510. https://doi.org/10.1111/j.1365-2788.2011.01406.x
  70. Cody, M. J., Canary, D. J., & Smith, S. W.(1990). Compliance-gaining goals and episodes. Communicating Strategicall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71. 박주현(2015).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Bataineh, O. & Alsagheer, A;(2012). An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2): 5-13.
  73. Schaufeli, W. B., Leiter, M. P., & Maslach, C.(2009). Burnout: 35 years of research and practice.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4(3): 204-220. https://doi.org/10.1108/13620430910966406
  74. 박경애, 조현주(2008).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 자아존중감 및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61-279.
  75. 한국교육신문(2014.3.3.). 일본, 프랑스, 독일, 영국의 교사 스트레스 대처 관련 종합.
  76. 권동택(2008). 초등학교 교사소진과 학교조직 관련 변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논단, 7(2), pp. 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