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yber Forces Development in the Korean military through Changes in Germany's Cyber Warfare Response Policy

독일의 사이버전 대응 정책변화를 통해 본 한국군 사이버전력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Sangjun Park ;
  • Taesan Kim ;
  • Jee-won Kim ;
  • Chan-gi Jung
  • 박상준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
  • 김태산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
  • 김지원 (국방보안연구소) ;
  • 정찬기 (아주대학교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0.31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Future Battlefield includes the main areas of modern warfare, including the ground, sea, and air, as well as cyberspace and space. Cyberspace consists of computers,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spans the ground, sea, air, and space domains. Cyber warfare takes place in cyberspace, so it is not easy for people without expertise in cyber to recognize the cyber situation. Therefore, training personnel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cyber is paramount in preparation for cyber warfare.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cyber warfare will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ability of cyber combatants to carry it out,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he proficiency of cyber warfare procedures.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power to respond to cyber warfare at various levels, centering on the Cyber Operations Command, but there is a limit to defending all the rapidly expanding cyberspace.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looked at the changes in Germany's cyber warfare response policy. Based on them, the organization structure, weapon system,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future Korean military cyber forces are presented separately.

미래전장은 현대전의 주 영역인 지상, 해상, 공중과 더불어 사이버공간 및 우주영역을 포함한다. 사이버공간은 컴퓨터, 유·무선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상, 해상, 공중, 그리고 우주 영역에 걸쳐 있다. 사이버전은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이버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사람이 사이버 상황을 인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사이버전을 대비하여 사이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인력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사이버전의 결과는 이를 수행하는 사이버전투원의 능력, 사이버 시스템 성능, 사이버전 수행절차의 숙련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한국군은 사이버작전사령부를 중심으로 각급 제대에 사이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을 갖추고 있으나 빠르게 확대되는 사이버공간을 모두 방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독일의 사이버전 대응 정책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군 사이버전력 발전 방안을 조직구조, 무기체계, 교육훈련체계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육군사관학교 사이버전 연구센터의 2021년도 연구활동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사이버작전사령부, "북한의 대남 공작 사이버전사 현황," 국방백서, 2018. 
  2. 송재익, "한국군 합동 사이버작전 강화방안 연구-합동작전과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군사, 제2호, pp. 147-186, 2017. 
  3. 손영동, "사이버전 위협과 우리의 대응방안," 군사논단, 제98호, pp. 36-57, 2019. 
  4. 이용석, 권헌영, 황석중, "독일 연방 사이버군 창설 계획과 한국군 적용방향,"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1호, pp. 203-244, 2017. 
  5. 이재환, 김도영, "미래 사이버전력 획득방안에 관한 고찰," 국방과 기술, 제455호, pp. 136-147, 2017. 
  6. 김성중, 유지훈 등 5명, "사이버전 수행절차 운영개념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pp. 73-80, 2020. 
  7. 장원구, 이경호, "사이버공간에서의 효과중심작전 적용방안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 221-230, 2020. 
  8. 송의현, 김동화, 안명길, "계층적 사이버전 훈련 시나리오 저작,"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 191-199, 2020. 
  9. "사이버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개선 및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10. 김주희, "독일 사이버안보 국가전략: 안보화를 넘어 군사화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30권, 제2호, pp. 3-32, 2020. 
  11. Bundeswehr, "Kommando Cyber-und Informationsraum", https://www.bundeswehr.de/de/organisation/cyber-und-informationsraum/kommando-und-organisation-cir/kommando-cyber-und-informationsraum(검색일 : 2021.1.18.). 
  12. Bundeswehr, "Kommando Informationstechnik der Bundeswehr", https://www.bundeswehr.de/de/organisation/cyber-und-informationsraum/kommando-und-organisation-cir/kommando-informationstechnik-der-bundeswehr (검색일 : 2021.1.18.). 
  13. Bundeswehr, "Kommando Strategische Aufklarung", https://www.bundeswehr.de/de/organisation/cyber-und-informationsraum/kommando-und-organisation-cir/kommando-strategische-aufklaerung (검색일 : 2021.1.18.). 
  14. Bundeswehr, "Zentrum fur Geoinformationswesen der Bundeswehr", https://www.bundeswehr.de/de/organisation/cyber-und-informationsraum/kommando-und-organisation-cir/zentrum-fuer-geoinformationswesen-derbundeswehr (검색일 : 2021.1.18.). 
  15. Bundeswehr, "Micro-Point of Presence",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cybersysteme-bundeswehr/micropop (검색일 : 2021.1.18.). 
  16. Bundeswehr, "Via Satellit: Das Kommunikationssystem SATCOMBw",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cybersysteme-bundeswehr/satcombw (검색일 : 2021.1.18.). 
  17. Bundeswehr, "Das Terrestrische ubertragungssystem",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cybersysteme-bundeswehr/terrestrisches-uebertragungssystem (검색일 : 2021.1.18.). 
  18. Bundeswehr, "Das Bundelfunksystem TETRAPOL Bw",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cybersysteme-bundeswehr/tetrapol-bundeswehr (검색일 : 2021.1.18.). 
  19. Bundeswehr, "Der BGAN Explorer 710",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cybersysteme-bundeswehr/bgan-explorer-broadband-global-area-network (검색일 : 2021.1.18.). 
  20. Bundeswehr, "KWS RMB: Ein Panzer, der Radarsignale ortet",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landsysteme-bundeswehr/transportpanzer-fuchskws-rmb (검색일 : 2021.1.18.). 
  21. Bundeswehr, "Der Storpanzer Hummel", https://www.bundeswehr.de/de/ausruestung-technik-bundeswehr/landsysteme-bundeswehr/stoerpanzer-hummel (검색일 : 2021.1.18.). 
  22. 조성민, 서승현, "드론 보안에 적용된 암호기술 현황," 정보보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 11-19, 2020. 
  23. 최승철, 조준형, 권오진, "사이버전 연계 전자전 전투피해평가 지표 산출을 위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 201-210, 2020. 
  24. 류창수, 김명환, 정영진, "드론봇 전투부대 편성 및 운용개념에 관한 연구," 국방과 기술, 제480호, pp. 70-81, 2019. 
  25. 전서인, "4차 산업혁명시대 육군의 사이버작전 수행체계 발전 방안," 군사혁신저널, 제2호, pp. 1-32, 2019.
  26. "국방 인공지능(AI) 실증 기획 연구," 광주과학기술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