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hildren's Age a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Young Children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대한 유아 연령 및 아버지 양육참여의 영향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
  • 문예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 Received : 2021.08.15
  • Accepted : 2021.10.08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ren's age and thei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young children. Method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parents who had 3-5 year old children enrolled in daycare centers and from their daycare teachers. The parents answered questions about their children'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teachers rated children's social morality. The data from a total of 24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25.0.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children's morality score and convention score. Young children's morality scores were higher than their convention scores. Second, children's age was a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on both their moral and conventional social morality. Third, father's care-discipline had the only impact on children's conventional social morality. That is, children's social morality was higher when their fathers gave them more care and guidance. Forth,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ildren's age and father's development-support on children's conventional social morality was found.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rearing involvement of father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ocial mora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정, 김영래, 고미숙 (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2. 교육부 (2020. 9).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안)[2021~2025].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463에서 2021년 8월 10일 인출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발간등록번호:11-1342000-000522-01). I-누리 웹사이:file:///C:/Users/hyobi/Downloads/%EB%88%84%EB%A6%AC%EA%B3%BC%EC%A0%95(%ED%95%B4%EC%84%A4%EC%84%9C)-%ED%99%95%EC%9D%B8%EC%9A%A9.pdf에서 2021년 08월 10일 인출
  4. 권현조, 권정윤 (2018. 1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의사소통유형이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5. 김신영, 곽승주 (2019).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23(6), 177-200. doi:10.32349/ECERR.2019.12.23.6.177
  6. 김치곤, 채영란 (2013).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7(6), 305-333.
  7. 김현신, 우남희 (2000). 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과 부모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1(1), 109-120.
  8. 박리나, 황해익 (2017). 유아인성 및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유아교육연구, 37(4), 7-32. doi:10.18023/kjece.2017.37.4.001
  9. 박선정, 고가연, 최은영 (2015). 유아기 아동을 둔 아버지의 양육인식에 관한 내용분석.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2), 91-97. doi:10.4094/chnr.2015.21.2.91
  10. 박화윤, 오경숙, 박미경 (2010).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0, 63-83.
  11. 손봉호 (2010.12).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0년 동계전국학술대회 논문, 서울.
  12. 신나리, 오정순 (2015).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59-85. doi:10.14698/jkcce.2015.11.2.059
  13. 오승아, 유준호 (2016).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비교와 관련 변인 연구. 아동교육, 25(3), 229-246. doi:10.17643/KJCE.2016.25.3.13
  14. 유연옥, 송서정 (2014).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경향. 사고개발, 10(3), 87-103.
  15. 윤갑정 (2021).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과 과제: 도덕적.시민적 인성의 조화. 인문사회 21, 12(3), 1675-1690. doi:10.22143/HSS21.12.3.117
  16. 윤소연 (2019). 신체활동 시 또래 간 갈등해결 중심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 279-290. doi:10.35873/ajmahs.2019.9.1.028
  17. 윤영돈 (2012). 사회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인성교육.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9-44.
  18. 이승원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양육태도 및 유아의 사회도덕성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영환, 이진숙, 조복희 (199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노릇: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2), 1-11.
  20. 김은설 (2014).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1-22.
  21. 이정규, 최순자 (2007).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145-158.
  22. 임상도, 김재식 (2017). 유아도덕교육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동향 분석: 학회지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271-293. doi:10.17643/KJCE.2017.26.2.14
  23. 정금자, 박미라 (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0, 43-64.
  24. 정창우 (2015).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경기: 교육과학사.
  25. 정현희, 최경순 (1992). 아버지의 양육참여 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 판단 능력. 아동학회지, 13(1), 38-51.
  26.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연구보고 CRC 2004-4-14). https://www.kice.re.kr/resrchBoard/view.do?seq=30075&s=kice&m=030109에서 2021년 8월 7일 인출
  27. 최미숙, 김희선, 이규림 (2009).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의와 배려 도덕성 발달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339-360.
  28. 최순자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만3세에서 6세아의 도덕적 행동의 검토. 교육심리연구, 16(3), 197-219.
  29. 최순자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도덕성 관계: 한국과 일본의 비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필군동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홍경선, 김영희 (2005).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총, 9(1), 1-16.
  32. 홍영미 (201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首藤敏元, 二宮克美 (2002). 幼児と母親のつくりだす日常の社会道徳的文脈. 埼玉大学紀要教育学部 (教育科学), 51(1), 29-39.
  34. 森重敏 (1988). 幼兒における道德意識の發達に關する調査硏究. 創價大學敎育學論集, 24, 61-101.
  35. Athur, J. (2003). Education with character. Abingdon-on-Thames, England: Routledge.
  36.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 55-72. doi:10.1207/s15566935eed1101_4
  37. Bjorklund, D. E., & Causey, K. B. (2018). Children's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6th ed.). Thousand Oaks, CA: Sage.
  38. Bussey, K. (1992). Lying and truthfulness: Children's definitions, standards, and evaluative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3(1), 129-137. doi:10.1111/j.1467-8624.1992.tb03601.x
  39. Cengage Learning Gale (2017). A study guide for psychologists and their theories for students: Lawrence Kohlberg. Farmington Hills, MI: Cengage Learning Gale.
  40. Ford, M. R., & Lowery, C. R. (1986). Gender differences in moral reasoning: A comparison of the use of justice and care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4), 777-783. doi:10.1037/0022-3514.50.4.777
  41. Friedman, W. J., Robinson, A. B., & Friedman, B. L. (1987). Sex differences in moral judgements? A test of Gilligan's theory. Psychology of Women's Quarterly, 11(1), 37-46. doi:10.1111/j.1471-6402.1987.tb00772.x
  42. Gestwicki, C. (2013).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5thed.). Albany, NY: Delmar Pub.
  43.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4. Hwang, H. W. (2003). Family factors and th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2), 35-49.
  45. Hoffman, M. L. (1977). Sex difference in empathy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84(4), 712-722. doi:10.2307/1131002
  46. Kurtines, W. M., & Gewirtz, J. L. (2004).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문용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5).
  47.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Nucci, L. P. (2000). Preface to the special issue: Early education for moral developmen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1(1), 5-8. doi:10.1207/s15566935eed1101_1
  49. Martorell, G., Papalia, D. E., & Feldman, R. D. (2014). A child's world: Infancy through adolescence. NY: McGraw Hill.
  50. Palkovitz, R. (1997). Reconstructing 'involvement': Expanding conceptualizations of men's caring in contemporary families. In A. J. Hawkins, & D. C. Dollahite (Eds.), Generative fathering: beyond deficit perspectives (pp. 200-216). Thousand Oaks, CA: Sage.
  51. Piaget, J. (1932).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New York: Franklin Classics.
  52. Schaffer, D. R., & Kipp, K. (2014). Developmental psychology (9th Ed.). Belmont, CA: Wadsworth.
  53. Snarey, J. R. (1993). How fathers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decade stud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Turiel, E.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New York: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55. Walker, L. J. (2020). The character of character: The 2019 Kohlberg memoral lecture. Journal of Moral Education, 49(4), 381-395. doi:10.1080/03057240.2019.1698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