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정, 김영래, 고미숙 (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 교육부 (2020. 9).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안)[2021~2025].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463에서 2021년 8월 10일 인출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발간등록번호:11-1342000-000522-01). I-누리 웹사이:file:///C:/Users/hyobi/Downloads/%EB%88%84%EB%A6%AC%EA%B3%BC%EC%A0%95(%ED%95%B4%EC%84%A4%EC%84%9C)-%ED%99%95%EC%9D%B8%EC%9A%A9.pdf에서 2021년 08월 10일 인출
- 권현조, 권정윤 (2018. 1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의사소통유형이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 김신영, 곽승주 (2019).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23(6), 177-200. doi:10.32349/ECERR.2019.12.23.6.177
- 김치곤, 채영란 (2013).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7(6), 305-333.
- 김현신, 우남희 (2000). 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과 부모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1(1), 109-120.
- 박리나, 황해익 (2017). 유아인성 및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유아교육연구, 37(4), 7-32. doi:10.18023/kjece.2017.37.4.001
- 박선정, 고가연, 최은영 (2015). 유아기 아동을 둔 아버지의 양육인식에 관한 내용분석.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2), 91-97. doi:10.4094/chnr.2015.21.2.91
- 박화윤, 오경숙, 박미경 (2010).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0, 63-83.
- 손봉호 (2010.12).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0년 동계전국학술대회 논문, 서울.
- 신나리, 오정순 (2015).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59-85. doi:10.14698/jkcce.2015.11.2.059
- 오승아, 유준호 (2016).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비교와 관련 변인 연구. 아동교육, 25(3), 229-246. doi:10.17643/KJCE.2016.25.3.13
- 유연옥, 송서정 (2014).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경향. 사고개발, 10(3), 87-103.
- 윤갑정 (2021).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과 과제: 도덕적.시민적 인성의 조화. 인문사회 21, 12(3), 1675-1690. doi:10.22143/HSS21.12.3.117
- 윤소연 (2019). 신체활동 시 또래 간 갈등해결 중심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 279-290. doi:10.35873/ajmahs.2019.9.1.028
- 윤영돈 (2012). 사회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인성교육.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9-44.
- 이승원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양육태도 및 유아의 사회도덕성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환, 이진숙, 조복희 (199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노릇: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2), 1-11.
- 김은설 (2014).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1-22.
- 이정규, 최순자 (2007).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145-158.
- 임상도, 김재식 (2017). 유아도덕교육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동향 분석: 학회지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271-293. doi:10.17643/KJCE.2017.26.2.14
- 정금자, 박미라 (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0, 43-64.
- 정창우 (2015).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경기: 교육과학사.
- 정현희, 최경순 (1992). 아버지의 양육참여 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 판단 능력. 아동학회지, 13(1), 38-51.
-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연구보고 CRC 2004-4-14). https://www.kice.re.kr/resrchBoard/view.do?seq=30075&s=kice&m=030109에서 2021년 8월 7일 인출
- 최미숙, 김희선, 이규림 (2009).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의와 배려 도덕성 발달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339-360.
- 최순자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만3세에서 6세아의 도덕적 행동의 검토. 교육심리연구, 16(3), 197-219.
- 최순자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도덕성 관계: 한국과 일본의 비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필군동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경선, 김영희 (2005).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총, 9(1), 1-16.
- 홍영미 (201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首藤敏元, 二宮克美 (2002). 幼児と母親のつくりだす日常の社会道徳的文脈. 埼玉大学紀要教育学部 (教育科学), 51(1), 29-39.
- 森重敏 (1988). 幼兒における道德意識の發達に關する調査硏究. 創價大學敎育學論集, 24, 61-101.
- Athur, J. (2003). Education with character. Abingdon-on-Thames, England: Routledge.
-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 55-72. doi:10.1207/s15566935eed1101_4
- Bjorklund, D. E., & Causey, K. B. (2018). Children's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6th ed.). Thousand Oaks, CA: Sage.
- Bussey, K. (1992). Lying and truthfulness: Children's definitions, standards, and evaluative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3(1), 129-137. doi:10.1111/j.1467-8624.1992.tb03601.x
- Cengage Learning Gale (2017). A study guide for psychologists and their theories for students: Lawrence Kohlberg. Farmington Hills, MI: Cengage Learning Gale.
- Ford, M. R., & Lowery, C. R. (1986). Gender differences in moral reasoning: A comparison of the use of justice and care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4), 777-783. doi:10.1037/0022-3514.50.4.777
- Friedman, W. J., Robinson, A. B., & Friedman, B. L. (1987). Sex differences in moral judgements? A test of Gilligan's theory. Psychology of Women's Quarterly, 11(1), 37-46. doi:10.1111/j.1471-6402.1987.tb00772.x
- Gestwicki, C. (2013).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5thed.). Albany, NY: Delmar Pub.
-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Hwang, H. W. (2003). Family factors and th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2), 35-49.
- Hoffman, M. L. (1977). Sex difference in empathy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84(4), 712-722. doi:10.2307/1131002
- Kurtines, W. M., & Gewirtz, J. L. (2004).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문용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5).
-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Nucci, L. P. (2000). Preface to the special issue: Early education for moral developmen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1(1), 5-8. doi:10.1207/s15566935eed1101_1
- Martorell, G., Papalia, D. E., & Feldman, R. D. (2014). A child's world: Infancy through adolescence. NY: McGraw Hill.
- Palkovitz, R. (1997). Reconstructing 'involvement': Expanding conceptualizations of men's caring in contemporary families. In A. J. Hawkins, & D. C. Dollahite (Eds.), Generative fathering: beyond deficit perspectives (pp. 200-216). Thousand Oaks, CA: Sage.
- Piaget, J. (1932).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New York: Franklin Classics.
- Schaffer, D. R., & Kipp, K. (2014). Developmental psychology (9th Ed.). Belmont, CA: Wadsworth.
- Snarey, J. R. (1993). How fathers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decade stud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Turiel, E.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New York: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 Walker, L. J. (2020). The character of character: The 2019 Kohlberg memoral lecture. Journal of Moral Education, 49(4), 381-395. doi:10.1080/03057240.2019.1698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