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of Rehabilitation Servic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Health Promotion of Jeollabuk-do Residents

전라북도민 건강증진을 위한 요양병원 재활서비스 현황

  • 조승현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12.23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As the super-aged society is imminent, the number of people with senile diseases is also increasing, resulting in a lack of facilities and policies as a social proble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s being talked about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medical coverage. Long-term care hospitals are classified into acute-stage hospitals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are acting as an alternative to reducing medical expenses. However,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ich are the core of maintenance rehabilitation, the quality of service issues have been raised seriously. Currently, there is a problem of mass production of refugees from rehabilitation due to a problem of the medical system. In particular, in the preceding study in 2015, the status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 Jeollabuk-do was the worst. Therefore, using public data, the general status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 Jeollabuk-do, status of frequent disease, status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re to be explored.

초고령 사회가 임박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시설과 정책의 부족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보장의 현실적 대안으로 국민건강보험이 이야기되고 있으며, 요양병원은 급성기 병원과 장기요양시설 사이로 분류되며 의료비 절감의 대체재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지기 재활의 핵심인 요양병원은 서비스의 질적 문제가 심각히 제기되고 있고, 현 의료체계의 문제로 재활 난민이 양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2015년 선행연구에서 전라북도의 요양병원 현황이 가장 열악하였으며 이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라북도 요양병원 일반현황, 다빈도 상병 현황, 재활서비스 관련 현황, 재활서비스 중 작업치료 관련 현황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주, 황준용(2019).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0): 395-405.
  2. 이지원(2017). 초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건강 의료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5(4): 181-203.
  3. 김정화(2019). 고령화시대 노인 의료보장의 문제 상황과 대안의 모색-국민건강보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26: 113-142.
  4. 김영창, 김재선, 윤기요(2004). 노인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진료비 수가체계 연구. 대한병원협회지, 33(5): 76-87.
  5.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기관의 종류별 표준업무규정. https://www.law.go.kr/행정규칙/의료기관의종류별표준업무규정/2020.12.13.
  6. 송현종(2012). 요양병원 기능에 대한 고찰: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노인병학회지, 16(3): 114-120.
  7. 국민건강보험공단(2020). 연도별 요양기관 현황. https://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F4633/2020.12.13.
  8. 신명희(2017). 현행 재활의료전달체계와 개선 방향. 정책동향, 11(5): 7-11.
  9. 남상요(2016). 일본의 제도를 통해 살펴 본 우리나라 노인의료공급체계와 노인진료 수가 개선방안. 정책동향, 10(3): 26-34.
  10. 권범선(2017). 재활의료기관 임상 질 평가 방안. 정책동향, 11(5): 12-20.
  11. 이성우, 김명화, 박진관(2016). 요양병원 인력가산 효과평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2. 송현종, 채정미, 이병란, 이경민(2010). 요양병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3. 권금주, 박태정, 이서영(2015). 노인요양병원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16: 101-122.
  14. 안형식(2015). 요양병원의 운영현황 및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의료정책포럼, 12(3): 90-94.
  15. Kamo, T., Momosaki, R., Suzuki, K., Asahi, R., Azami, M., Ogihara, H., & Nishida, Y.(2019). Effectiveness of Intens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A Propensity Score Analysis Based on Japan Rehabilitation Databas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8(9): 2537-2542.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9.06.007
  16. Sawabe, M., Momosaki, R., Hasebe, K., Sawaguchi, A., Kasuga, S., Asanuma, D., S., Suzuki, N., Miyauchi, & Abo, M.(2018). Rehabilitation characteristics in high-performance hospitals after acute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7(9): 2431-2435.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8.04.037
  17. 손재기, 신순애, 한태화(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프케어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32(11): 3-7.
  18. 배성환, 장연식, 김희동, 백지영(2020). OTPF와 국제 기능. 장애.건강 분류 간의 연관성: 라이프케어 중심의 활동과 참여 관점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623-632.
  19.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8). 라이프케어산업 기반통계 생산 및 지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시행규칙. https://www.law.go.kr/법령/ 의료법 시행규칙/2020.12.13.
  21. 보건복지부. 회복기 재활치료에 특화된 재활 의료기관 19개소 추가 지정.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1610/2020.12.13.
  22. 국가법령정보센터.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https://www.law.go.kr/법령/노인복지법시행규칙/2020.12.13.
  23.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9). 요양급여의 적용 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과 심사지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4. 김정헌, 황나경, 김종성, 송영진, 최민경, 김형선, 한가람(2020). 요양. 재활병원 환자의 사회적 입원과 지역사회 복귀 어려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관점. 재활치료과학, 9: 103-120. https://doi.org/10.22683/TSNR.2020.9.3.103
  25. 조강희(2017). 재활의료서비스의 이상적인 전달체계.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60(11): 885-888. https://doi.org/10.5124/jkma.2017.60.11.885
  26. 배선영, 정겨운, 백지영(2015). 그룹작업치료가 만성뇌졸중환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53-159.
  27. 이지영, 이미진(2011). 서비스 관리자가 인식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서비스의 질 개념, 방해요인 및 질 평가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31-59.
  28. 국립중앙의료원(2020). 2020년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
  29. Van der Laag, P. J., Arends, S. A., Bosma, M. S., & van den Hoogen, A.(2020).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rehabilitation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best evidence synthesis. Geriatric Nursing, 42(1): 83-93.
  30. Simning, A., Caprio, T. V., Szanton, S. L., Temkin-Greener, H., & Conwell, Y.(2019). The association of patient-reported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characteristics with mortality. Geriatric Nursing, 40(6), 620-628.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9.06.006
  31. 조승현, 감경윤, 배성윤, 조남훈, 오혜원, 양영애(2018).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비용편익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6(2): 99-112.
  32. 주은솔, 방요순, 황민지(2020).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 중요도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599-608.
  33. 보건복지부. 공립요양병원 설치.운영 현황 관리 강화한다!,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102/2021.01.10
  34. 보건복지부,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를 시작하다!,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0436/202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