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and Need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Park, Ju-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ju College) ;
  • Lee, Na-Y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Buk College)
  • 박주영 (동주대학교 작업치료과) ;
  • 이나윤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1.05.17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cognition, experiences, need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when developing convergence subjects and non-regular programs within the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curriculum. From December 03, 2020, a web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4 questions in 4 areas was distributed over a month, and the data of 130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convergence education were low. Second, 57.7% of students recognized that occupational therapy majors need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expected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 was 'improv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ob-related knowledge'.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natural science', 'prosthesis and assistive technology, activity of daily living(ADL)', and 'ADL training' convergence education was necessary for the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and non-regular program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 think that the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increase in the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d meaningfully by professors in charge of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at universities.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필요성과 요구를 확인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이다. 그리하여 작업치료(학)과 교육과정 내 융합 교과목 및 비정규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020년 12월 03일부터 한 달 간 4개 영역,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웹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1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낮은 편이다. 둘째, 57.7%의 응답자가 작업치료학 전공에서 융합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교육을 통해 '작업치료 직무관련 지식 향상'을 기대했다. 셋째, 학문분야로는 '자연 과학', 교과목으로는 '보조기의지학 및 보조공학,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사의 직무로는 '일상생활 동작훈련'에 융합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작업치료(학)과 교육과정 개발 및 융합교육을 위한 비정규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작업치료학 교육과정에서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융합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자료가 대학에서 작업치료학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에게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9.08.07.).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 혁명 대응 대학혁신 지원 방안 발표.
  2. 하지윤(2020). 비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홍병선(2016).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교양교육연구, 10(4): 12-35.
  4. Davis, R. A., & Hsing, T.(1995). Point process and partial sum convergence for weakly dependent random variables with infinite variance. Ann. Probab, 23: 879-917. https://doi.org/10.1214/aop/1176988294
  5.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9). 2020 학부.과 및 전공 표준분류체계에 다른 자율분류 지침 및 가이드 라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M 2019-36-901.
  6. 서민규, 서덕희, 이희용(2014). 국내대학의 인문학 및 사회과학 융합교육 실태 연구. 교육학연구, 52(2): 81-115.
  7.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45-79.
  8. 이희용, 서민규, 김재득(2016). 국내대학의 인문, 사회 및 예술 간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와융합, 38(4): 51-88.
  9. 김선정, 김연선, 김지훈(2018).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5): 43-52. https://doi.org/10.15207/JKCS.2018.9.5.043
  10. 최현세, 이예진, 전소현(2017). 4차혁명에 대한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9(2): 51-57.
  11. 구인순(2018). 4차 산업혁명의 기회요인과 작업치료사의 역할.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10(1): 21-31.
  12. 서정목, 권영수(2013). 교양과목, 특수목적언어 및 전공과목의 융복합 교육을 통한 국제문자격증 취득방안: 미국 공인회계사를 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1): 213-254.
  13. 이희용, 윤아영, 김재득(2014). 인문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연구. 예술교육연구, 12(2): 129-147.
  14. Future Strategy Policy Institute(2016). Four years in the future four teture four times. 13-15.
  15. 김우택, 양영애(2014). 스마트폰 사용의 적합한 자세에 관한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8(2): 27-33.
  16.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17. Iwamoto, Y., Imura, T., Suzukawa, T., Fukuyama, H., Ishii, T., Taki, S., & Araki, O. (2019). Combination of exoskeletal upper limb robot and occupational therapy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8(7): 2018-2025.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9.03.006
  18. Ganesan, B., Adel, A. A. J., & Luximon, A.(2016). 3D printing technology applications in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3(3): 1085-1089.
  19. 전민주(2019). 발상의 전환을 통한 융합교육의 가상 시나리오.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1(1): 19-23.
  20. 최미정, 진상우(2020). 간호대학생을 위한 창의성기반 창의융합교과목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8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