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온라인 체육교육 개선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 정현 (삼육대학교 스미스교양학부) ;
  • 안찬우 (대구한의대학교 시니어웰니스학부)
  • Jung, Hyun (Smith College of Liberal Arts, Sahmyook University) ;
  • Ahn, Chan-Woo (Department of Senior Sports Course, Daegu Haany University)
  • 투고 : 2021.05.24
  • 심사 : 2021.06.25
  • 발행 : 2021.06.30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급변화 하는 대학 체육 관련 강의환경에 대하여 교수자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기존 학습자 중심 온라인 학습환경 조성에서 벗어나 교수자-학습자 모두를 위한 종합적이고 실제적인 온라인 강의환경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체육 관련 교수자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약4개월 동안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체육 관련 교수자의 문제사례, 대응행위, 개선안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후, 교수자들이 접한 문제사례는 온/오프라인 강의문제로 구분되며 이는 인터넷 및 매체 (미)소지, 온라인 강의장소 부적, 교수자-학습자 간 소통장애, 출석확인 및 평가, 코로나-19감염우려, 대면 강의 장소 제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오프라인 강의 문제에 따른 교수자의 대응행위는 소통매체 다양화, 재택강의, 온라인 학습동영상 제공, 실기수업 대체 및 보강이었으며 이는 교수자의 노력에 제한된 형태로 정부 및 학교의 지원체계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체육 관련 강의문제와 교수자 대응행위를 중심으로 제시한 개선안은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제공과 대학의 온/오플인 강의 장소 확대, 교수자 편의성을 높인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 고안, 온/오프라인 강의 참여 인원 조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sports-related lectur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and seek comprehensive and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online lecture environment for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ix professor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Examples of the problems, counterplan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professors who related to sports were shown as the results. First, the difficulties faced by professors have been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hich are Internet and media possession, online lecture place amulet, professor-learner communication disorder, attendanc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OVID-19 infection, and face-to-face lecture place restric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Second, professors' response 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as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media, telecommuting, providing online learning videos, replacing and reinforcing practical classes, which were found to be somewhat lacking in government and school support systems. Final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Sports-related lecture's continuous problems and the professor's responses require the improvements such as government-level guidelines, university-level expansion of the venues for on- and off-line lecture, devising online lecture programs that enhance professor's convenience, and adjus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on- and off-line lec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효정, 전환욱.[코로나 1년 6개월] "바이러스 뉴노멀...이전으로 돌아갈 순 없다" https://www.ajunews.com/view/2021.05.14.
  2. 김승환, 천성민(2020).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1, 9-26.
  3. 윤수현. 24년 만에 학원가가 휘청인다. https://www.skyedaily.com/news/2020.03.04.
  4. 교육부(2020). 신종 코로나바일스 감염증 대응을 위한 대학 학사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교육부 보도자료(2020.2.12. 보도).
  5. 최현규, 조순묵(2021). 코로나 이후,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535-560.
  6. 정래원. 개강 첫날 대학 온라인강의 서버 '폭삭'...교수.학생 우왕좌왕 https://www.yna.co.kr/view/2020.03.16.
  7. 최민영. 대학가 '온라인 개강'...코로나로 앞당겨진 미래https://www.hani.co.kr/2020.03.18.
  8. 이만기, 조은별, 임효성(202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19(1), 421-430. https://doi.org/10.14400/JDC.2021.19.1.421
  9. 양동석, 조건상, 유은혜(2020).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6(2), 131-144.
  10. 윤찬수, 김현식(2021).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고등학생의 교사 신뢰와 상호작용 및 학습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4), 123-134.
  11. 최효근(2020). 코로나-19로 변화된 체육수업 현장. 우리체육, (24), 38-42.
  12. 권영문, 김승환(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학생의 교양체육수업에 대한 걱정거리 탐색. 교육문화연구, 26(5), 743-758. https://doi.org/10.24159/JOEC.2020.26.5.743
  13. 김경오(2020). 코로나 19 시국 이후 체육교육의 행태와 의미의 변화: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함의.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401-412.
  14. 이미연(2020).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태권도장의 대응방안 연구: 태권도장 경영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9(6), 85-101.
  15.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6. Merriam, S. B.(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7. 안문석(2020). ICT 기반의 재택근무와 재택수업으로 해결하자: 코로나 19 위기... 업무 방식을 변화시킬 절호의 '기회'. 지역정보화, 121, 60-63.
  18. 홍민기, 이종경(2019). 대한체육회 수업 참여자의 수업환경 만족, 운동몰입 및 운동 지속의도 간의 관계: 천안시 체육회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 17(3), 63-72.
  19. 교육부(2020).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 교육부 보도자료(2020.3.31. 보도).
  20. 교육부(2020). 원격수업 출결.평가.기록 가이드 라인 안내. 교육부 보도자료(2020.4.7. 보도).
  21. 송기영(2020). 온라인 실습 수업의 이상과 현실 차이. 기계저널, 60(7), 37-41.
  22. 김상미(2020).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6), 1091-1100.
  23. 최상옥(2016). 뉴노멀 시대 신(新) 공공성 탐색. 정부학연구, 22(2), 5-25.
  24. 박인혜(2021). 스포츠 산업 추이에 따른 학점은행제 체육전공 교과과정 운영 현황 및 개선 방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1), 99-115.
  25. 김성희, 이경옥(2021). 대학의 융복합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발상에 미친 사례 연구: '우디'의 인디게임 개발 일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1), 153-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