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주민의 시 치료 프로그램의 치유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An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Poetry Therapy Program in Rural Residents

  • 심영도 (순천대학교 농산업경제교육과) ;
  • 김현 (파카드) ;
  • 강대구 (순천대학교 농업교육과)
  • Shim, Young-Do (Department of Agricultural Industry Economic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 (Representative of Paqad) ;
  • Kang, Dae-K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6.26
  • 심사 : 2021.09.14
  • 발행 : 2021.09.30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etry therapy program on individual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rural residents. For the research data, before the end of the poetry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confession, and as a retrospec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participants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ntinued after about 14 mon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the program ended, it was said that it was a meaningful time to communicate and live positively through poetry. In a retrospective study, it was said that poetry writing relieved depression, released and purified emotions, created a sense of relaxation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ural residents who are experiencing many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n improve their negative psychology and find peace of mind through poetry wri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국, 이현아, 김현주, & 김옥진. (2017). 곤충을 활용한 심리치유에 관한 고찰.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6(1), 17-21.
  2. 권성훈. (2009).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4. 권칠숙. (1992). 한국의 농촌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교육부. (2020). 2020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세종: 교육부.
  6. 김도환. (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13, 113-144.
  7. 김성일, & 정용철. (200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청소년 연구, 12(1), 5-27.
  8.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9. 김재순, & 최외선. (2012).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9(4), 937-961. doi:10.35594/kata.2012.19.4.010
  10. 김종주, & 이경수. (1986). 시 치료 과정에서 관찰되는 정신역동에 관한 고찰. 원광의료과학, 2(2), 221-232.
  11. 김태완, & 윤상용. (2015). 빈곤과 우울감간의 관계: 도농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경제, 38(2), 147-171.
  12. 김현숙, 유수정, & 한규량. (2003). 지역사회 여성 노인이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56-73.
  13. 김혜경, & 조현춘. (2010). 시치료 프로그램이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문학치료연구, 1(1), 85-107.
  14. 김희영. (2013). 마을 공동정원 조성과 원예활동이 농촌 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민순, 장숙희, & 박재경. (2001).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2), 145-145.
  16. 박공주, 김양희, & 박정윤. (2007). 은퇴 후 귀농인의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17. 박덕병, 조영숙, & 이민수.(2006).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49-74.
  18. 박선아, & 이명우. (2016). 시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13(1), 19-36.
  19. 박현숙. (1993). 집단인지요법이 노인이 우울, 자아존중감,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변학수. (2005). 문학치료. 서울: (주)학지사.
  21. 성기월. (1999).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간호학회지, 27(1), 34-46.
  22. 양순미, & 임춘식. (2006).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32, 377-396
  23. 이계선. (2009).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상희. (2009). 시 창작 교육 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시 창작 교육의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성옥. (2006). 시 활동 경험의 심리적 치유과정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정애, & 정향균. (1993). 농촌지역 노인들의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6(3), 412-429.
  27. 이지영. (2009). 발달적 시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치료학 석사학위논문.
  28. 이효봉. (2013). 시치료가 중년 남성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전미래. (2017).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애나. (2020). 음악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103-120. doi:10.32451/KJOAPS.2020.16.4.103
  32. 최소영. (2006). 치료적 시문학 교육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학교육학, 20, 297-342.
  33. 최소영. (2012). 신경증과 정신병의 증상완화 및 주체화 촉진을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최정규, 김윤아, 김소희, 김성한, 박종구, 고상백, et al. (2011). 일부 농촌주민에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 103-113.
  35. 한국심리학회. (2006). 현대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36. 홍문표. (2002). 시창작원리. 서울: 창조문학사.
  37. 현윤이. (1992). 정신과 환자에 대한 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Baumeister, R. F. (1998). Belongingness and temporal bracketing in personal accounts of changes in self-estee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2(2), 222-235. doi.org/10.1006/jrpe.1998.2218
  39. Blanton, S. (2012). The healing power of poetry. Whitefish, MT: Literary Licensing, LLC.
  40. Branden, N. (1992). The power of self-esteem: An inspiring look at our most important psychological resource. Deerfield Beach, Fl: Health Communication Inc.
  41. Coffey, A. R. (1995). Sibling-Bbreaved adolescents: An exploratory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42.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 Co.
  43. Coopersmith, S. (1982).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ied.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44. Furman, R. (2003). Poetry therapy and existential practice. The Arts in Psychotherapy, 30(4), 195-200. doi.org/10.1016/S0197-4556(03)00052-2
  45. Gask, L. (2015). The other side of silence: A psychiatrist's memoir of depression. Chichester, West Sussex: Summersdale Publishers LTD.
  46. Gilmore, J. V. (1974). The productive personality. San Francisco, CA: Albion.
  47. Hayles, J. M. (2003). Racial identity,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among black female corporate managers and execut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mbia University.
  48. Heninger, O. E. (1981). Poetry therapy. In S. Arieti (Ed.),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pp. 553-563). New York: Basic Books.
  49. Holstein, J. A., & Gubrium, J. F. (1995). The active interview. Thousand Oaks, CA: Sage.
  50. Mazza, N. (1999). Poetry therapy: Interface of the arts and psychology. Boca Raton, FL: CRC Press.
  51. Pennebaker, J. W., & Evans, J. F. (2014). Expressive writing: Words that heal. Enumclaw, WA: Idyll Arbor Inc.
  5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Selye, H. (1976). Stress in health and disease. Boston, MA: Butterworths.
  54. Sempik, J., Hine, R., & Wilcox, D. (2010). Green care: A conceptual framework.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health benefits of green care. Loughborough, England: Loughborough University.
  55. Smith, M. A. (2000). The use of poetry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n adolesc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ase study. Journal of Poetry Therapy, 14(1), 3-14. doi:10.1023/A:1007838423678
  56. Taft, L. B. (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ceptive. Advanced Nursing Science, 8(1), 77-84. doi:10.1097/00012272-198510000-00009
  57. Ulrich-Lai, Y. M., & Herman, J. P. (2009). Neural regulation of endocrine and autonomic stress response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397-409. doi.org/10.1038/nrn2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