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원국, 이현아, 김현주, & 김옥진. (2017). 곤충을 활용한 심리치유에 관한 고찰.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6(1), 17-21.
- 권성훈. (2009).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 권칠숙. (1992). 한국의 농촌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부. (2020). 2020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세종: 교육부.
- 김도환. (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13, 113-144.
- 김성일, & 정용철. (200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청소년 연구, 12(1), 5-27.
-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 김재순, & 최외선. (2012).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9(4), 937-961. doi:10.35594/kata.2012.19.4.010
- 김종주, & 이경수. (1986). 시 치료 과정에서 관찰되는 정신역동에 관한 고찰. 원광의료과학, 2(2), 221-232.
- 김태완, & 윤상용. (2015). 빈곤과 우울감간의 관계: 도농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경제, 38(2), 147-171.
- 김현숙, 유수정, & 한규량. (2003). 지역사회 여성 노인이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56-73.
- 김혜경, & 조현춘. (2010). 시치료 프로그램이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문학치료연구, 1(1), 85-107.
- 김희영. (2013). 마을 공동정원 조성과 원예활동이 농촌 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민순, 장숙희, & 박재경. (2001).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2), 145-145.
- 박공주, 김양희, & 박정윤. (2007). 은퇴 후 귀농인의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 박덕병, 조영숙, & 이민수.(2006).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49-74.
- 박선아, & 이명우. (2016). 시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13(1), 19-36.
- 박현숙. (1993). 집단인지요법이 노인이 우울, 자아존중감,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변학수. (2005). 문학치료. 서울: (주)학지사.
- 성기월. (1999).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간호학회지, 27(1), 34-46.
- 양순미, & 임춘식. (2006).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32, 377-396
- 이계선. (2009).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상희. (2009). 시 창작 교육 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시 창작 교육의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성옥. (2006). 시 활동 경험의 심리적 치유과정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애, & 정향균. (1993). 농촌지역 노인들의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6(3), 412-429.
- 이지영. (2009). 발달적 시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치료학 석사학위논문.
- 이효봉. (2013). 시치료가 중년 남성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미래. (2017).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애나. (2020). 음악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103-120. doi:10.32451/KJOAPS.2020.16.4.103
- 최소영. (2006). 치료적 시문학 교육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학교육학, 20, 297-342.
- 최소영. (2012). 신경증과 정신병의 증상완화 및 주체화 촉진을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정규, 김윤아, 김소희, 김성한, 박종구, 고상백, et al. (2011). 일부 농촌주민에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 103-113.
- 한국심리학회. (2006). 현대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 홍문표. (2002). 시창작원리. 서울: 창조문학사.
- 현윤이. (1992). 정신과 환자에 대한 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aumeister, R. F. (1998). Belongingness and temporal bracketing in personal accounts of changes in self-estee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2(2), 222-235. doi.org/10.1006/jrpe.1998.2218
- Blanton, S. (2012). The healing power of poetry. Whitefish, MT: Literary Licensing, LLC.
- Branden, N. (1992). The power of self-esteem: An inspiring look at our most important psychological resource. Deerfield Beach, Fl: Health Communication Inc.
- Coffey, A. R. (1995). Sibling-Bbreaved adolescents: An exploratory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 Co.
- Coopersmith, S. (1982).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ied.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 Furman, R. (2003). Poetry therapy and existential practice. The Arts in Psychotherapy, 30(4), 195-200. doi.org/10.1016/S0197-4556(03)00052-2
- Gask, L. (2015). The other side of silence: A psychiatrist's memoir of depression. Chichester, West Sussex: Summersdale Publishers LTD.
- Gilmore, J. V. (1974). The productive personality. San Francisco, CA: Albion.
- Hayles, J. M. (2003). Racial identity,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among black female corporate managers and execut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mbia University.
- Heninger, O. E. (1981). Poetry therapy. In S. Arieti (Ed.),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pp. 553-563). New York: Basic Books.
- Holstein, J. A., & Gubrium, J. F. (1995). The active interview. Thousand Oaks, CA: Sage.
- Mazza, N. (1999). Poetry therapy: Interface of the arts and psychology. Boca Raton, FL: CRC Press.
- Pennebaker, J. W., & Evans, J. F. (2014). Expressive writing: Words that heal. Enumclaw, WA: Idyll Arbor Inc.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elye, H. (1976). Stress in health and disease. Boston, MA: Butterworths.
- Sempik, J., Hine, R., & Wilcox, D. (2010). Green care: A conceptual framework.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health benefits of green care. Loughborough, England: Loughborough University.
- Smith, M. A. (2000). The use of poetry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n adolesc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ase study. Journal of Poetry Therapy, 14(1), 3-14. doi:10.1023/A:1007838423678
- Taft, L. B. (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ceptive. Advanced Nursing Science, 8(1), 77-84. doi:10.1097/00012272-198510000-00009
- Ulrich-Lai, Y. M., & Herman, J. P. (2009). Neural regulation of endocrine and autonomic stress response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397-409. doi.org/10.1038/nrn2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