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그래프 검사에서 라포 형성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 차이

Differences i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Depending on Rapport-building During Polygraph Test

  • 김현지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
  • 조은경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 투고 : 2021.03.21
  • 발행 : 2021.03.31

초록

본 연구는 폴리그래프 검사에서 라포 형성 여부에 따른 피검사자의 심리생리적 반응 차이를 비교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참가자 간 설계로 진실성과 라포 형성 여부에 따라 조건별로 일반 성인 84명을 무작위 할당하여 심리생리적 반응을 ESS(Empirical Scoring System) 총점으로 측정하였다. 제한된 시간 내 간단한 몇 가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뒤, 수행한 과제에 대하여 진실 조건의 참가자는 실제 자신의 점수대로 자체 채점을 하고, 거짓 조건의 참가자는 실제 자신의 점수보다 더 높게 점수를 위조하도록 조작하였다. 이후 모든 참가자는 사전면담 단계와 본 검사 단계 순으로 폴리그래프 검사를 받았다. 라포형성 조건과 라포비형성 조건은 각각 구조화된 스크립트로 사전면담을 실시하여 조작하였다. 분석결과, 진실성과 라포 형성 여부에 따라 피검사자의 ESS 총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진실 집단은 라포 형성 조건에서 라포 비형성 조건보다 ESS 총점이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하게 더 커서 진실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거짓 집단은 라포 형성 조건에서 라포 비형성 조건보다 ESS 총점이 음(-)의 방향으로 유의미하게 더 크진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폴리그래프 검사의 사전면담 단계에서 라포 형성의 중요성과 언어적·비언어적 라포 형성 기법의 매뉴얼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comparing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differences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rapport building in polygraph tests. We randomly assigned 84 adults into a 2(veracity: Truth vs. Lie) x 2(rapport; Rapport building vs. Non-rapport building) between-subject design and measured ESS total scores a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In order to manipulate the veracity conditions, participants in the truthful condition were told to tell their actual scores on several simple tasks but those in the lie condition were asked to tell higher scores than their actual scores. Afterwards all participants were polygraph tested in the order of pre-interview and main examination. The rapport conditions were manipulated by structured pre-interview script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aminee's total ESS scores depending on the veracity and rapport conditions. For truth-tellers, the ESS total scores were greater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rapport building condition than in the non-rapport building condition, indicating a prominent true response in the former condition. For liars, however, the ESS total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negative(-) direction in the rapport building condition than in the non-rapport building condition.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rapport building in the pre-interview phase of a polygraph test and the need to operationalize verbal and non-verbal rapport building techniqu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남수, 박주호 (2013). 거짓말탐지 검사에서 혐의자와 인식있는 무죄자의 질문 및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차이. 과학수사학회지, 7(4), 279-286. https://doi.org/10.20297/JSCI.2013.7.4.279
  2. 강욱, 이윤 (2015). 산업기술·영업비밀 유출(의심)자에 대한 효과적인 면담 방안. 경찰학연구, 15(2), 105-126. https://doi.org/10.22816/POLSCI.2015.15.2.005
  3. 권하예, 김연수 (2020). 수사경찰의 폴리그래프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사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15(3), 115-142. https://doi.org/10.16961/POLIPS.2020.15.3.115
  4. 김석찬, 장은희, 이상현, 방 철, 김시온, 김현택 (2015). 폴리그래프 검사 요인에 따른 검찰 처분 및 판결 일치도 연구: 검찰청 폴리그래프 실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법, 6(1), 13-31. https://doi.org/10.53302/KJFP.2015.07.6.1.13
  5. 김수진, 이장한 (2013). 거짓 진술의 인지부하가 안구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2), 37-49. https://doi.org/10.21193/kjspp.2013.27.2.003
  6. 김시업 (2013). 수사면담 시 라포의 구성: 네가지 라포형성 기법을 사용해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87-506.
  7.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8. 김한균, 윤해성, 김경찬, 박은정, 김기범, 권양섭, 이관형, 김면기, 유승진, 박준영, 김대원, 박웅신, 이경렬, 정배근, 조은경, 이재웅, 박희정 (2019). 첨단 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I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935.
  9. 박희정 (2016). 폴리그래프 검사에서 희생관련 질문에 대한 용의자의 생리적 반응 차이. 경찰학연구, 16(3), 209-230. https://doi.org/10.22816/POLSCI.2016.16.3.008
  10. 박희정 (2018). 폴리그래프 검사에서 객관적 자기인식에 따른 용의자의 생리적 반응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1), 33-47.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1.002
  11. 박희정 (2020). 폴리그래프 검사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경찰 폴리그래프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 34(2), 103-127. https://doi.org/10.35147/KNPSI.2020.34.2.103
  12. 정의돈, 이혜지 (2019). PLCQ와 DLCQ를 사용한 폴리그래프 검사 처분 일치도 실증 연구. 치안정책연구, 33(2), 7-32. https://doi.org/10.35147/KNPSI.2019.33.2.7
  13. 조은경, 이미선, 이윤, 이재웅 (2010). 성폭력 피해아동 면담 및 조사 매뉴얼 개발. 여성가족부.
  14. 지정우 (2019). 폴리그래프검사 전문가 기본과정 교재: 폴리그래프 검사.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법심리연구소.
  15. 천대영 (2002). 거짓말탐지기검사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 경찰학연구, (2), 152-181. https://doi.org/10.22816/POLSCI.2011.11.3.006
  16. 한유화, 정재영, 박광배 (2009). 범죄 용의자의 거짓말탐지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일관성 채점기준의 효과. 감성과학, 12(4), 557-564.
  17. Amsei, T. T. (2016). Practicum, European Polygraph, 10(3), 117-118. https://doi.org/10.1515/ep-2016-0015
  18. Bradley, M. T., & Cullen, M. C. (1993). Polygraph lie detection on real events in a laboratory sett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6(3), 1051-1058. https://doi.org/10.2466/pms.1993.76.3.1051
  19. Capps, M. H. (1991). Predictive value of the sacrifice relevant, Polygraph, 20(1), 1-6.
  20. Collins, R., Lincoln, R., & Frank, M. G. (2002). The effect of rapport in forensic interviewing, Psychiatry, Psychology and Law, 9(1), 69-78. https://doi.org/10.1375/pplt.2002.9.1.69
  21. Ginton, A., Daie, N., Elaad, E., & Ben-Shakhar, G. (1982). A method for evaluating the use of the polygraph in a real-life situ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2), 131-137. https://doi.org/10.1037/0021-9010.67.2.131
  22. Holmberg, U., & Christianson, S. A. (2002). Murderers' and sexual offenders' experiences of police interviews and their inclination to admit or deny crimes,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20(12), 31-45. https://doi.org/10.1002/bsl.470
  23. Honts, C. R., Handler, M., Shaw, P., & Gougler, M. (2015). The vasomotor response in the comparison question test. Polygraph, 44(1), 62-78.
  24. Honts, C. R. & Reavy, R. (2015). The comparison question polygraph test: A contrast of methods and scoring. Polygraph & Behavior, 143, 15-26. https://doi.org/10.1016/j.physbeh.2015.02.028
  25. Hovland, C. I., & Weiss, W. (1951).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15(4), 635-650. https://doi.org/10.1086/266350
  26. Lewis, J. A., & Cuppari, M. (2009). The polygraph: The truth lies within, The Journal of Psychiatry & Law, 37(1), 85-92. https://doi.org/10.1177/009318530903700107
  27. Lykken, D. T. (1978). The psychopath and the lie detector, Psychophysiology, 15(2), 137-142. https://doi.org/10.1111/j.1469-8986.1978.tb01349.x
  28. Maschke, G. W. (2003, November 4). Gary Leon Ridgway; Deadliest serial killer in U.S. history, passed polygraph and killed Again [Web log comment]. Retrieved from https://antipolygraph.org/cgi-bin/forums/YaBB.pl?num=1067927512
  29. Matte, J. A. (1996). Forensic psychophysiology using the polygraph: Scientific truth verification, lie detection. Williamsville, New York: JAM Publications.
  30. Mayoral, E. P. C., & Langer, A. A. (2019). Devil's advocate tactic to generate rapport, APA Magazine, 52(5), 69-73.
  31. Nelson, R. (2015). Scientific basis for polygraph testing, Polygraph, 44(1), 28-61.
  32. Nelson, R., Blalock, B., & Handler, M. (2011). Criterion validity of the empirical scoring system and the objective scoring system, version3 with the USAF modified general question technique. Polygraph, 40(3), 172-179.
  33. Patrick, C. J., & Iacono, W. G. (1989). Psychopathy, threat, and polygraph test accurac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2), 347-355. https://doi.org/10.1037/0021-9010.74.2.347
  34. Raskin, D. C., & Hare, R. D. (1978). Psychopathy and detection of deception in a prison population, Psychophysiology, 15(2), 126-136. https://doi.org/10.1111/j.1469-8986.1978.tb01348.x
  35. Ressler, R. K., Burgess, A. W., & Douglas, J. E. (1988). Interviewing convicted murderers. Simon and Schuster(Eds.), Sexual Homicide (pp. 163-172). New York: Lexington.
  36. Schafer, J. R., & Navarro, J. (2016). Advanced interviewing techniques: Proven strategies for law enforcement, military, and security personnel.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
  37. Shepherd, E. (1993). Ethical interviewing. Issues in Criminological & Legal Psychology, 18, 46-56.
  38. Thiel, E., & Nelson, R. (2019). PCSOT Instant offense polygraph exams: A comparison of the two-question and four-question test formats. Polygraph & Forensic Credibility Assessment, 48(2), 9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