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명환, 최은수 (2013). 조직 리더의 리더십 유형, 조직문화 유형, 학습조직수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평생교육·HRD연구, 9(1), 1-27.
- 권수원, 윤종철, 도상호 (2020). 리더와 구성원의 팀리더십과 목표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로-목표이론과 셀프리더십 관점. 관리회계연구, 20(1), 31-65.
- 김미성, 한태영, 최수일 (2014). 팀 효과성에 대한 변혁적, 공유 리더십의 영향: IMO 모형에 근거한 매개 및 조절 효과 검증. 경영컨설팅연구, 14(4), 135-150.
- 김영식, 김인혜 (2018). 성격과 리더배려행동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1), 195-220.
- 김태일 (2021). KB증권, 대표이사-MZ세대 직원 소통 프로그램 진행. 파이낸셜 뉴스, 2021.9.16., "https://www.fnnews.com/news/202109161510207770"
- 김혜선, 탁진국 (2015). 리더의 임파워링 행동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 개선 (job crafting)의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 및 개인-직무 부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2), 275-299.
- 남혜정 (2021). SNS로 MZ세대와 벽 허무는 재계 총수들. 세계일보 비즈, 2021.7.13., "http://www.segye.com/view/20210713513912"
- 박상욱 (2020).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국내 대기업 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은희, 탁진국 (2021). 공무원 팀장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 역량향상 코칭 프로그램 영향력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1), 131-149.
- 박혜원 (2013). 팀장의 역할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민규 (2021).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지화, 탁진국 (2011).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385-407.
- 신철우, 최병우, 김대수, 박중규 (2018). 21세기 성공적 경영자를 위한 경영학원론. 서울: 탑북스
- 신혜영, 권상집 (2017).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 상사 신뢰,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8(2), 23-43 https://doi.org/10.15813/KMR.2017.18.2.002
- 심형인, 유민봉 (2012). 고성과 팀장의 리더십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한국행정연구, 21(4), 103-137. https://doi.org/10.22897/KIPAJN.2012.21.4.004
- 양상진 (2002). CEO 리더십유형이 의사소통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홍석, 손태원, 이창길 (2019). 조직학의 주요 이론. 서울: 법문사.
- 윤방섭 (2019). 리더십의 이해. 서울: 학현사.
- 윤지원 (2021). MZ세대 품을 조직혁신 어떻게 이뤘나. CNB 미디어, 2020.9.30., "https://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36168"
- 윤희라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쉽 및 의사소통 유형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건혁 (2012). 커뮤니케이션과 참여 그리고 조직성과: 지식공유와 신뢰의 매개효과. 언론과학연구, 12(3), 268-300.
- 이상훈, 정원호 (2015).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효능감과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6(3), 125-150.
- 정민하 (2021). MZ세대와 소통 나서는 재계- 사원이 CEO 가르치고, 대리급이 리더로. 조선비즈, 2021.8.14.,"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14/CYHTLZQP5RBP3C6HVSIVB354RI/"
- 조문석 (2013). 조직문화와 의사소통이 인지된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0(3), 89-117 https://doi.org/10.21484/KROS.2013.10.3.89
- Avolio, B. J., Reichard, R. J., Hannah, S. T., Walumbwa, F. O., & Chan, A. (2009). A meta-analytic review of leadership impact research: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The Leadership Quarterly, 20(5), 764-784. https://doi.org/10.1016/j.leaqua.2009.06.006
- Floyd, S. W., & Wooldridge, B. (1997). Middle management's strategic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4(3), 465-485. https://doi.org/10.1111/1467-6486.00059
- Habermas, J. (2006). 의사소통행위이론 2[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 2], (장춘익 역). 파주: 나남. (원저는 2009년 발행)
- Hatfield, E., Cacioppo, J. T., & Rapson, R. L. (1992). Primitive emotional contagion.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151-177.
- Holl, E. T. (2013). 침묵의 언어 [(The)Silent Language], (최효선 역). 파주: 한길사. (원저는 1959년 발행)
- House, R. J., & Baetz, M. L. (1990). Leadership: Some empirical generalizations and new research directions. In L. L. Cumming & B. M. Staw (Eds.), Leadership, participation and group behaviour. London: JAI Press.
- Johnson, B. M. (1977). Communication: The process of organizing. Boston: Allyn and Bacon.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 Mintzberg, H. (1975). The Manager's Job: Folklore and Fact.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pp.49-61.
- Mintzberg, H., Ahlstrand, B., & Lampel, J. (2012). 전략 사파리 [Strategy Safari: The complete guide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 2nd edition]. (윤규상 역). 서울: 비즈니스맵. (원저는 2008년 발행).
- Planty, E., & Machaver, W. (1950). Upward communications: A project in executive development. Personnel, 28, 304-318.
- Schreiber, R. S., & Stern, P. N. (2001).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NY: Springer.
-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저는 1998년 발행).
- Thayer, L. O. (1961).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3rd ed.), Homewood: Richard D, Irwin.
- Watson, T. (2008). Secrets of top performers: How companies with highly effective employee communication differentiate themselves, Communication ROI Study. Washington, DC.
- Wendt, H., Euwema, M., & Emmerik, I. J. H. (2009). Leadership and team cohesiveness across cultures. The Leadership Quarterly, 20, 358-370. https://doi.org/10.1016/j.leaqua.2009.0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