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munication process with team members perceived by team leader in corporation

기업 팀장이 인식하는 팀원과의 의사소통 과정 연구

  • Received : 2021.11.23
  • Accepted : 2021.12.15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communication process with team members perceived by team leade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m leader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procedure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As a results, a total of 51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causal condition, the concept of 'contemplating and reinterpreting communication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 was derived,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intentional effort made in parallel with work and private conversation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recognizing the need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mediating condition was 'self-reflection and self-coaching time' was deriv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conceptualized as a communication process with task-oriented coping, conflict resolution coping, and relationship promotion coping, and was confirmed as 'recognizing virtuous cycle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interaction with the central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team leader's communication process, the effort stage, approach stage, coping stage, and cycle stage were shown. As a result of the type analysis, task-oriented coping was a facilitator, conflict resolution coping was a supporter, and relationship promotion coping was a considerat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how the corporate team leader perceives and expresses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m members.

본 연구는 기업 팀장이 인식하는 팀원과의 의사소통 과정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대기업, 중견 기업, 외국계 기업의 팀장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총 51개의 개념과 1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조직에 필요한 소통을 고민하고 재해석함'이 개념으로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업무대화와 사적대화 병행방식으로 의도적인 노력을 함'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환경변화에 대한 대처 필요성을 인식함', 중재적 조건은 '스스로 성찰하고 셀프코칭 시간을 가짐'이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업무중심 대처, 갈등해결 대처, 관계증진 대처를 의사소통 과정으로 개념화되었고, 중심현상 상호작용 결과로서 '조직 내 선순환 소통을 인식함'으로 확인되었다. 팀장의 의사소통 과정분석 결과는 노력단계, 접근단계, 대처단계, 순환단계로 나타났고, 그 유형 분석 결과로써 업무중심 대처는 촉진자, 갈등해결 대처는 조력자, 관계증진 대처는 배려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 팀장이 팀원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기업에서의 리더십 코칭과 리더 대상 상담에 차별적인 개입전략을 세우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환, 최은수 (2013). 조직 리더의 리더십 유형, 조직문화 유형, 학습조직수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평생교육·HRD연구, 9(1), 1-27.
  2. 권수원, 윤종철, 도상호 (2020). 리더와 구성원의 팀리더십과 목표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로-목표이론과 셀프리더십 관점. 관리회계연구, 20(1), 31-65.
  3. 김미성, 한태영, 최수일 (2014). 팀 효과성에 대한 변혁적, 공유 리더십의 영향: IMO 모형에 근거한 매개 및 조절 효과 검증. 경영컨설팅연구, 14(4), 135-150.
  4. 김영식, 김인혜 (2018). 성격과 리더배려행동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1), 195-220.
  5. 김태일 (2021). KB증권, 대표이사-MZ세대 직원 소통 프로그램 진행. 파이낸셜 뉴스, 2021.9.16., "https://www.fnnews.com/news/202109161510207770"
  6. 김혜선, 탁진국 (2015). 리더의 임파워링 행동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 개선 (job crafting)의 매개효과와 핵심자기평가 및 개인-직무 부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2), 275-299.
  7. 남혜정 (2021). SNS로 MZ세대와 벽 허무는 재계 총수들. 세계일보 비즈, 2021.7.13., "http://www.segye.com/view/20210713513912"
  8. 박상욱 (2020).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국내 대기업 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은희, 탁진국 (2021). 공무원 팀장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 역량향상 코칭 프로그램 영향력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1), 131-149.
  10. 박혜원 (2013). 팀장의 역할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서민규 (2021).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지화, 탁진국 (2011).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385-407.
  13. 신철우, 최병우, 김대수, 박중규 (2018). 21세기 성공적 경영자를 위한 경영학원론. 서울: 탑북스
  14. 신혜영, 권상집 (2017).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 상사 신뢰,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8(2), 23-43 https://doi.org/10.15813/KMR.2017.18.2.002
  15. 심형인, 유민봉 (2012). 고성과 팀장의 리더십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한국행정연구, 21(4), 103-137. https://doi.org/10.22897/KIPAJN.2012.21.4.004
  16. 양상진 (2002). CEO 리더십유형이 의사소통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오홍석, 손태원, 이창길 (2019). 조직학의 주요 이론. 서울: 법문사.
  18. 윤방섭 (2019). 리더십의 이해. 서울: 학현사.
  19. 윤지원 (2021). MZ세대 품을 조직혁신 어떻게 이뤘나. CNB 미디어, 2020.9.30., "https://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36168"
  20. 윤희라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쉽 및 의사소통 유형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건혁 (2012). 커뮤니케이션과 참여 그리고 조직성과: 지식공유와 신뢰의 매개효과. 언론과학연구, 12(3), 268-300.
  22. 이상훈, 정원호 (2015).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효능감과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6(3), 125-150.
  23. 정민하 (2021). MZ세대와 소통 나서는 재계- 사원이 CEO 가르치고, 대리급이 리더로. 조선비즈, 2021.8.14.,"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14/CYHTLZQP5RBP3C6HVSIVB354RI/"
  24. 조문석 (2013). 조직문화와 의사소통이 인지된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0(3), 89-117 https://doi.org/10.21484/KROS.2013.10.3.89
  25. Avolio, B. J., Reichard, R. J., Hannah, S. T., Walumbwa, F. O., & Chan, A. (2009). A meta-analytic review of leadership impact research: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The Leadership Quarterly, 20(5), 764-784. https://doi.org/10.1016/j.leaqua.2009.06.006
  26. Floyd, S. W., & Wooldridge, B. (1997). Middle management's strategic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4(3), 465-485. https://doi.org/10.1111/1467-6486.00059
  27. Habermas, J. (2006). 의사소통행위이론 2[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 2], (장춘익 역). 파주: 나남. (원저는 2009년 발행)
  28. Hatfield, E., Cacioppo, J. T., & Rapson, R. L. (1992). Primitive emotional contagion.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151-177.
  29. Holl, E. T. (2013). 침묵의 언어 [(The)Silent Language], (최효선 역). 파주: 한길사. (원저는 1959년 발행)
  30. House, R. J., & Baetz, M. L. (1990). Leadership: Some empirical generalizations and new research directions. In L. L. Cumming & B. M. Staw (Eds.), Leadership, participation and group behaviour. London: JAI Press.
  31. Johnson, B. M. (1977). Communication: The process of organizing. Boston: Allyn and Bacon.
  3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33. Mintzberg, H. (1975). The Manager's Job: Folklore and Fact.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pp.49-61.
  34. Mintzberg, H., Ahlstrand, B., & Lampel, J. (2012). 전략 사파리 [Strategy Safari: The complete guide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 2nd edition]. (윤규상 역). 서울: 비즈니스맵. (원저는 2008년 발행).
  35. Planty, E., & Machaver, W. (1950). Upward communications: A project in executive development. Personnel, 28, 304-318.
  36. Schreiber, R. S., & Stern, P. N. (2001).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NY: Springer.
  37.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저는 1998년 발행).
  38. Thayer, L. O. (1961).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3rd ed.), Homewood: Richard D, Irwin.
  39. Watson, T. (2008). Secrets of top performers: How companies with highly effective employee communication differentiate themselves, Communication ROI Study. Washington, DC.
  40. Wendt, H., Euwema, M., & Emmerik, I. J. H. (2009). Leadership and team cohesiveness across cultures. The Leadership Quarterly, 20, 358-370. https://doi.org/10.1016/j.leaqua.2009.0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