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강기창, 박성희. (2020).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0), 239-268.
- 강영숙, 변상해. (2017).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군사복지학회, 10(2), 29-62.
- 김미정, 하미경. (202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1(1), 21-37.
- 김사라, 김유숙. (2017).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5(4), 815-837.
- 김송이. (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융합학회논문집, 11(6), 423-431.
- 김은하, 박소용, 이예지, 박현. (2021).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COVID-19) 스트레스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22(1), 141-163. https://doi.org/10.15703/KJC.22.1.202102.141
- 김혜신, 김경신. (2011).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부부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59-86.
-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 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 박행실, 김경신. (201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4(4), 499-411. https://doi.org/10.5934/kjhe.2015.24.4.499
-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손서희. (2020). 코로나 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3-20.
- 신숭배. (2016).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3), 135-184.
-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 유영주. (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KFSS-II)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13
-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김지윤. (2020).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감염에 대한 일반 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32(4), 2119-2156.
- 이동훈, 이춘화, 신지영, 강민수, 서은경. (2017).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8(5), 331-355. https://doi.org/10.15703/KJC.18.5.201710.331
- 이미영. (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558-565.
- 이주열. (2016). 청소년 시기별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 비교,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7(1), 49-59.
- 진민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연은. (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8(3), 447-461.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코로나 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 및 대응방안.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 2, 1-14.
- 허선무. (2006).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삶의 질과 자아개념지각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8(3), 1-18. https://doi.org/10.22879/SLOS.2011.8.3.1
- 황명주. (2019).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경주: 위덕대학교 대학원.
- 황미진, 신유순, 김병수. (2009).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수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7(2), 195-212.
- Bigot A. (1974). The relevance of American life satisfaction indices for research on british subjects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ge and Ageing, 3(2), 113-121. https://doi.org/10.1093/ageing/3.2.113
- Blakey SM, Reuman L, Jacoby RJ, Abramowitz JS. (2015). Tracing 'Fearbola':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nxious responding to the threat of ebol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9(6), 816-825. https://doi.org/10.1007/s10608-015-9701-9
- Block J. (2002). Personality as an affect-processing system, Toward an integrative theory. Pyschology Press, New York.
- Choi HS. Lee HK, Ha JC. (2012).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orea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of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5-19.
- Cullen W, Gulati G, Kelly BD. (2002). Mental health in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113(5), 311-312.
- Main A, Zhou Q, Ma Y, Leucken LJ, Liu X. (2011). Relations of SARS-related stressor and copping to Chine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the 2003 Beijing SARS epidemic.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3), 410-423. https://doi.org/10.1037/a0023632
- Prime H, Wade M, Browne DT. (2020). Risk and resilience in family well-be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merican Psychologist.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037/amp
- Restubog SLD, Ocampo ACG, Wang L. (2020). Taking control amidst the chaos:Emotion regul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9, 103-440.
- Schimmenti A, Billieux J, Starcevic V. (2020). The four horsemen of fear: An integrated model of understanding fear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linical Neuropsychiatry, 17(2), 41-45.
- Taylor S, Landy CA, Paluszek MM, Fergus TA, Mckay D, Asmundon GJ. (2020).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OVID Stress Scal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2, 102-232.
- Torales J, O'Higgins M, Castaldelli-Maia JM, Ventriglio A. (2020). The outbreak of COVID-19 coronavirus and its impact on global ment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66(4), 317-320. https://doi.org/10.1177/002076402091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