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tress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on th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 Kim, Hyun-Kyung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Joongbu University)
  • 김현경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21.07.28
  • Accepted : 2021.08.22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s: As COVID-19 drags o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more stress and feel more anxious about their studies and career plan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performed with 216 university students in cities K and 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COVID-19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while family healt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health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safety net in reducing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amid the social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regard,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clud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technique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기창, 박성희. (2020).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0), 239-268.
  2. 강영숙, 변상해. (2017).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군사복지학회, 10(2), 29-62.
  3. 김미정, 하미경. (202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1(1), 21-37.
  4. 김사라, 김유숙. (2017).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5(4), 815-837.
  5. 김송이. (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융합학회논문집, 11(6), 423-431.
  6. 김은하, 박소용, 이예지, 박현. (2021).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COVID-19) 스트레스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22(1), 141-163. https://doi.org/10.15703/KJC.22.1.202102.141
  7. 김혜신, 김경신. (2011).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부부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59-86.
  8.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 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9. 박행실, 김경신. (201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4(4), 499-411. https://doi.org/10.5934/kjhe.2015.24.4.499
  10.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손서희. (2020). 코로나 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3-20.
  11. 신숭배. (2016).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3), 135-184.
  12.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13. 유영주. (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KFSS-II)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13
  14.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김지윤. (2020).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감염에 대한 일반 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32(4), 2119-2156.
  15. 이동훈, 이춘화, 신지영, 강민수, 서은경. (2017).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8(5), 331-355. https://doi.org/10.15703/KJC.18.5.201710.331
  16. 이미영. (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558-565.
  17. 이주열. (2016). 청소년 시기별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 비교,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7(1), 49-59.
  18. 진민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연은. (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8(3), 447-461.
  19.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코로나 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 및 대응방안.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 2, 1-14.
  20. 허선무. (2006).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삶의 질과 자아개념지각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8(3), 1-18. https://doi.org/10.22879/SLOS.2011.8.3.1
  21. 황명주. (2019).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경주: 위덕대학교 대학원.
  22. 황미진, 신유순, 김병수. (2009).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수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7(2), 195-212.
  23. Bigot A. (1974). The relevance of American life satisfaction indices for research on british subjects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ge and Ageing, 3(2), 113-121. https://doi.org/10.1093/ageing/3.2.113
  24. Blakey SM, Reuman L, Jacoby RJ, Abramowitz JS. (2015). Tracing 'Fearbola':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nxious responding to the threat of ebol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9(6), 816-825. https://doi.org/10.1007/s10608-015-9701-9
  25. Block J. (2002). Personality as an affect-processing system, Toward an integrative theory. Pyschology Press, New York.
  26. Choi HS. Lee HK, Ha JC. (2012).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orea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of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5-19.
  27. Cullen W, Gulati G, Kelly BD. (2002). Mental health in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113(5), 311-312.
  28. Main A, Zhou Q, Ma Y, Leucken LJ, Liu X. (2011). Relations of SARS-related stressor and copping to Chine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the 2003 Beijing SARS epidemic.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3), 410-423. https://doi.org/10.1037/a0023632
  29. Prime H, Wade M, Browne DT. (2020). Risk and resilience in family well-be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merican Psychologist.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037/amp
  30. Restubog SLD, Ocampo ACG, Wang L. (2020). Taking control amidst the chaos:Emotion regul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9, 103-440.
  31. Schimmenti A, Billieux J, Starcevic V. (2020). The four horsemen of fear: An integrated model of understanding fear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linical Neuropsychiatry, 17(2), 41-45.
  32. Taylor S, Landy CA, Paluszek MM, Fergus TA, Mckay D, Asmundon GJ. (2020).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OVID Stress Scal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2, 102-232.
  33. Torales J, O'Higgins M, Castaldelli-Maia JM, Ventriglio A. (2020). The outbreak of COVID-19 coronavirus and its impact on global ment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66(4), 317-320. https://doi.org/10.1177/002076402091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