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of '極' of Cheon-gi[天機] and '克' of In-sa[人事] in the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 Focusing on the usage of '明明德' and '新民' in the Daxue -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천기(天機)의 '극(極)'과 인사(人事)의 '극(克)'의 의미에 대한 고찰 - 『대학(大學)』의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의 용례(用例)를 중심으로 -

  • Shin, Sang-won (Dept. of Humanities &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辛相元 (釜山大學校 韓醫學專門大學院 人文社會醫學敎室)
  • Received : 2021.08.11
  • Accepted : 2021.08.19
  • Published : 2021.08.25

Abstract

Objectives : To examine the meaning of 'geuk(極)' and 'geuk(克)' of Cheon-gi and Insa respectively, for better translation of the content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Donguisusebowon cosmology. Methods :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s '極' and '克' based on examples in the Daxue were examined together with content-related books such as the Shujing and the Shijing. Related concepts such as Taiji and Huangji were investigated as well. Results & Conclusions :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 usages and contexts in the Daxue, the archetypes of the two characters '極' and '克' were discove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i and Insa were thoroughly studied, which enabl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world view that has been created by their integration. 'Geuk(極)' refers to Cheon-gi as the open world wherein all beings of different horizon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on principle. 'Geuk(克)' refers to Insa as an individual world that could be fully established by manifestation of one's moral abilities that lie within everybody. The two worlds integrate with each other, becoming two poles of the world humans belong to, while the human heart, in correspondence to these two worlds, create two poles within themselves, of which one pursues the public world while the other rejects the personal.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11346) 자료수집에 도움을 주신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무석사과정 대학원생 김동현, 배정운, 하재운 님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곽신환, 윤원현, 추기연 역. 태극해의. 서울. 소명출판. 2009.
  2. 김창민, 류순섭 편저. 동의사상정해. 서울. 아카데미서적. 2000.
  3. 김혁제 교열. 大學中庸(全). 서울. 명문당. 2010.
  4. 김혁제 교열. 大學集註(全). 서울. 명문당. 1997.
  5. 김혁제 교열. 大學集註(全). 서울. 명문당. 1997.
  6. 김형태 엮음. 김형태 동의수세보원 강의. 서울. 도서출판 정담. 1999.
  7. 김희성 옮김. 동의수세보원 해설. 서울. 부크크. 2014.
  8. 論語. 대전. 학민문화사. 2003.
  9. 동의학연구소 역. 원문대역 동의수세보원. 서울. 여강출판사. 2003.
  10. 라경찬 편저. 동의수세보원 발몽. 서울. 의성당. 2007.
  11. 孟子. 대전. 학민문화사. 2009.
  12. 명문당편집부 교열. 原本周易. 서울. 명문당. 1999.
  13. 박수현, 김종현. 「東醫壽世保元.性命論」의 '大同於協義'와 '各立於擅利'의 해석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2(3). 2019. https://doi.org/10.14369/jkmc.2019.32.3.031
  14. 박용규. 입체음양오행으로 풀이한 동의수세보원 역해. 서울. 리북스커뮤니티. 2009.
  15. 백유상. 天人性命에 따른 四象體質間 비교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7(1). 2004.
  16. 書傳. 대전. 학민문화사. 1990.
  17. 소진형. 朱熹의 極 해석에서 드러난 도덕과 정치의 분리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정치연구. 24(3). 2015.
  18. 송일병 외.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2006.
  19. 詩傳. 대전. 학민문화사. 1990.
  20. 신홍일 주해. 동의수세보원주해(상). 2003. 고양. 대성의학사.
  21. 윤용섭 편저. 동의수세보원 개착. 서울. 도서출판BG북갤러리. 2008.
  22. 이대근. 「시경」.「서경」의 인격적 천관. 신학전망. 196. 2017.
  23. 이민수 옮김. 동의수세보원. 서울. 을유문화사. 1996.
  24. 이세현. 古代 中國에서의 天과 人間의 만남과 그 方法. 유교사상연구. 14. 2000.
  25. 이순동. 동의수세보원. 서울. 여강출판사. 1992.
  26. 이을호, 홍순용 옮김, 주종천 (보완) 감수. 서울. 사단법인 올재. 2017.
  27. 이제마 원저. 량병무, 차광석 번역. 東武遺 稿. 서울. 엠디월드. 2008.
  28. 장현수 지음. 동의수세보원 가이드. 파주. 군자출판사. 2018.
  29. 정용재. 동의수세보원. 파주. 글항아리. 2018.
  30. 조남호. 주희의 太極 皇極論 연구. 시대와 철학. 18(1). 2007.
  31. 최대우 역해. 동의수세보원 역해. 서울. 경인문화사. 2012.
  32. 최희석 해설. 동의수세보원 해설. 광주. 지성계. 2015.
  33. 추만호 강의. 강의 동의수세보원. 서울. 도서출판 창해. 2008.
  34. 한동석 저. 동의수세보원 주석. 서울. 대원출판. 2006.
  35.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88279&if=gb
  36.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87958&if=gb
  37.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87684&if=gb
  38.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88302&if=gb
  39.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87973&if=gb
  40. 朱子語類.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text.pl?node=596137&if=gb
  41. 四書或問. 諸子百家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cited at 11 August, 2021]; Available from: https://ctext.org/wiki.pl?if=en&chapter=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