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of Mongolian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 Received : 2020.10.13
  • Accepted : 2021.01.1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depression among Mongolians in South Korea. We also determined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this study, total of 200 adults over age 18 completed the BDI-II of Mongolian Versio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 used SPSS 22.0, AMOS 22.0.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high in over 3 years immigrants group (M = 8.41, SD = 9.6954), marriage immigrants group (M = 19.1, SD = 16.7649), and female groups (M = 7.61, SD = 9.2188) than compared to reference groups.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Mongolian immigra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β = .365, p <.001; β = .- 555, p <.001).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β = 1.080, p <.001).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e conclud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to assess the depression and the mental health of Mongolians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들의 우울을 측정하는 것이며,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총 2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요인분석, 상관분석, t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집단 간 평균점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집단에 비해 한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하는 집단, 결혼이민자 집단, 여성 집단에서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이주민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이주민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은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의 우울 및 정신 건강을 평가하는 데에 기여할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녀 (2013). 한국 이주 몽골인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성남 (2012). 한국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 예측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수진 (2019). 사회적 배제, 가정생활 스트레스, 우울의 종단적 관계: 노인부부 가구의 성별차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오남 (2008). 농충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2(3), 47-73.
  5. 김연수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6. 김은재 (2010).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지현, 김보미 (2017).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요인. 디지털 융복합연구, 15(8).
  8. 김해나 (2017).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영어, 중국어, 아랍어권 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실 (2012).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32.
  10. 김호정 (2005). 부모의 알코올 중독 유모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자존감, 우울, 분리개별화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후조 (2011).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낙관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희숙 (2006).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이주노동자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노하나 (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문승완 (2008).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신영 (2005). 결혼이민자 가족의 문제와 지원방안. 완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 조사 결과발표. 서울: 보건복지부; 2012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에 제시
  17. 서경민 (2007). 집단미술치료가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지, 14(4).
  18. 신경애 (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민정, Urkunchiev Adelbek, 박수정, Aigozhayeva Aigerim (2015). 중앙아시아 유학생들의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 연구. 교육문화연구, 21(5). https://doi.org/10.24159/JOEC.2015.21.5.5
  20. 엥흐체첵 (2012). 재한몽골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유명란, 최선영, 김윤미, 한수정, 양남영, 김희경, 장혜경, 이미라, 손연정 (2013). 국내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적응유연성, 우울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3).
  22. 유현희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과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1(3).
  23. 윤서영, 장성민 (2019). 성별에 따른 우울증 양상과 신경전달물질의 차이. 생물치료정신의학, 2, 5-12
  24. 윤은지 (2013). 지역사회 여성 노인의 우울증상과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매 (2003). 한국거주 불법신분 조선족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인선 (2004).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순희 (2018).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구조적 관계: 성별 차이에 따른 사회불안과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44, 187-215.
  28. 이윤호 (2007). 베트남 국제결혼가정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효정 (2005). 사별에 따른 우울 수준의 성별차이.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임근영 (2008). 국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청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전혜정 (2014). 베트남 이주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변은, 이기흥 (2009). 노인이 인식한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953-970
  33. 조용비 (2016).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방어기제의 매개역할.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주태하 (2011).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구유형별 비교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진미경, 조유진 (2011).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4).
  36. 지은진, 최지명, 김교헌, 권선중, 박은진, 이민규 (2012).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37.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163-194. https://doi.org/10.20970/KASW.2009.61.1.007
  38. 한삼성, 강성욱, 정성화, 유왕구 (2014).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 산업학회지, 8(2)
  39. 한아름, 김여진 (201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활동,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의 관계의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 조사연구, 33.
  40. 현경자, 김연수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7(4).
  41. 홍진주 (2004).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학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Abbott. M. W., Wong, S., Willians M., AU.M.K. & Young. W. (2000). Recent Chinese migrants' health, adjustment to life in New Zeland and primary health care utiliz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2, 43-59. https://doi.org/10.1080/096382800297114
  43. Adlerete, E, Vega, W.A., Kolody, B., & Aguilar-Gaxiola, S. (1999). Depressive symptomatology: prevalence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among mexican migrant farm workers in California.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4).
  44. Angold A, Costello E. J., (2006). Puberty and depression. Child Adolescent Psychiatry Clinic, 15, 919-937. https://doi.org/10.1016/j.chc.2006.05.013
  45. Asmawati, D., Fatimah, Y., Nor, B. A. K. (2012). Acculturative stress among international postgraduate students at University Kebangsaan Malays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9, 364-369.
  46. Berry, J. W., Kim, U., Minde, T., & Mok, D. (1987).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 491-511. https://doi.org/10.2307/2546607
  47. Berry, J. W. (1998).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1), 5-68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49. Berry, J. W.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Chun K.M., Organista, P. B., & Martin, G.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17-37.
  50. Cohen, S. & Wills, M. S. (1985).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51. Hovey, J. D & King, C. A. (1996).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 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solescent Psychiatry, 35.
  52. Jieru Bai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degree Doctor of Philosophy in the School of Social Work, Indiana University.
  53. Kazarian, S. S., McCabe, S. B. (1991).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in the MSPSS: Factoral structure, reliability and theoretical implations. Journal of Common Psychology, 19, 150-160. https://doi.org/10.1002/1520-6629(199104)19:2<150::AID-JCOP2290190206>3.0.CO;2-J
  54. Lazarus, R. S.,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55. Lee, S. C., Moy, F. M., Hairi, M. N. (201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lay version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M) among teachers. Qual Life Res, 26, 221-227. https://doi.org/10.1007/s11136-016-1348-9
  56. Osman, A., Lamis, D. A., Freedenthal, S., Gutierrez, P. M, Mc Naughton Cassill., (2013). M.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alysis of internal reliability, measurement invariance and correlates across gender. Journal of Person Assess, 10.
  57. Sandhu, D. S., Asrabadi, B. R. (1994).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 75(1 Pt 2): 435-48. https://doi.org/10.2466/pr0.1994.75.1.435
  58. Sun, M. K., (2006). Measurement of acculturation, scale formats, and language competenc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7(6), 669-693.
  59. Theofilou, P. (2015). Transl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for Greece. Health Psychology Res, 3(1), 9-11.
  60. Vega, W., Kolody, B., & Valle, J. R (1987). Migration and mental health: an emprical test of depression risk factors among Mexican wome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s, 21(3).
  61. Wolliams, C. L., & Berry, J. W. (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s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46.
  62.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Farley G. K. (199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recrow press, 185(97).
  63. Zimet, G. D. (199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recrow press, 18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