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care of Childcare Teachers for Emotional Labor -Song psychotherapy-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의 관한 사례연구 -노래심리치료-

  • Received : 2021.06.30
  • Accepted : 2021.07.19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Childcare teacher experience emotional labor that suppresses, exaggerates, controls and regulates their emotions in order to produce the positive image required in the nursery fiel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as a caus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 Because singing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research is needed to enable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 to recover from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plan a positive life in the process of self-care. First, how is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 through song psychotherapy?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self-care of the emotional labor childcare teacher through song psychotherap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7 to May 2020, an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data such as in-depth interviews, direct observation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were collected at the ○○○ daycare center for 50 minutes every 12 sess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rough singing psychotherapy, emotional labor and childcare staff were able to discover, understand, recognize, face, communicate, and insight into their will to live, psychologically exhausted themselves.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can reduce the experience of emotional depletion and demonstrate a recovery of experience and an improvement in achievement due to frustration at work. Second, the self-care of the emotional labor child care teacher through song psychotherapy proved the temporal, spatial, relational, and emotional caring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caring for others and caring for oneself, body, mind, and spirituality are organic change.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self-care process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essence of life, explore and express one's inner self, take care of others and oneself in a balanced manner, and provide insights for a whole person and healthy self. I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growth.

보육교직원은 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압, 과장, 통제, 조절, 규제하는 감정노동을 경험한다. 영유아 대상의 근무환경은 그 특성상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 원인이 되며, 나아가서 삶의 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래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므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에게 노래심리치료가 심리적 소진의 회복과 자기 돌봄 과정에서 긍정적인 삶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은 어떠한가?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 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였으며, 질적사례연구로 프로그램 진행과 심층인터뷰, 직접관찰, 참여관찰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 어린이집에서 2019년 6월부터 10월까지 구조화된 회기별로 12회기에 걸쳐 매 회기 50분간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은 자신 삶의 의지와 심리적으로 소진된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 인식하며 내면의 문제들을 직면하고, 소통하며 통찰할 수 있었다. 타인에게서 받은 정서적 지원은 정서적 고갈의 경험을 줄일 수 있으며 업무에서의 좌절로 인한 경험의 회복과 성취감 향상을 증명하였다.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은 시간적, 공간적, 관계적, 정서적 돌봄 과정을 증명하였고, 다른 사람을 돌보는 일과 자신을 돌보는 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신체와 마음, 영성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며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 과정은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내면을 탐색 및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과 자신의 돌봄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인적인 건강한 자아를 위한 통찰, 성장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Keywords

References

  1.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이진화(2007). 보육 교사의 정서 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박상희.문수경.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4. Skovholt, T. M.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유성경.유정이.이윤주.김선경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는 2001년 출간)
  5. Bruscia, K. E. (2012). Case examples of the use of songs in psychotherapy. Gilsum, NH: Barcelona.
  6. Baker, F. A., & Wigram, T. (2005). Songwriting: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7.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8. Baker, F., & Uhling, S. (2013). 음악치료에서의 목소리 활용기법. (정현주, 김수지, 곽은미, 김경숙, 이수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2011 출판)
  9. Bruscia, K. E. (2014). Defining music therapy. Gilsum, NH: Barcelona.
  10. Bruscia, K. E.(1998). Defining music therapy.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11. 정현주.김동민(2017). 「음악심리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2. Bruscia, K. E. (2006). 음악심리치료의 역동성(최병철.김영신 공역). 서울: 학지사.
  13. Radocy, E. R., & Boyle, J. D. (1988).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2nd ed.).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14. Groke, D. & Wigram, T. (2011). 음악치료수용기법(문소영, 이은진 역). 서울: 학지사.
  15. O'Callaghan, C. (1997). Therapeutic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music when using song writing in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Perspective, 15, 32-38. https://doi.org/10.1093/mtp/15.1.32
  16. Baker, F. & Wigram, T. (2008). 치료적 노래 만들기 : 음악치료의 임상 및 교육을 위한 지침서 (최미환역). 서울:학지사. (원전 2008 출판).
  17. Clair, A. A., & Memmott, J. (2009). 「노인음악치료」(노인음악치료연구회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는 1996년 출간)
  18.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5(1), 15-25. https://doi.org/10.1111/j.2044-8279.1995.tb01128.x
  19. 홍기묵(2014).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